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입문편] 안드로이드를 위한 코틀린(Kotlin) 문법
마지막에서 Int = 20의 의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개설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마지막 class에서 () 내부에 Int = 20이라고 설정하시고 main 함수에서 출력할 때 그냥 이름만 넣어줘도 자동으로 20이 나왔는데 이 원리가 어떤 건지 궁금합니다 : Int를 넣어주면 Int를 출력값으로 받겠다는 의미 아닌가요?
-
해결됨PCB HW설계 실무 : STM32를 활용한 Mixed-signal 보드 설계 프로젝트
노이즈 발생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자소서에 해당 프로젝트 내용을 작성할 때, "노이즈가 문제가 발생해서,~~ 방법을 거쳐 해결했다"라는 예시가 있었는데, kicad로 schematic을 할 때 또는 artwork 할 때는 노이즈가 실제로 발생하는 걸 예상할 수 있지만, 발생했다는 걸 알 수는 없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렇다면 자소서에는 저렇게 적어도 나중에 면접을 가게 되면 어떻게 대비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려봐요..!!
-
해결됨오브젝트 - 설계 원칙편
인스턴스 증가에 대한 우려
안녕하세요!'오브젝트' 책으로 공부했었는데, 강의가 있다는 걸 최근에 알게 되어 강의까지 잘 보고 있습니다!몇 가지 궁금한 게 있어서 문의드립니다!5-1에서 소개해주신 Schedule과 ScheduleJson를 보았는데요제가 이전에 ScheduleJson과 비슷한 형식으로, schedule과 objectMapper를 인스턴스 변수로 가지고 json 결과를 응답하는 클래스를 만들었습니다하지만, 코드 리뷰에서 시니어 분이 objectMapper만 가지고, schedule은 파라미터로 받는 싱글톤(bean 또는 kotlin의 object)으로 만들면 되지 않느냐고 하시더라구요굳이 매번 인스턴스를 생성할 필요가 있냐고 하면서, 바꾸라는 식의 어조로 남기셨습니다결국에는 싱글톤 형태의 bean으로 바꾸게 되었습니다함수형으로 만드시길 바라시는 것 같기도 한데, 매번 인스턴스를 생성해야 한다는 것이 메모리 관련하여 크게 부담이 되는 행동인 것일까요?싱글톤(bean)으로 만드는 것이 더 나은 방향일까요?코드 리뷰 때로 다시 돌아간다면, ScheduleJson처럼 작성하는 방향으로 어떻게 설득시킬 수 있을까요?그리고 다른 얘기일 수도 있긴 한데, 단순한 내용을 처리하는 클래스를 만들 때 인스턴스 변수로 넣어야 할지, 파라미터로 넣어야 할지 고민이 되더라구요예를 들어, '요일별 메뉴가 제공된다' 라는 비즈니스 로직을 작성한다면,다음은 요일에 해당하는 dayOfWeek를 파라미터로 작성하는 방법입니다public class WeeklyMenu { public String getMenu(DayOfWeek dayOfWeek) { return switch (dayOfWeek) { case MONDAY -> "짜장면"; case TUESDAY -> "짬뽕"; case WEDNESDAY -> "제육덮밥"; case THURSDAY -> "볶음밥"; case FRIDAY -> "간짜장"; case SATURDAY -> "미니탕수육"; case SUNDAY -> "잡채밥"; }; } } 다음은 dayOfWeek를 인스턴스 변수로 작성하는 방법입니다public class WeeklyMenu { private final DayOfWeek dayOfWeek; public WeeklyMenu(DayOfWeek dayOfWeek) { this.dayOfWeek = dayOfWeek; } public String getMenu() { return switch (this.dayOfWeek) { case MONDAY -> "짜장면"; case TUESDAY -> "짬뽕"; case WEDNESDAY -> "제육덮밥"; case THURSDAY -> "볶음밥"; case FRIDAY -> "간짜장"; case SATURDAY -> "미니탕수육"; case SUNDAY -> "잡채밥"; }; } } 선호의 차이일지, 어떠한 원칙이 있을지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redis 종료시 캐싱 처리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article-read service에서 ArticleIdListRepository는 createdEvent를 받았을 때만 추가되는데 만약 redis가 종료돼 데이터가 유실된다면 createdEvent로만 추가되기 때문에 당장 캐시 db로서 역할을 못 할 것 같습니다이 부분은 redis에 데이터가 유실되지 않는다고 가정하신 뒤 코드를 작성한 것이 맞을까요??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컴파일 실패 원인은?
프로젝트가 계속 컴파일 실패로 뜹니다. 2025-09-04T13:19:18.380Z Failed to compile.2025-09-04T13:19:18.381Z 2025-09-04T13:19:18.381Z src/app/book/[id]/page.tsx2025-09-04T13:19:18.381Z Type error: Type '{ params: { id: string; } | Promise<{ id: string; }>; }' does not satisfy the constraint 'PageProps'.2025-09-04T13:19:18.381Z Types of property 'params' are incompatible.2025-09-04T13:19:18.382Z Type '{ id: string; } | Promise<{ id: string; }>' is not assignable to type 'Promise<any> | undefined'.2025-09-04T13:19:18.382Z Type '{ id: string; }' is missing the following properties from type 'Promise<any>': then, catch, finally, [Symbol.toStringTag]2025-09-04T13:19:18.382Z 2025-09-04T13:19:18.396Z Next.js build worker exited with code: 1 and signal: null2025-09-04T13:19:18.416Z Error: Command "npm run build" exited with 1 왜 그럴까요?
-
미해결만들면서 쉽게 배우는 컴퓨터 구조
macos에서 logisim 실행 불가 문의
안녕하세요. 컴퓨터 구조는 늘 따분하다고 생각했는데 감자님 덕분에 즐겁게 수강하고 있습니다. 영상에서 안내해주신대로 logisim-evolution을 설치했는데 실행이 되지 않아 질문 드려요!운영체제 : macOS설치된 파일: logisim-evolution-3.9.0-all.jar그냥 더블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알럿창이 뜨면서 열리지 않습니다.마우스 우클릭으로 JavaLauncher를 선택해서 열어도 같은 알럿창이 뜹니다. 어떤 프로그램으로 열어야 하는 파일인가요? ㅠㅠ도움 부탁드려요
-
미해결인공지능 대학원 준비 A-Z: 스펙 정리에서 컨택, 서류, 면접까지
대학원 입시 전에 스펙에 대한 고민
안녕하세요, 현재 급하게 AI 대학원을 준비해보려고 하는 직장인입니다.아마 내년 전기 입학은 힘들겠지만, 일단 경험삼아 넣어보려는 생각에 급히 찾아보고 있습니다.스펙은 간략하게 다음과 같습니다. 대학 : 인서울 컴공 4년제 졸업학점 : 3.9 / 4.5(관련 과목 : 선형대수 A (재수강), 이산수학 A+, 확통 A+, 자료구조 A, 알고리즘 A (재수강), 파이썬 과목 A, C++ 과목 A, JAVA 과목 A, 컴퓨터 그래픽스 A+, 다만 컴퓨터구조나 운영체제는 B0로 매우 낮습니다 ㅎㅎ;;)동아리 : 연합 동아리 및 교내 동아리 운영진, 리더 활동프로젝트 : 네이티브 앱 개발, 웹 풀스택, 간단한 데이터 분류정도논문 : 캡스톤 졸업 논문 (교내 최우수상) (*AI 주제이긴 하나, 저는 그 당시 ai 외 웹 개발을 맡았습니다)경력 : 솔루션 엔지니어 2년차 (리눅스, DB, Python 종종 사용)특정될 수도 있어서 여기선 자세히 말씀은 못드리지만 대충 솔루션 제품 트러블 슈팅 및 기술지원 등등을 하고있습니다.스터디 활동 : 동아리 내 스터디 활동 2회, 교내에서 하는 스터디 2회 (모두 우수 팀으로 수상)어학 : 토익 750점자격증 : 정처기 사실 고민되는 것은 학부시절엔 개발자가 되기위해 개발 관련 플젝만 남아있고학부 연구생 경험도 없을뿐더러 졸업 논문 외에 논문이 따로 있지는 않습니다... 파이썬은 워낙 자주 써서 익숙하긴하지만, AI 기술스택은 거의 문외한이긴 합니다.일단 준비하면서 벼락치기라도 AI 기초에 대해 다져보려곤하긴하지만..아마 컨택은 9월 안에는 완료해야할테니 진짜 걸음마 수준일 것같네요 다른 대학원 입시 준비하시는 분들에 비해 스펙이 많이 부족해보이는 것같아 고민입니다대학원은 KY ~ SSH 범위내에 보려고 합니다. (SKP는 저한테 스펙 자체가 딸릴것같아서요..)정말 염치없는 스펙이지만 괜찮을까싶어 염려되어 고민글을 작성합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펌웨어 코드 수업내용과 업로드된 파일 차이가 뭔지요?
안녕하세요. 덕분에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펌웨어 실습 예제 수업을 보면서 업로드된 파일이 내용이 서로 달라 이유가 있는 궁금합니다.전동킥보드 펌웨어 코드 분석 강의도 올려주신 파일 내용과 서로 달라 이유가 무엇인지, 어떤 내용을 기준으로 기준을 잡아야 할지 혼란이 있어 문의 드립니다.강의 촬영을 하고 파일을 수정하신 것 같기도 하고요.끝까지 잘 따라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디지털포렌식전문가 2급 필기 핵심 요약집[전자책]
FAT 파일시스템 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42p 의 FAT 파일시스템 관련 기출(2)에 관련해 질문이 있습니다.PDF 파일에 서술되어 있는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FAT 파일시스템 관련 기출(2)FAT 파일시스템 첫 번째 섹터 맨 끝에 존재하는 시그니처 값은 0xAA55이다. 위의 부분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제가 알기로는 MBR, GPT, NTFS, FAT 모두 첫 번째 섹터의 마지막 값은 0x55AA인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러나 해당 관련 기출에는 (X)라는 표기가 없어, 0xAA55라는 값이 정답인 것으로 보입니다. 부가적인 설명이나 해설을 요청드려도 괜찮을까요?
-
미해결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Kafka 입문
적정 파티션 개수 계산하는 방법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질문을 자주올리는것같아 죄송하고 답변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pdf에 나온것처럼 프로듀서가 보내는 메시지량은 120하나의 쓰레드가 처리하는 메세지량 0.3 을기준으로토픽의 파티션을 400개로 생성했을때어플리케이션 서비스의 max 스레드가 기본값 200이라 가정하에 파티션 400개를 처리하려면 스레드가 200개가 더 필요하니 대부분 실무에서는 200 스레드 기준으로 2개의 컨슈머 서비스를 구동시키나요?추가로 부하테스트 강의에도 지금 강의에 설명되는 파트가 ( 카프카 파티션구하기 관련? ) 따로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Kafka 입문
섹션5 33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지금은 샘플 프로젝트라 하나의 컨슈머 서버에서파티션3개를 처리하고있는데만약 email.send topic기준으로 파티션을 5개 생성했을때 컨슈머 서버도 5개를 띄우는게 일반적인가요?실무기준으로 궁금합니다추가로 하나의 컨슈머에서 지금은 email.send 토픽만 구독하고있는데 만약 토픽이 slack.send , telegram.send 등 여러가지가 있을경우 컨슈머 어플리케이션에서 카프카리스너를 다중으로 등록하는게 일반적인가요 아니면 각 토픽마다 서비스를 띄우는게 일반적인가요?만약 각 토픽마다 서비스를 띄운다가정했을때email.send topic 파티션 5개 => 서비스 5개 구동 필요slack.send topic 파티션 3개 => 서비스 3개 구동 필요총 8개가 띄워지는게 일반적인건지 .. 실무기준으로 궁금합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어떤 부분이 잘못됬는지 알수있을까요?
http://boj.kr/e469d016f48d45fdba8b5dc64066e87c문제풀이 로직은 다음과 같습니다.1. 수빈이가 짝수 시간에는 0번 s_visited에 홀수시간에 도달한 장소는 1번 s_visited에 저장을 합니다. 동생이 이동하면서 수빈이와 같은 시간에 정확히 도착하거나 2만큼 차이가 난다면 바로 출력하게끔했는데 17 5 입력이 자꾸 4가 아닌 6이 나오더라고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fail을 똑같이 쳤는데 오류가 발생해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fail을 썻는데 전 빨간 밑줄이 떠요gpt한테 무르니까 import 써야 한다는데 import쓰고 실행 돌리니까 또 틀렸다고 하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 기본편
limit, offset 에서 인덱스 동작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영한님의 인덱스 강의를 듣고, 간단한 CRUD 토이 프로젝트를 하면서 인덱스를 적용해보려고 하고 있습니다.강의에서 설명해주신 것처럼, 칼럼의 값을 기준으로 인덱스를 타는 경우 데이터가 수백 ~ 수천만건이더라도 굉장히 빠르게 조회되는 것을 확인했는데요! 문제는 페이징 쿼리 같이, limit, offset을 활용해야 하는 경우에 인덱스가 기존과 같이 동작하는지, 아니면 특별한 무언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만약 배운 그대로 적용된다면 (ex. 생성일이 페이징 기준)생성일 칼럼을 인덱스를 걸면 Filesort 를 피할 수 있겠다는 생각은 하였고, limit 절의 경우 where와는 다르게 select 절까지 모두 평가된 뒤에 적용되기 때문에 Random I/O를 피하기 위해 커버링 인덱스도 잘 사용해야 할 것 같다고 생각했습니다.다만, offset에 해당하는 n 번째 칼럼을 빠르게 B+ 트리에서 알아낼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가 궁금하더라고요. DBMS에서 limit과 offset을 특별히 따로 처리하는지 아니면 강의에서 배운대로 인덱스를 그대로 활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해킹 입문부터 중급까지, 한 번에 배우는 시스템 해킹 & 리버싱
디스코드
디스코드 초대장을 통해서 들어갔는데 메세지를 불러오지 못했어요. 라고 뜹니다.
-
미해결(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전처리기의 마지막 예제 메인함수안에 printf안에 있는 "\"%S\"\n" 에서
안녕하세요? 주말코딩님,전처리기의 마지막 예제 메인함수안에printf("%s\n", 인사말); printf("제 이름은 %s입니다.\n", 이름);printf("제가 좋아하는 명언은: \"%s\"\n", 좋아하는_명언)이렇게 되어 있는데요인사말과 좋아하는_명언의 출력문 차이가 왜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개행은 설명안해주셔도 됩니다.)"%s\n" vs \"%s\"\n"감사합니다.
-
미해결Spring Boot와 React로 배우는 초간단 REST API 게시판 만들기
자바 17
자바 17로 진행해도 되나요
-
미해결[EduAtoZ] 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역전파알고리즘 문제관련
역전파 알고리즘은 역방향 전파를 통해 출력층에서 입력층으로 순차적으로 (ㄱ)을 하면서 (ㄴ)을/를 증가시키는 방법이다. 위 문제에서 분명히 다른곳에서 편미분을 하면서 학습률을 증가시킨다라는 문제를 본것같은데 또 다른 문제에서는 편미분을 하면서 정확도를 증가시킨다라고 하는데요... 학습률과 정확도중 어떤게 맞는건가요? 문제가 업데이트된건가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궁금한게 있습니다.
ManyToOne 이 N : 1이라는관계를 표현한다는건 이해가 가는데 그게 어떻게 User 객체와 user_id bigint 컬럼과 매핑이 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대출기록이 여러개고 User 가 1개 라는 것과 저것이 무슨 연관인지 이해가 안갑니다ㅜ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섹션 14. 115번 강의 내용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십니까 선생님, 115번 강의 내용 중 질문이 있습니다.각각 작업의 크기를 1100, 1200, 1201번 경우로 나눠서 테스트를 하였는데 작업 처리 속도가 더 빨라서 max 스레드 개수까지 안 늘어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즉, 작업 처리 속도가 빨라서 큐에 적재되는 작업이 줄어들어 큐에 담긴 작업이 1000개 되지 않아 스레드 긴급 투입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지 않은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