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jjs270402님의 프로필 이미지
jjs270402

작성한 질문수

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Executor 전략 - 사용자 정의 풀 전략

섹션 14. 115번 강의 내용 질문

작성

·

11

0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십니까 선생님,

115번 강의 내용 중 질문이 있습니다.

각각 작업의 크기를 1100, 1200, 1201번 경우로 나눠서 테스트를 하였는데 작업 처리 속도가 더 빨라서 max 스레드 개수까지 안 늘어날 수도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즉, 작업 처리 속도가 빨라서 큐에 적재되는 작업이 줄어들어 큐에 담긴 작업이 1000개 되지 않아 스레드 긴급 투입이 발생하지 않을 수도 있지 않은가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jjs270402님.

강의에서 설명한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문제는 다양한 요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복잡한 주제입니다. 스레드 풀의 동작 방식에 대해 궁금증이 생기셨군요.

작업의 처리 속도가 빠르면, 자연히 큐에 쌓이는 작업 수가 적어질 수 있습니다. 이는 스레드 풀에서 새로운 스레드를 긴급하게 추가할 필요가 줄어들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스레드 풀의 동작은 설정에 따라 다르며, 특정 임계값(예: 큐 길이)을 넘어설 때만 스레드 추가를 고려하기 때문입니다.

이 경우, 실제 시스템에서의 동작은 아래와 같은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스레드 풀 설정: maxPoolSizequeueCapacity 등 설정 값에 따라 스레드가 추가되는 시점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2. 작업의 복잡도: 각 작업이 얼마나 많은 리소스를 사용하는지에 따라 큐에 쌓이는 속도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CPU와 메모리: 기본적으로 사용 가능한 CPU와 메모리 리소스에 따라도 스레드 관리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아래 URL에서 유사한 질문과 설명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위 사이트에서는 스레드 풀의 설정에 대해 보다 구체적인 예시를 소개하고 있어 좀 더 깊이 있는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jjs270402님의 프로필 이미지
jjs270402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