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2025]비전공자도 한 번에 합격하는 SQLD Part2
챕터1. SQL 기본 단원정리문제 23번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챕터1. 단원정리문제 23번WHERE PRICE NOT BETWEEN 20 AND 100조건일 경우 Mouse 15, Monitor 150 두 개 다 해당인듯한데 정답이 그럼 2, 3 둘 다 되는거 아닌가요.
-
해결됨Claude + IntelliJ로 TodoList 개발하기 - MCP 완전 정복
인텔리제이 메모리가 폭주 합니다.
간단한 프로그램인데 Claude 연동해서 Claude ai가 코드를 작성할 때인텔리제이의 메모리를 16GB로 설정해도 부족하다고...저만 그런가요... 아님 다른 분도 그런가 궁금하네요 인텔리제이 메모리 시스템 사용량 이것 때문에 CPU 사용량이 급격하게 올라가면서 시스템이 넘 느려져서 프로세스 강제로 종료를 몇 번을 해도 똑같네요 그리고 실제 Claude가 작성한 코드는 처음 한 번 외에 늘어나지가 않고...설정은 잘 되고 Claude ai가 프로젝트 인식도 다 잘했는데... 코드를 작성하기 시작하면 이런 문제가 계속 발생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build gradle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build.gradle 이렇게 하면 되는건가요?옆에 주석을 써봤는데 제가 이해한게 맞나요?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5.4'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7' } group = 'hello'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17)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hymeleaf'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 추가 여기부터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1' // SQL 쿼리를 로그로 찍어주는 라이브러리. 개발할 때 DB에서 어떤 쿼리가 실제로 나가는지 확인하기 위함. runtimeOnly 'com.h2database:h2' // H2 DB (인메모리 DB) 사용. 개발이나 테스트용으로 DB 서버 없이 DB를 돌릴 때 편리. // lombok 관련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 querydsl 추가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9.8:jakarta' // QueryDSL JPA 핵심 라이브러리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5.0.0:jakarta" // 엔티티로부터 Q클래스 자동 생성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 컴파일 시 필요한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Jakarta EE API // 여기까지 // test lombok testImplementation('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 exclude group: 'org.junit.vintage', module: 'junit-vintage-engine' } // 중괄호 추가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 추가 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irty checking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14분쯤에 말씀해 주신 dirty cheking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order.cancel(); 호출하면,Order의 status 변경되고, 이는 dirty cheking으로 인해 Order에 대해서 update 쿼리가 발생하고,orderitem.cancel()호출하면, Item의 stockQuantity가 변경되고, 이는 dirty checking으로 인해 Item에 대해서 update쿼리가 발생한다.기본편 및 강의 내용에 대해서 생각해보다가 이렇게 생각했는데 이렇게 이해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스스로 프로그래밍 하는 능력을 키우는 C++
12강 break문, while문
인프런에서 제공되는 수업 노트 및 숙제 링크로는 페이지가 올바르지 않다고 나옵니다.유튜브에 작성되어 있는 링크로는 잘 들어 가집니다 그러나 이번 강의는 연습 문제나 실전 문제가 없는데 원래 없는 건가요?
-
미해결코드 없이 피그마 디자인 그대로! Bubble.io로 웹사이트 만들기
혹시 버블로 취업하면 연봉은 어느정도인가요 ㅜㅜ
연차가 쌓이면 연봉 5천정도 를 원합니다.또한 풀스택이나 다른 개발자로 들어갈 수 있을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5년도2회차 기출 해설은 언제 볼수있을까요??
25년도 기출해설은 언제볼수 있을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학습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항상 강의 잘 듣고 있고 유튜브도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제가 4주차까지 진도를 나가면서 개념 강의를 보면 이해가 되는 것 같으면서도 막상 문제를 풀려고 하면 막막합니다. (3주차부터 약간 벽느끼고 있습니다)스스로 풀 수 있는 문제가 거의 없고 1시간 이상 시도만 하다가 해설 강의를 보는 편인데 그 마저도 고민한 해결법과 다른 경우가 많네요아무래도 알고리즘적인 사고가 덜 잡힌 것 같아요...진도를 계속 나가는게 좋을지, 1주차부터 돌아가서 못풀었던 문제를 다시 푸는게 좋을지 고민이 됩니다.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Bean의 필요성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순수 자바로 작성된 AppConfig 파일을 스프링으로 전환하는 과정에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일단 해당 과정에서 AppConfig 내부의 모든 메소드들을 Bean으로 등록하셨는데요. memberRepository나 discountPolicy는 orderService 혹은 memberService의 의존성 주입을 위해 만들어진 메소드들로, 외부에서 사용되지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 맞을까요?따라서 Bean으로 등록할 필요도 없고 public으로 설정할 필요도 없어보이는데, 강의 내에서는 Bean으로 등록하고 public으로 설정한 다른 이유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클라이언트 강제종료시 오류 메세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를 듣다가 똑같이 서버 실행 후 클라이언트 실행한 뒤에 클라이언트 강제 종료시 "Exception in thread "Thread-0" java.lang.RuntimeException: java.io.EOFException" EOFExcetion 오류가 아닌 "Exception in thread "Thread-0" java.lang.RuntimeException: java.net.SocketException: Connection reset" 이 뜨는데 왜 다르게 뜨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 코드는 강사님 코드와 동일합니다.
-
해결됨RAG를 활용한 LLM Application 개발 (feat. LangChain)
문서 전처리에 관한 질문
안녕하십니까 강사님. 제공해주신 고품질의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3.6의 강의 내용 중 문서의 표에 대한 마크다운 전처리를 추천해주셨습니다. 만약 실시간으로 크롤링하는 데이터를 바탕으로 RAG 챗봇을 만든다고 했을 때, 크롤링된 문서를 자동적으로 전처리하는 로직은 따로 없을까요? 사용자가 수동적으로 해야하는 부분일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Spring WebFlux + LLM 실전 구현
기본적 동작과정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일단 제가 생각은컨트롤러에서 Mono 나 Flux 를 반환하고 webflux 가 이를 구독할 때 실행된다. 인데 어쨌든 구독하는 동작도 이벤트 루프 스레드가 하는 거라고 생각합니다.그렇다면 구독에서부터 Mono 또는 Flux 실행까지 같은 이벤트 루프 스레드가 이어서 동작하는 건가요?만약 제가 생각하는 게 맞다면 컨트롤러에서 수행하는 것과 구독후 수행하는 것의 순서만 다를 뿐 성능 차이를 모르겠는데 제가 어떤 부분을 잘못생각하고있는 걸까요? 개념이 잡히지 않아 질문이 좀 이상한 거 같아 죄송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모델의 역할과 계층 분리에 대한 이해 차이 + 추가질문
안녕하세요,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강의에서는 모델을 컨트롤러와 뷰 사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객체로 설명하면서, 컨트롤러는 비즈니스 로직을 직접 수행하기보다는 서비스와 리포지토리에 이를 위임해야 한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그런데 제가 기존에 알고 있던 개념은 조금 달랐습니다. 모델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표현하고, 컨트롤러가 요청을 받아 모델에 명령을 내리면, 모델이 데이터를 조작하거나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 뒤 컨트롤러와 뷰에 변화를 알리는 구조라고 이해하고 있었습니다. 즉, 모델이 도메인 객체(DTO, 엔티티 등)와 함께 비즈니스 로직, 그리고 DB와의 실질적인 연결까지 담당한다고 생각해왔습니다.따라서 강의에서 제시해주신 설명과 제가 알고 있던 개념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것 같아 혼란스럽습니다. 혹시 제가 기존에 이해했던 방식이 잘못된 것인지, 아니면 단순히 접근 방식과 관점의 차이라고 봐야 하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useRef를 사용하는 이유
todo list 구현 중 id 값을 변경할 때 useState가 아닌 useRef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useRef를 사용하는 이유와 사용되는 경우를 아직 이해하지 못해 조금 더 자세하게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ㅠ
-
미해결모두를 위한 대규모 언어 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 Part 1 - Llama 2 Fine-Tuning 해보기
trainer.train() 실행했는데 API key를 입력하라고 합니다. ㅠ
trainer = Trainer( model=model, args=training_args, train_dataset=tokenized_bionlp["train"], eval_dataset=tokenized_bionlp["validation"], tokenizer=tokenizer, data_collator=data_collator, compute_metrics=compute_metrics, ) trainer.train() 강의에서는 training 하면 바로 된다고 하셨는데, 2025년 8월 현재 입력하면 wandb: Logging into wandb.ai. (Learn how to deploy a W&B server locally: https://wandb.me/wandb-server) wandb: You can find your API key in your browser here: https://wandb.ai/authorize?ref=models wandb: Paste an API key from your profile and hit enter: 위와 같이 나옵니다. 어떻게 하면 될까요?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플랫폼 타입 설명 문의
안녕하세요. 플랫폼 타입 설명 중에서 라이브러리를 가져다 쓴 지점을 래핑해서 단일 지점으로 만듦으로써 이슈를 쉽게 대응한다는 게 어떤 말씀이신지 잘 이해나 상황이 그려지지 않아서.. 이게 어떤건지 예시를 통해 알려주실 수 있는지 궁금해서 질문을 남깁니다. '래핑해서 단일 지점으로 만든다'라는 개념과, 이렇게 만들면 이슈를 어떻게 왜 쉽게 대응할 수 있다는건지 이런 부분을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가입 테스트 중 빈값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현재 강의 8분쯤, 회원가입 테스트 할때 "이미 존재하는 회원입니다"를 방지 하기 위해 delete from member; 이후에 정상 작동 되어야 하는데, 오류가 나는 상황입니다. 회원가입 테스트 함수 내에,join 함수 실행 후에, findOne(saveId) 에서 빈값으로 확인됩니다.saveId 의 경우엔 테스트 할때마다 시퀀스가 올라서 11, 12, ... 가 확인됩니다. select * from member; 시에 빈값이고,join(member)가 정상으로 됬기 떄문에 saveId값이 오르고 있는것 같은데,findOne에서 빈값이라고 하니 get()할 값이 없어서 오류가 나는것 같은데,진도를 나가기 위해 어떻게 수정해야 할까요 ? join이 정상실행 됬다는 확인은 해당 소스 위 아래 sout "1" "2" 를 각각 붙였더니 정상 실행 되었고,findOne 위에 sout("3")까지 출력 됬지만, findOne 아래 sout("4")은 출력되지 않고 오류가 떴습니다. 그리고 오류를 찾아가기 위해, 확인하고 싶은 현 시점에 소스 상황입니다.MemberServcie 클래스에서 @Service 와빈 주입을 위한 @Autowired 는 주석처리가 되어 있는데 맞을까요 ? 12분 짜리 강의를 위해 3시간째 ㅠㅠ 버벅이고 있습니다. 도와주세요 ㅠㅠ혹시 제 질문이 부족했다면, 제가 답을 얻기위해 추가 질문이라도 부탁드립니다 ㅠㅠ
-
미해결비전공자 혼자서 하루 만에 수익화 앱 출시하기
개발 MAC 사양 및 추천 관련 질문입니다
이번에 맥을 새로 구매하려고 합니다.개발하실 때 사용한 맥 사양과 사용 경험(불편한 점은 없으셨는지)과혹시 지금 구매한다면 추천해주실 MAC 은 어느 정도 사양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팀 개발을 위한 Git, GitHub 입문
강의자료 부탁드립니다
yumin020293@gmail.com 강의자료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특정 index의 노드 조회하기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1. 특정 index의 노드 조회하기에서 index의 값을 0이나 1로 설정하고 실행시키면0으로 설정시: index0Node = [A->B->C]1으로 설정시: index1Node = [B->C]이런식으로 출력이 되는데 저희가 의도한 출력은 특정 index의 값이므로 index가 0이면 [A], index가 1이면 [B] 와 같이 출력이 되어야 맞는게 아닌가해서 질문드립니다! 메서드를 구현할 때 영한님께서는 Node x = node; 이런식으로 변수에 받아서 구현을 하시는데 제 생각에는 x라는 변수가 굳이 필요 없을 것 같아 아래 코드와 같이 작성해보았는데 잘 작동하였습니다. 변수 x에 담아서 메서드를 처리하는 의도가 따로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private static Node getNode(Node node, int index) { for (int i = 0; i < index; i++) { node = node.next; } return nod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