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리콘밸리 데이터 리더가 알려주는 Airflow 기초
데이터 가져올때 1달치만 가져오는 상태
지금은 정책이 바뀌었는지 기존코드 로는 1달치만 가져오네요. extract 에서data = yf.download(symbol, period="max")기간설정 해주었더니 상장날부터 가져옵니다.비전공자분들 참고하세요
-
미해결업무가 100배 빨라지는 엑셀 데이터 활용과 분석 노하우
파워쿼리 닫기 및 로드 후 오류창
안녕하세요2016 사용하고 있는데 파워쿼리 편집 후 "닫기 및 로드"를 누르면 자꾸 데이터원본을 초기화 할 수 없다는 창이 뜹니다. 해당오류에 대해 답변 주실 수 있는지 문의드립니다.데이터 원본을 초기화할 수 없습니다.데이터베이스 서버를 확인하거나 데이터베이스 관리자에게 문의하십시오. 외부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작업을 다시 수행하십시오. 이 메세지가 다시 표시되면 데이터베이스에 연결할 새 데이터 원본을 만드십시오.
-
미해결Vue3 완벽 마스터: 기초부터 실전까지 - "실전편"
json-server 오류가 다른게 뜨네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다른 분들이 남겨놓은 질문 보고도 문제가 생겨 질문합니다. 설치버전 아래랑 같구요 근데 저렇게 하면 json-server : 'json-server' 용어가 cmdlet, 함수, 스크립트 파일 또는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이름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름이 정확한지 확인하고 경로가 포함된 경우 경로가 올바른지 검증한 다음 다시 시도하십시오.위치 줄:1 문자:1+ json-server --watch db.json+ ~~~~~~~~~~~ + CategoryInfo : ObjectNotFound: (json-server:String) [], CommandNotFound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CommandNotFoundException 이런 에러가 뜹니다. "json-server": "^0.17.4", json-server --watch db.json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Helm편)
helm hook과 Pod initContainer 중 선택
안녕하세요, 강사님. 매번 꼼꼼하게 설명해주시는 덕분에 강의만으로도 충분히 이해를 하다가 처음으로 질문을 남겨봅니다. Helm hook에 대해서 처음 배우면서 기존에 자주 사용하던 Pod 내 initContainer 중 어떤 방식을 택하는 것이 더 좋을지에 대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특정 파드의 main container가 시작되기 전에 항상 먼저 실행되어야 하는 container가 있다고 가정할 때 Helm hook의 pre-install, pre-upgrade을 사용하면 initContainer와 비슷한 동작을 하도록 만들 수 있을 것 같은데 둘 중에 어떤 것을 선택하는 것이 더 일반적인지 혹은 선택에 따른 추가적인 장단점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이 문제에 대해 혼자 고민해봤을 때는 helm hook을 사용하게 되면 install, upgrade, rollback 시점에 대해 모두 고려하여 어노테이션을 지정해줘야 된다는 불편함이 있을 것 같아서 main container가 시작되기 전에 항상 선행되어야 하는 컨테이너가 있다면 initContainer를 활용하는 것이 더 좋지 않을까라는 생각으로 기울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helm hook은 정말 helm install, upgrade, rollback 등과 같은 조금 더 세부적인 helm의 동작에 대해서만 hook을 설정할 때 활용한다고 생각하면 될지 고민입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2025년 출제기준] 웹디자인기능사 실기시험 완벽 가이드
A2 연습중인데 메뉴 배경색과 서브메뉴 크기, 갤러리 그림 정리에 문제가 있습니다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Green복지재단</title> <link rel="stylesheet" href="css/style.css">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header> <div class="header-logo"> <a href="#none"><img src="images/header-logo.jpg" alt="헤더로고"></a> </div> <div class="navi"> <ul class="menu"> <li> <a href="#none">재단소개</a> <div class="sub-menu"> <a href="#none">설립취지</a> <a href="#none">연혁</a> <a href="#none">찾아오시는길</a> </div> </li> <li> <a href="#none">후원하기</a> <div class="sub-menu"> <a href="#none">국내후원</a> <a href="#none">국외후원</a> <a href="#none">맞춤후원</a> </div> </li> <li> <a href="#none">자료실</a> <div class="sub-menu"> <a href="#none">서식자료실</a> <a href="#none">사진자료실</a> <a href="#none">후원양식</a> </div> </li> <li> <a href="#none">스토리</a> <div class="sub-menu"> <a href="#none">웹진</a> <a href="#none">보고서</a> <a href="#none">나의 후원</a> </div> </li> </ul> </div> </header> <div class="slide"> <div class="slide-items"> <a href="#none"><img src="images/slide01.jpg" alt="슬라이드"></a> <a href="#none"><img src="images/slide02.jpg" alt="슬라이드"></a> <a href="#none"><img src="images/slide03.jpg" alt="슬라이드"></a> </div> </div> <div class="contents"> <div class="news"> <div class="tab-inner"> <div class="btns"> <a href="#none">공지사항</a> <a href="#none">갤러리</a> </div> <div class="tabs"> <div class="tab1"> <a href="#none"> SMS 발송 모바일 서비스 개선작업 안내입니다.<B>2020.01.09</B></a> <a href="#none">휴대폰 인증 서비스 개선 작업 기간 연장합니다. <B>2020.01.07</B></a> <a href="#none">카드사 부분 무이자 할부 이벤트 2월 3일까지 혜택<B>2019.12.31</B></a> <a href="#none">올앳 시스템 작업 안내<B>2019.12.20</B></a> <a href="#none">휴대폰 결제 시스템 작업이 완료되었습니다.<B>2019.12.20</B></a> </div> <div class="tab2"> <a href="#none"><img src="images/img1.jpg" alt="이미지1"></a> <a href="#none"><img src="images/img2.jpg" alt="이미지2"></a> <a href="#none"><img src="images/img3.jpg" alt="이미지3"></a> </div> </div> </div> </div> <div class="banner"> <a href="#none"><img src="images/banner.jpg" alt="배너"></a> </div> <div class="shortcut"> <a href="#none"><img src="images/shortcut.jpg" alt="쇼컷"></a> </div> </div> <footer> <div class="footer-logo"> <a href="#none"><img src="images/footer-logo.jpg" alt="푸터로고"></a> </div> <div class="copyright"> 법적고지 개인정보취급방침 개인정보처리방침 <br>상호 : 엣지컴퍼니 | 대표자 : 홍길동 |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장길산 차장 <br>사업장주소 :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 123-56 </div> <div class="family-site"> <select name="" id=""> <option value="https://naver.com">네이버</option> <option value="https://daum.net">다음</option> </select> </div> </footer> </div> </div> <div class="modal-layer"> <div class="modal-contents"> <h1>SNS비회원주문하기 종료 안내</h1> <h2> 안녕하세요, JUST 쇼핑몰 MD 홍길동입니다. 안타깝게도 SNS비회원 주문하기 서비스가 한달 뒤 종료될 예정입니다. <br>회원가입없이 SNS계정을 이용해 그동안 제품주문을 하실수 있었는데, 금번 강화된 개인정보보호법 시행령 제 9조 (부칙 3조 3항)에 의거, SNS를 이용한 상품 주문/결제등이 근래에 많은 보안잇슈로 문제가 되고 있음에 다라 KISA의 권고조치의 일환으로 했습니다. 따라서, 한달뒤인 2019.03.10 이후 모든 비회원 고객님들께서는 회원가입으로 전환 후 실명인증이 되어야 하며, 이는 모든 쇼핑몰/오픈마켓등의 전자상거래서비스의 공통된 사항이라는 점을 안내해드립니다.</h2> <a href="#none" class="close-modal"></a> </div> <script src="script/jquery-1.12.4.js"></script> <script src="script/custom.js"></script> </div> </body> </html>@charset "utf-8"; body{ margin: 0%; background-color: #ffffff; color: #333333; } body a{ color: #333333; text-decoration: none; } .container{ margin: auto; width: 1200px; } header{ height: 100px; } .header-logo{ width: 200px; float: left; padding-top: 20px; text-align: center; } .navi{ border: #333333 1px solid; box-sizing: border-box; width: 800px; float: right; } .contents{ height: 200px; display: flex; } .contents>div{ width: 400px; } footer{ height: 100px; display: flex; } .footer-logo{ width: 200px; line-height: 110px; } .copyright{ width: 700px; text-align: center; padding-top: 10px; } .family-site{ width: 200px; padding-top: 30px; padding-left: 60px; } .modal-layer{ display: none; } select{ text-align: center; } /* 메뉴 */ ul.menu{ list-style: none; position: relative; z-index: 10; padding: 0; } ul.menu>li { float: left; text-align: center; width: 25%; } ul.menu>li>a{ padding: 2px; transition: 0.5s; } .sub-menu>a{ display:block; text-align: center; transition: 0.5s; } .sub-menu{ display: none; } .sub-menu a:hover{ color: #fff; background-color: #333333; } .menu li:hover>a{ color: #fff; background-color: #333333; } /* 슬라이드 */ .slide{ position: relative; height: 300px; overflow: hidden; } .slide-items{ font-size: 0; position: absolute; width: 3600px; height: 300px; } /* 뉴스,갤러리 */ .tab-inner{ padding-top: 20px; } .tab1{width: 95%; padding: 7px; margin: auto; box-sizing: border-box; border: #333333 1px solid; display: none;} .tab1 a{ display: block; font-size: smaller; box-sizing: border-box; border-bottom: #333333 1px solid; } .tab1 a:last-child{ border-bottom: none; } .tab1 a b{ font-weight: normal; float: right; } .tab2{ width: 95%; margin: auto; box-sizing: border-box; border: #333333 1px solid; } .tab2 a{ text-align:center; } .tab2 a img{ width: 100px; } .btns a{ display:inline-block; border: #333333 1px solid; border-radius: 5px 5px 0 0; padding: 2px; border-bottom: #ffffff; background-color: #bbb; } .btns{ margin-left: 15px; margin-bottom: -1px; } .btns a:last-child{ margin-left: -4px; } a.active{ background-color: #fff; } // 메뉴 $('ul.menu>li').mouseenter(function(){ $('.sub-menu').stop().slideDown() }) $('ul.menu>li').mouseleave(function(){ $('.sub-menu').stop().slideUp() }) // 슬라이드 setInterval(function(){ $('.slide-items').animate({left:'-1200px'},function(){ $('.slide-items').css({left:0}) $('.slide-items a:first-child').appendTo('.slide-items') }) },3500) // 탭메뉴 $('.btns a:first-child').click(function(){ $(this).addClass('active') $(this).siblings().removeClass('active') $('.tab1').show() $('.tab2').hide() }) $('.btns a:last-child').click(function(){ $(this).addClass('active') $(this).siblings().removeClass('active') $('.tab2').show() $('.tab1').hide() })서브메뉴가 내려올때 엄청 크게 내려오고, 메뉴의 큰 카테고리에 배경색이 끝까지 채워지지 않습니다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Elasticsearch
vs code 환경에서 실행방법
안녕하세요. 강사님! tutorial.ipynb 파일을 vs code에서 강사님처럼 실행버튼으로 실행하려고 하니 에러가 나서 일단은 로컬 가상환경에서 .py 파일을 만들어서 빌드해서 실행하였습니다. 저 같이 vs code가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들을 위해서 실행방법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바이브 코딩으로 만드는 재미있는 재무제표 (커서 ai)
프롬프트
프롬프트를 넣으려고 하는데 메모장에 있는 그 내용(자료)를 어디서 받을 수 있는걸까요?
-
미해결실전! Django 입문 [최신 5.2 버전]
PRINT_SQL=1 py manage.py shell 에러
settings.py를 똑같이 작성하고, hands_on 경로에 있는 것도 잘 확인했는데,PRINT_SQL=1 py manage.py shell을 작성하면,--------------------------------PRINT_SQL=1 : 'PRINT_SQL=1' 용어가 cmdlet, 함수, 스크립트 파일 또는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이름으로 인식되지 않습니다. 이름이 정확한지 확인하고 경로가 포함된 경우 경로가 올바른지 검증한 다음 다시 시도하십시오.위치 줄:1 문자:1+ PRINT_SQL=1+ ~~~~~~~~~~~ + CategoryInfo : ObjectNotFound: (PRINT_SQL=1:String) [], CommandNotFoundException + FullyQualifiedErrorId : CommandNotFoundException-----------------------------------이렇게 에러가 납니다..그래서 좀 찾아보니까-------------------$env:PRINT_SQL=1py manage.py shell-------------------이렇게 작성하면 된다고 하는데 맞을까요?
-
미해결Do it!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with C++
10986번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지금 알고리즘 책을 보면서 공부 중인데, 사소한 의문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책에서는 구간합 배열을 저장하는 S 벡터와 나머지 카운트를 저장하는 C 벡터의 자료형을 long으로 사용하고, 정답을 누적하는 answer는 long long으로 선언하셨습니다.조건을 보면 구간합 배열의 원소가 최대 101510^{15}1015까지 커질 가능성이 있어, long long을 쓰는 것이 안전해 보입니다. 그런데 책에서는 S와 C에 long을 사용한 것이 의아했습니다.조사를 해보니, 백준 온라인 저지의 채점 환경은 64비트 Linux라서 long이 8바이트로 long long과 동일한 크기라는 것을 알았습니다.그런데 answer는 굳이 long long으로 선언한 특별한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혹시 제가 놓친 자료형 선택의 의도가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문제와 풀이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package thread.executor.te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concurrent.*; import static util.MyLogger.log; import static util.ThreadUtils.sleep; public class NewOrderService { private final ExecutorService es = Executors.newFixedThreadPool(10); public void order(String orderNo) throws InterruptedException, ExecutionException { InventoryWork inventoryWork = new InventoryWork(orderNo); ShippingWork shippingWork = new ShippingWork(orderNo); AccountingWork accountingWork = new AccountingWork(orderNo); try { List<Callable<Boolean>> tasks = List.of(inventoryWork, shippingWork, accountingWork); List<Future<Boolean>> futures = es.invokeAll(tasks); for (Future<Boolean> future : futures){ Boolean value = future.get(); if (!value){ log("일부 작업이 실패했습니다."); } } log("모든 주문 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 finally { es.close(); } } } 코드의 내용을 이렇게 짰는데요.디자인 패턴 중 전략 패턴을 적용하고 싶은데 영 떠오르지 않네요.InventoryWork, ShippingWork, AccountingWork 처럼 계속 인스턴스가 늘어나면, 코드가 번잡해질 듯한데 전략 패턴을 어떻게 녹일 수 있을까요?떠오르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Kafka 입문
섹션7 51 컨슈머서버 무한 리로드?
이전에 컨슈머 서버 ( email-send-consumer ) 에서는 문제가없었는데마지막 email-service에서는2025-08-28T23:50:12.394+09:00 INFO 40252 --- [ner#0.dlt-0-C-1] o.a.k.c.c.internals.ConsumerCoordinator : [Consumer clientId=consumer-email-service.dlt-29, groupId=email-service.dlt] Discovered group coordinator 13.209.11.23:9092 (id: 2147483646 rack: null)2025-08-28T23:50:12.394+09:00 INFO 40252 --- [ner#0.dlt-0-C-1] o.a.k.c.c.internals.ConsumerCoordinator : [Consumer clientId=consumer-email-service.dlt-29, groupId=email-service.dlt] Request joining group due to: rebalance failed due to 'The coordinator is not available.' (CoordinatorNotAvailableException)2025-08-28T23:50:12.396+09:00 INFO 40252 --- [ner#0.dlt-2-C-1] o.a.k.c.c.internals.ConsumerCoordinator : [Consumer clientId=consumer-email-service.dlt-31, groupId=email-service.dlt] Discovered group coordinator 13.209.11.23:9092 (id: 2147483646 rack: null)2025-08-28T23:50:12.396+09:00 INFO 40252 --- [ner#0.dlt-1-C-1] o.a.k.c.c.internals.ConsumerCoordinator : [Consumer clientId=consumer-email-service.dlt-30, groupId=email-service.dlt] (Re-)joining group2025-08-28T23:50:12.396+09:00 INFO 40252 --- [ner#0.dlt-2-C-1] o.a.k.c.c.internals.ConsumerCoordinator : [Consumer clientId=consumer-email-service.dlt-31, groupId=email-service.dlt] Request joining group due to: rebalance failed due to 'The coordinator is not available.' (CoordinatorNotAvailableException)2025-08-28T23:50:12.399+09:00 INFO 40252 --- [ner#0.dlt-0-C-1] o.a.k.c.c.internals.ConsumerCoordinator : [Consumer clientId=consumer-email-service.dlt-29, groupId=email-service.dlt] (Re-)joining group2025-08-28T23:50:12.401+09:00 INFO 40252 --- [ner#0.dlt-2-C-1] o.a.k.c.c.internals.ConsumerCoordinator : [Consumer clientId=consumer-email-service.dlt-31, groupId=email-service.dlt] (Re-)joining group2025-08-28T23:50:12.411+09:00 INFO 40252 --- [ner#0.dlt-1-C-1] o.a.k.c.c.internals.ConsumerCoordinator : [Consumer clientId=consumer-email-service.dlt-30, groupId=email-service.dlt] Successfully joined group with generation Generation{generationId=261, memberId='consumer-email-service.dlt-30-5a032e9e-a903-4fb7-9004-487d74eb6c79', protocol='range'}2025-08-28T23:50:12.411+09:00 INFO 40252 --- [ner#0.dlt-2-C-1] o.a.k.c.c.internals.ConsumerCoordinator : [Consumer clientId=consumer-email-service.dlt-31, groupId=email-service.dlt] Successfully joined group with generation Generation{generationId=261, memberId='consumer-email-service.dlt-31-0cdcda6c-6ddf-4e0b-980a-868f587ed2bd', protocol='range'}2025-08-28T23:50:12.411+09:00 INFO 40252 --- [ner#0.dlt-0-C-1] o.a.k.c.c.internals.ConsumerCoordinator : [Consumer clientId=consumer-email-service.dlt-29, groupId=email-service.dlt] Successfully joined group with generation Generation{generationId=261, memberId='consumer-email-service.dlt-29-2b16177f-2cc3-44c0-b244-50109078218e', protocol='range'}2025-08-28T23:50:12.411+09:00 INFO 40252 --- [ner#0.dlt-1-C-1] o.a.k.c.c.internals.ConsumerCoordinator : [Consumer clientId=consumer-email-service.dlt-30, groupId=email-service.dlt] Finished assignment for group at generation 261: {consumer-email-service.dlt-31-0cdcda6c-6ddf-4e0b-980a-868f587ed2bd=Assignment(partitions=[]), consumer-email-service.dlt-29-2b16177f-2cc3-44c0-b244-50109078218e=Assignment(partitions=[user.signed-up.dlt-0]), consumer-email-service.dlt-30-5a032e9e-a903-4fb7-9004-487d74eb6c79=Assignment(partitions=[])}...이런식으로 계속 로그가 반복됩니다프로듀서에 발행은 완료됐고 cli에서 메세지도 확인했는데컨슈머서버에서 저렇게 자꾸 정상적으로 작동을 하지않습니다 @Service public class UserSignedUpEventConsumer { private final EmailLogRepository emailLogRepository; public UserSignedUpEventConsumer(EmailLogRepository emailLogRepository) { this.emailLogRepository = emailLogRepository; } @KafkaListener( topics = "user.signed-up", groupId = "email-service", concurrency = "3" ) @RetryableTopic( attempts = "5", backoff = @Backoff(delay = 1000, multiplier = 2), // 1 초 2초 4초 8초 16초 5번 dltTopicSuffix = ".dlt" ) public void consume(String message)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UserSignedUpEvent userSignedUpEvent = UserSignedUpEvent.fromJson(message); // 실제 이메일 발송 로직 String receiverEmail = userSignedUpEvent.getEmail(); String subject = userSignedUpEvent.getName() + "님 회원가입 ㅊㅋ"; Thread.sleep(3000); System.out.println("메일 발송 완료"); // 이메일 발송 로그 저장 EmailLog emailLog = new EmailLog(userSignedUpEvent.getUserId(), receiverEmail, subject); emailLogRepository.save(emailLog); } 강사님 코드랑 이전 email-send-consumer 서비스 코드 및 야믈파일도 몇번 확인했는데 다른점이 없습니다 왜그런걸까요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네임드락이 분산 환경에서 유리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1. 현재 학습 진도몇 챕터/몇 강을 수강 중이신가요?4-10 입니다 여기까지 이해하신 내용은 무엇인가요?네임드 락은 분산환경에서 유리하다. 2. 어려움을 겪는 부분어떤 개념이 헷갈리시나요?네임드 락이 분산 환경에서 유리하다 하신 내용에서, 데이터베이스 레벨의 락 제공이기에 유리하다고 이해하였습니다.하지만 비관적락, 낙관적 락 둘 다, db 단 에서 락을 획득하거나 버전 관리를 통해 이루어 진다고 이해하고 있어서 그렇다면 분산 환경에서 유리하다는 것이 네임드 락만의 장점이 아닌것 같다고 생각이 들었습니다.스프링에서 비관적락, 낙관적 락을 jpa 를 활용하여 걸게 된다면, dbever 에서 테스트 해본 것 처럼 db 단에서 처리되어 락을 수행하게 되는 내용이 정확히 맞는지 궁금합니다.만약 맞다면 네임드 락이 분산 환경에서 유리하다는 것이 db 단에서 처리되고, 그 방식 자체가 분산환경에 유리한 내용을 가지고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PCB HW설계 실무 : STM32를 활용한 Mixed-signal 보드 설계 프로젝트
KICAD 오류?
KICAD에서 Label을 정확하게 연결했는데, unconnected wire 에러가 뜨네요... 어떤 문제 때문일까요?
-
미해결바이브 코딩으로 만드는 재미있는 재무제표 (커서 ai)
이런 오류가 계속 생깁니다.
Legacy settings file detected at: C:\Users\oyoyo\.gemini\settings.jsonSuccessfully migrated settings for C:\Users\oyoyo\.gemini\settings.json in-memory for the current session.Legacy settings file detected at: C:\Users\oyoyo\.gemini\settings.jsonSuccessfully migrated settings for C:\Users\oyoyo\.gemini\settings.json in-memory for the current session.Legacy settings file detected at: C:\Users\oyoyo\.gemini\settings.jsonSuccessfully migrated settings for C:\Users\oyoyo\.gemini\settings.json in-memory for the current session.An unexpected critical error occurred:
-
해결됨PCB HW설계 실무 : STM32를 활용한 Mixed-signal 보드 설계 프로젝트
JTAG 통신 질문
결국엔 메인 컨트롤러인 F407과 JTAG 통신으로 디버깅을 할수있게 될텐데, 저 글로벌 PIN을 PB12,13,15,0으로 지정하신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안드로이드 안켜집니다.
❗질문 작성시 꼭 참고해주세요에러 메세지에서 단서를 찾을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에러 메세지를 읽고 한번 검색해보시는것을 추천드립니다.질문글을 작성하실때는, 현재 문제(또는 에러)와 코드나 github을 첨부해주세요.개발중인 OS, ReactNative, Node 버전 등의 개발환경을 알려주셔야합니다.에러메세지는 일부분이 아닌 전체 상황을 올려주세요. 일부만 보여주시면 답변이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를 따라서 실행해보고 있는데,현재 ios는 시뮬레이터가 켜지지만, 안드로이드는 켜지지 않는 상황입니다.npx react-native doctor를 사용하여 뭐가 문제인지 확인했는데 해당 스크린샷처럼 나왔습니다환경변수도 공식문서처럼 다 했습니다.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Index type 질문 있습니다.
1. 현재 학습 진도몇 챕터/몇 강을 수강 중이신가요? 여기까지 이해하신 내용은 무엇인가요? 2. 어려움을 겪는 부분어느 부분에서 막히셨나요?코드의 어떤 로직이 이해가 안 되시나요?어떤 개념이 헷갈리시나요? 3. 시도해보신 내용문제 해결을 위해 어떤 시도를 해보셨나요?에러가 발생했다면 어떤 에러인가요?현재 작성하신 코드를 공유해주세요 이렇게 구체적으로 알려주시면, 더 정확하고 도움이 되는 답변을 드릴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인덱스 타입은 인덱스만 조회하는 경우에는 단순히 논 클러스터 인덱스 안에 있는 칼럼 값들만 조회하기만 하면된다. 라고 말씀을 하셨습니다.근데 제가 클러스터 인덱스/논클러스터 인덱스/ 커버링 인덱스에 대한 개념을 아래와 같이 이해를 했습니다.클러스터 인덱스 - PK를 키로 리프 노드에 모든 데이터가 저장돼 있는 구조 논클러스터 인덱스 - 세컨더리 인덱스를 키로 가지고, 리프 노드에는 “해당 세컨더리 인덱스의 PK를 데이터로 가지고 있음”.커버링 인덱스 - 세컨더리 인덱스를 키로 가지고 있으며, 리프 노드에 “ 해당 세컨더리 인덱스의 PK와 실제 데이터를 가지고 있음” 그래서 위 사진과 같이 설명을 하셨을 때, 잘 이해가 되지 않은 부분이 price만 보는 경우에는 단순히 논 클러스터 인덱스 안에 있는 칼럼 값들만 조회하기만 하면 된다.라는 말씀이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논 클러스터 인덱스의 경우에는 저는 아래와 같이 이해를 했습니다. 1.세컨더리 인덱스가 key이고, 리프 노드에 데이터로 PK를 가지고 있음2.그래서 세컨더리 인덱데스로 원하는 데이터를 직접 찾기 위해서는 리프 노드에 있는 PK를 이용해서 직접 클러스터 인덱스로 접근해서 데이틀 조회해야됨” 그래서 제가 이해한 부분 중에 틀린 부분이 있는걸까요?아니면 제가 이해한게 맞다면 “ price만 보는 경우에는 단순히 논 클러스터 인덱스 안에 있는 칼럼 값들만 조회하기만 하면 된다”라는 말씀이 잘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에서 바로 써먹는 Kafka 입문
섹션6 43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보고있습니다.프로듀서나 컨슈머서버 야믈파일에서 3개의 ip를 적고있는데만약 컨슈머 서버를 2대이상 돌렸을때 기준으로 각 서비스마다 ip를 똑같이 3개 적어야하는건가요? 아니면 1번 서버에서는 리더 노드ip 만2번 서버에서는 팔로워 파티션 노드 ip 만이런식으로 나눠서 적용하나요?또 저런식으로 서버가 나눠져있는경우 순차적으로 메세지 처리는 이전에 강의에서 언급한 하나의 파티션은 단 하나의 컨슈머에만 할당되고 컨슈머는 메세지를 순서대로 처리한다했는데 순서에는 상관이 없는걸까요? 추가로 그다음 섹션보다가 궁금한게현업에서도 라운드로빈방식을 대부분 사용하나요?실무기준에서 궁금합니다!
-
해결됨기초부터 실무까지 제대로 배우는 피그마 UI 디자인 클래스
강의 영상 질문
쌤, 안녕하세요웹 색상 스타일을 HSL 방식으로 등록하기 강의 영상 질문드립니다!!이 강의 내용이 17초에서 끝나는게 맞는 걸까요?강의 내용이 시작하자마자 끝나는 것 같습니다 ㅠㅠ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비개발자 4주만에 수익화 서비스 만들기: AI 바이브코딩 웹 + 앱 ALL IN ONE
현직 백엔드 개발자입니다. 질문드립니다.
현재 백엔드 개발자로써 근무중인 직장인 입니다. 추후 1인 창업을 목표로 이 강의를 구매하였는데요.개발자가 이 강의를 통해 좀 더 시너지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방법이 있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