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4 - 게임플레이 어빌리티 시스템
8강 24:22 CurrentAttributeSet 질문입니다.
정석적으로 코드를 변경하기 전에 에디터를 실행하려 하면 ensure(CurrentAttributeSet); 부분에서 에러가 발생하는데, 해당 시점에 CurrentAttributeSet 이 null 이라 에러가 발생하는 것이라면, 이를 피하기 위해 정석적으로 변경 한 후에 똑같은 시점에서 if문을 통과하는 방식으로 바꾼것 까진 이해했습니다.1. 근데 에디터 실행 시점에는 해당 CurrentAttriabuteSet 이 null 이었다가, 게임 시작 시점에는 값이 채워지는데 이유가 무엇인가요?게임 시작시점에는 문제 없으나 에디터를 실행할때 ensure 구문으로 인해 위와 같은 불필요한 크래쉬가 발생한다면, 그냥 ensure을 안쓰고 if문으로 처리하는게 일반적인가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중급] Flutter 진짜 실전! 상태관리, 캐시관리, Code Generation, GoRouter, 인증로직 등 중수가 되기 위한 필수 스킬들!
디자이너와 협업 시 프레임 크기 설정 관련 질문
반응형 UI를 만들기 위해서 모든 위젯에 정적인 값을 주기 보단, 각 휴대폰의 높이, 너비에 대응할 수 있는 동적인 높이, 너비 값 등을 줘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보통 디자이너와 협업하면 피그마라는 툴로 디자이너가 만든 화면을 바탕으로 제가 개발해야 될텐데요. 이 때 runApp( ProviderScope( child: ScreenUtilInit(designSize: Size(402, 874), child: _App()), ), );이런 식으로 메인 함수에서 프로젝트를 RUN할 때 피그마 환경의 휴대폰 너비, 높이 값을 주고 이를 바탕으로 개발을 해야 될까요?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저는 이런식으로 구현 해보았습니다 !!
function solution(string, char) { let answer = Array(string.length); const positions = []; let initIndex = string.indexOf(char); while (initIndex !== -1) { positions.push(initIndex); initIndex = string.indexOf(char, initIndex + 1); } if (positions.length === 0) return answer; for (let i = 0; i < string.length; i++) { let c = string[i]; if (c === char) { answer[i] = 0; continue; } let bestDiff = Number.MAX_SAFE_INTEGER; for (let j = 0; j < positions.length; j++) { let charIdx = positions[j]; let diff = Math.abs(charIdx - i); if (diff < bestDiff) bestDiff = diff; } answer[i] = bestDiff; } return answer; } 저는 문자열에서 특정 문자가 존재하는 위치를 기반으로 풀어보았습니다 !! 코드 리뷰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
해결됨바이브 코딩으로 만드는 재미있는 재무제표 (커서 ai)
ENV파일
안생기는데 어떻게해야하나요 3.7도 없고... ENV.파일 안생기는거 패스해도 CHAT에 실행하기도 아무것도없어요
-
미해결Kafka & Spark 활용한 Realtime Datalake
ec2 인스턴스 생성
100$ 지원해주는 free tier로 계정을 만들고 Support 플랜이 Basic으로 되어있습니다.인스턴스 유형을 선택할 때 기본적으로 t3.micro로 선택이 되어있고t2.micro를 사용하려면 무료 요금제에선 사용할 수 없고 계정 요금제 업그레이드를 하라고 하는데 요금제를 업그레이드 하고 따라가면 될까요?
-
해결됨코틀린 코루틴 완전 정복
CoroutineDispatcher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CoroutineDispatcher강의를 들다보니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말씀하시기론 CoroutineDispatcher가 코루틴을 스레드로 보내 실행시키는 객체라고 하셨습니다. 하지만 예제에서 singleThreadDispatcher나 multiThreadDispatcher로 선언했던 객체들이 실제로는 Dispatcher라기보단 Dispatcher에 의해 작업이 수행될 스레드인것 같더라고요. 저는 다른 스레드풀에 그저 Dispatch만 하는줄 알았는데 아닌것 같아 뭐가 맞는지 궁금하여 질문남깁니다.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전류 계산에 대한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수업 듣는 중 3상의 전류를 측정하는 부분에서 질문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ias_Cal=((float)(result - Ias_Offset)*3.3f/4095.0f-1.65f)/0.06f;이 코드에서 0.06의 의미가 궁금합니다.연산증폭기에서 22배 증폭을 하였기 때문에 (측정된 전압 /22*0.002옴)을 하여야 하는 것 아닌가요..? 22*0.002는 0.044인데 0.06f 값의 의미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연산증폭기는 제가 잘 몰라서 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바쁘시겠지만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순수 JPA 리포지토리 코드 수정부분
[질문 내용]메소드 이름으로 쿼리 생성 챕터의 첫 예제 코드에서JPA로 직접 작성한 findByUsernameAnd... 메서드 내부createQuery 부분에서 Member.class 를 파라미터로 같이 전달해야 할 것 같아서 글 작성합니다
-
미해결Next.js 까보기: "쓸 줄 아는 개발자"에서 "알고 쓰는 개발자"로
next Request Memoization과 react cache
next.js에서 제공하는 Request Memoization 기능은 같은 엔드포인트 경로로 여러 개의 요청이 들어왔을 때 하나의 요청으로 캐싱해주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3가지 궁금증이 있습니다. Request Memoization 기능은 같은 페이지 한정인가요. 아님 프로젝트 전역에 적용되는걸까요?? 예를 들어 /dashboard 와 /home 두 페이지 모두에서 getUserInfo 라는 fetch 함수를 호출한다면 이 경우도 Request Memoization 이 적용되는건가요.만약 같은 엔드포인트지만 넘겨주는 파라미터가 다를 경우도 Request Memoization이 적용되나요?axios를 사용한다면 Request Memoization 기능을 활용할 수 없는걸로 알고있는데 react에서 제공하는 cache 함수를 사용하면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next Request Memoization과 react cache
next.js에서 제공하는 Request Memoization 기능은 같은 엔드포인트 경로로 여러 개의 요청이 들어왔을 때 하나의 요청으로 캐싱해주는걸로 알고있습니다. 이와 관련해서 3가지 궁금증이 있습니다. Request Memoization 기능은 같은 페이지 한정인가요. 아님 프로젝트 전역에 적용되는걸까요?? 예를 들어 /dashboard 와 /home 두 페이지 모두에서 getUserInfo 라는 fetch 함수를 호출한다면 이 경우도 Request Memoization 이 적용되는건가요.만약 같은 엔드포인트지만 넘겨주는 파라미터가 다를 경우도 Request Memoization이 적용되나요?axios를 사용한다면 Request Memoization 기능을 활용할 수 없는걸로 알고있는데 react에서 제공하는 cache 함수를 사용하면 동일한 효과를 기대할 수 있나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코딩 없이 AI 자동화 전문가가 되는 법, n8n 완벽 가이드
30번강좌 맥북에서는 mcp 연결이 오류가 나네요.
어떤 강의에 대한 질문인지 자세하게 알려주시면 답변을 드리는데 도움이 됩니다. 스크린샷윈도우키 + 쉬프트키 + S(윈도우)을 자세히 첨부하시면 답변 드리는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동영상 재생 관련 같은 인프런 서비스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 주세요맥북에서는 설정이 다른것 같아서 gpt에 물어보면서 이리저리 수정해봐도 잘 안되네요. 혹시 맥북 설정헤 관해서 이슈가 있는지요?
-
미해결graphRAG - Neo4J로 구현하는 지식 그래프 기반 RAG 시스템 (feat. LangChain)
neo4j-nori-analyzer 출처 문의
안녕하세요.법률문서를 다루는 챕터에서는 neo4j-nori-analyzer를 활용했는데요. 해당 jar 파일의 출처를 알 수 있을까요? 인터넷에 검색해봐도 5.24 버전은 안 보여서요.
-
해결됨바이브 코딩으로 만드는 재미있는 재무제표 (커서 ai)
4 OF 5 TO DOS
4 OF 5 TO DOS 면 5가지의 STEP 중 4가지 까지 완료되었다는 의미 같은데 해결방법이 있을까요..?'오픈다트 재무 데이터 시각화 분석 서비스를 만들거야1. corp.xml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서 회사명을 검색하면 corp_code를 웹페이제에서 검색할 수 있게 만들어(검색 기능 check)'이 부분이 넘어가져야 다음 STEP으로 갈 수 있을 듯 합니다..
-
해결됨React, Node.js, MongoDB로 만드는 나만의 회사 웹사이트: 완벽 가이드
ch5-1 관리자 페이지 IP블랙리스트 기능구현 관련
안녕하세요..아래와 같이 에러가뜨는데요;; code: 'MODULE_NOT_FOUND', requireStack: [ '/Users/sungwon/Desktop/Project/Web/company_website/backend/index.js' ]}Node.js v24.4.0[nodemon] app crashed - waiting for file changes before starting....backend > index.js코드 입니다.require("dotenv").config(); 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mongoose = require("mongoose"); const cookieParser = require("cookie-parser"); const cors = require("cors"); const app = express(); const PORT = 3000; const userRoutes = require("./routes/user"); app.use(express.json()) app.use(express.urlencoded()) app.use(cookieParser()); app.use(cors({ origin: "*", credentials: true, })); app.use("/api/auth", userRoutes); app.get("/", (req, res) => { res.send("Hello world"); }); app.get("/api/check-ip", (req, res) => { const clientIP = req.ip || req.connection.remoteAddress; const blacklistedIPs = JSON.parse(process.env.IP_BLACKLIST || '[]'); console.log("Client IP:", clientIP); console.log("Blacklisted IPs:", blacklistedIPs); if (blacklistedIPs.includes(clientIP)) { return res.status(403).json({ allowed: false, message: "Access denied - IP is blacklisted" }); } res.json({ allowed: true }); }); mongoose .connect(process.env.MONGO_URI) .then(() => console.log("MongoDB와 연결이 되었습니다.")) .catch((error) => console.log("MongoDB와 연결에 실패했습니다: ", error)); app.listen(PORT, () => { console.log("Server is running"); });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html 변경하는 부분 적용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html을 templates로 옮겨 타임리프를 이용한 경로 수정에서 app을 다시 실행하고 웹을 새로고침해도 바로 적용되지 않고 Gradle를 refresh해야만 적용이 되는데 혹시 프로젝트 생성 초기 intelliJ 설정할 때 Gradle 프로젝트에서 빌드 및 실행은 IntelliJIDEA로 바꾸는 것에서 영향이 간건지 아니라면 gradle refresh 자동화를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바이브 코딩으로 만드는 재미있는 재무제표 (커서 ai)
아래 스크린샷 부분에서 더이상 넘어가지질 않습니다.
검색어: 오픈다트 재무 데이터 시각화 분석 서비스를 만들거야1. corp.xml을 데이터베이스로 만들어서 회사명을 검색하면 corp_code를 웹페이제에서 검색할 수 있게 만들어(검색 기능 check)를 입력하고 'RUN'을 누르다 보면 돌아가는 중이라는 것만 나오고 아무리 기다려도 더이상 다음 스텝으로 넘어가지질 않네요. 강의가 듣는 사람에게 맞춰져서 무료버전으로 진행되어야 되어야, 이해가 쉽고 빠를 것 같습니다. (무료버전은 accept 버튼도 일단 없구요ㅠ)
-
해결됨[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안녕하세요. 강의 들으면서 업무에 적용하고 싶은 수강생입니다.
강사님의 강의들을 잘듣고 있습니다.정말 실무에 도움이 될까하고 듣고있는데 아직 다듣지는 못하고 있지만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하지만 실무에서 접하는 내용은 또 강의와 깊이가 다를수 있기에 이렇게 실례를 무릅쓰고 문의 드립니다. 제가 있었던 기업에서 전에 쓰던 기법이였는데 그때는 그냥 그렇게 넘어갔지만 강사님의 강의를 듣고 그때 그런 것이 맞았나 복기하고 공부하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 먼저대략은 머신러닝 알고리즘을 두개를 돌리는데하나는 기초 속성을 가지고 lightgbm으로 분류 작업 (1,0) 속성으로 예측을 합니다. 그리고 그 결과중 y_proba를 가지고 k-means 군집화를 하여 군집 클러스트링을 만들려고 합니다. 0) 여러 학습을 할 속성을 전처리해서 가지고 옵니다. 속성을 많은데 뒤에 예측을 하는 20개의 결과 값을 속성과 함께 자지고 온뒤 나중에원본값은 대략 저렇고속성 1----- 속성30 , y_test 1, ... y_test 20... 나중에 y_test 1 부터 y_test20 까지 20개의 예측을 하려고 모델을 만듧니다. 1) LightGBM 으로 분류작업을 합니다. (for 문을 돌아 20개의 예측 즉 모델을 만듭니다.) x_tr1 속성1 속성2 속성3 ...... 속성30 y_test1 0 1 1 ..... 0. 1 . . . x_tr15 속성1 속성2 속성3 ...... 속성30. y_test20 1 0 1 ..... 1 . . .2) Y_test1. y_pred1 y_proba1 0 1 0.91 1 1 0.43 1 1 0.73 0 1 0.80 . . . Y_test15. y_pred20 y_proba20 0 1 0.34 1 1 0.35 1 1 0.73 0 1 0.91 . . . 3) 군집화(k-means) 를 위한 데이터를 만듭니다.Y_proba1. ......... Y_proba20 0.91 .... 0.34 0.43. .... 0.35 0.73 .... 0.73 0.80 .... 0.91 4) 제가 재기하는 문제는 다음입니다.군집화를 위한 데이터를 분류의 결과값중 하나인 y_proba를 써도 되는 건지?왜냐하면 y_proba는 그 맞는지에 대한 확률 값이 아니고 그 값을 예측하기 위한 신뢰도 아닐까요?(예전 현업들은 그 값(y_proba)들을 최종 확률 [즉 맞는 확률 예를 든다면, 암에 걸릴 최종 확률] 로 알고 있더군요.)즉 1 = 예측 0 = 정답 y_proba = 0.9 라는 의미는 0.9의 신뢰혹은 확신으로 예측을 했으니 결과로 틀렸다. 라는 개념인데이것을 마치 (암에 걸릴 확율이 90% 야)의미 있는 값의 나열로 보고 군집을 하려는게 과연 의미있는 결과로 군집이 될지 의문입니다.저희가 붓꼿꽂데이터로 클러스트링으로 군집을 하지만 그 속성들로는 너비같은 관련이 있는 속성을 쓰잖아요.하지만 제가 보내드린 예는 속성이 0.91이라는게 예측이 틀리건 맞건 그냥 그 예측을 위한 신뢰확률성인데 말이죠. 즉 군집화를 위한 기초 값들이y_proba1. y_proba2 .... y_proba 200.91 0.43 0.80...y_proba1. y_proba2 .... y_proba 200.32 0.62 0.65 있다면의 값의 의미는 예를 들어 하나의 로의 하나의 로 의 의미가 0.91 이라 한다면 이건 앞서 lightgbm 예측이 틀린 경우와 맞는 경우를 구분할수 없는 숫자들의 나열 아닌가요? 물론 열로 쭉 늘어 놓은 패턴으로서의 군집을 하려는 의미는 있을지는 모르겠으나... 전문가의 선생님의 의견을 꼭 듣고 싶네요.주말에 이렇게 질문드려서 죄송해요. 그냥 열정이라고 생각해 주시면 좋겠어요, 더운데 몸 조심하세요.
-
미해결실전! GitHub Actions으로 CI/CD 시작하기
섹션4-7. high 이슈 추가 시 slack의 high-test 채널로 상세 알림 미전송
안녕하세요.아래 상황에서 원인을 아직 찾지못해 질문드립니다.강의: 섹션 4-7 키워드 기반 이슈 자동화 2 강의[발생상황]keyword-list.txt 파일에 high 텍스트를 추가 후 이슈에서 high-test 로 이슈 생성github action 이 실행되고 알림이 슬랙에 전송되나, critical-issue, normal-issue 채널과는 다르게 알림이 추가되었다는 문구만 표시 초기에 생성한 actions 채널에 상세 알림이 전송되어 표시 [시도해본 작업]레포 high 환경변수 secret에 웹훅 url 을 새로 추가
-
해결됨GPT + Bitget API로 만드는 실전 자동매매: 나만의 선물거래 봇 완전히 구현
맥에서는 수업자료를 열수없어요 ㅠ
수업에 사용하는 코드가 exe 파일에 묶여 있어서, 맥에서는 열수가 없습니다. vscode 용 소스코드들은 zip 으로 따로 올려 주실 수 있을까요?
-
미해결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오해: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잘 분리해야한다." 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 아래와 같은 내용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이 있고, 이 생각에 대해 강사님의 생각이 궁금하여 질문 글 올립니다. "오해: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잘 분리해야한다." 저 또한,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분명하게 구분하기에는 모호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를 분리해서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합니다.명확한 합의는 없으나, 팀 내 혹은 저에게 있어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아래와 같이 구분하고자 했습니다.단위 테스트 : 외부의 영향이 존재 하지 않고 가장 작은 단위로써 해당 부분 내에서만 테스트를 진행.통합 테스트 : 외부의 영향까지 반영하여 테스트. 스프링부트 테스트, JPA 테스트 등 이렇게 분리해서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테스트에 대한 빠른 피드백테스트 할 때 빠른 피드백과 빠른 수정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단위 테스트의 경우 외부 영향 없이, mock을 통해 빠르게 내가 목록화한 테스트를 진행하며, CI 환경에서도 빠르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반면, 통합 테스트의 경우 비교적 시간 소비가 많이 됩니다. 스프링부트 테스트의 경우 비교적 적은 시간이 소비되지만, JPA 테스트와 같이 디비에 대한 테스트 혹은 다른 플랫폼( 예 : 키클락 등)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컨테이너와 같은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도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비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특히 저희 회사의 경우 테스트 환경이 많이 좋지 않아 시간이 훨씬 더 많이 걸리게 됩니다.그래서 저는 단위 테스트랑 통합 테스트를 분리하여 개발 환경에서는 단위 테스트를, 운영 CI 환경에서는 단위 + 통합을 함께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분리해서 진행하는 것은 나름 장점이 보이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 부분에 대해 강사님의 의견과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피드백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