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pdf에 이 코드 수정되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6. 스프링과 문제 해결 - 예외 처리, 반복.pdf(v20231127)11페이지의 MemberServiceV4Test 코드에서 이번 강의에서 throws SQLException이 더 이상 필요 없어져서 지우셨는데강의 자료엔 아직 남아 있어서 제보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이체 로직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계좌 이체 로직 중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 String sql = "UPDATE member SET money = ? WHERE member_id = ?";이렇게 멤버를 db에서 찾아와서 getMoney 하고 이체할 금액만큼 증감해서 update를 수행하도록 한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money); memberRepository.update(toId, money); } String sql = "UPDATE member SET money = money + ? WHERE member_id = ?" 이런 식으로 update sql문 내에서 현재 금액에서 이체 금액만큼 증감하도록 하고 update문만 호출하는 것이 더 간편하고 안전한 방법이 아닌가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 글을 올립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MyOnClassCondition에 있는 matches method의 Invoke 횟수
안녕하세요 토비님, 질문의 앞서, 좋은 강의자료 감사드립니다. 앞으로도 계속 꾸준히 만들어 주세요! ^^ 혹시 MyOnClassCondition에 있는 matches method의 Invoke 횟수를 어떻게 예상하시나요? 저는 두번이라고 생각했는데요. "@ConditionalMyOnClass" annotation이 붙어있는 클래스가 두개 뿐이라서요. 그런데, 실제로 matches 안에서 출력을 해보니, 세번이 출력 되었습니다. 예상대로, TomcatWebServerConfig와 JettyWebConfigServerConfig를 각각 출력 했는데요. 그후에 한번 더 출력하더라구요. 마지막 출력은,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것에 대한 config가 출력 됬습니다. 혹시 이유를 아시는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첫번째 테스트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test2.mv도 만들고 h2버전 build.gradle에 입력두 해봤는데 해결이 안되네요 ㅠㅠ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인용구의 출처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마지막에 조영호님의 프레임워크에 대한 견해를 소개해주셨는데요. 조영호(프레임워크3부) 라는 설명이 달려있는데프레임워크3부 라는 것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오타인 것 같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5. 자바 예외 이해.pdf (v20231127) 6페이지에MyUncheckedException이라고 써져 있는데 MyCheckedException으로 바꿔야 할 것 같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스프링 jpa 기반의 Entity가 올라온다면 서비스 계층이 순수하다고 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내용을 쭉 들으면서, 결과적으로 서비스계층에 어떻게 하면 순수한 비즈니스 로직을 남겨둘수 있을까? 에 대한 고민을 풀어주셨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저 개인적으로 드는 의문은, 일반적으로 JPA를 사용한다면 jpa ORM Entity가 서비스계층에 출몰하게 될텐데, 이는 곧 서비스계층이 JPA기반의 스택에 의존하게 된다는 것 아닌가요? 예를 들어 DB를 MYSql -> Mongo로 바꾼다고 했을 때, 서비스계층에서의 코드변화도 필요할 것 같은데,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시는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이게 데이터베이스 강의인걸로아는데
자바 고급편끝나고 데이터베이스 강의를 따로 내신다고하셔서요 무슨차이가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템플릿 및 콜백패턴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강의를 듣고 구글링을 해보긴했는데,아직 jdbcTemplate이나, 앞서 강의에서 배운 트랜잭션 템플릿에서 람다식의 매개값으로 해당값이 왜 들어가야하는건지, 또는 템플릿의 동작원리라던지.. 이해가 명확하게 되지않아서 이 부분을 그냥 넘어가야하는건지, 아니면 좀 더 알아보고 질문하면서 명확하게 짚고 넘어가야하는건지 질문드립니다..+ 혹시 콜백패턴이나 jdbcTemplate이나, 앞서 강의에서 배운 트랜잭션 템플릿에 대해서는 추후 강의에서 좀더 자세히 설명해주시는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PlatformTransactionManager가 주입되는 이유
제가 알기로는 스프링에서 의존성 주입을 위해서는 @Component등의 어노테이션이 달려 있어 빈으로 등록되어야 컴포넌트 스캔에 의해서 자동으로 주입된다고 알고있는데요PlatformTransactionManager는 클래스를 확인해보아도 그러한 어노테이션이 없는데도 자동 주입되는 이유가 뭔가요? gpt에 물어보니 스프링이 제공하는 트랜잭션 관리 기능의 핵심 인터페이스이므로 빈으로 등록하지 않아도 주입된다고 하는데 맞는말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커넥션을 가져오는 원리
DataSourceUtils.getConnection()가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가 관리하는 커넥션이 있으면 해당 커넥션을 가져오는것은 알겠는데요, 어떻게 알고 가져오나요? 예를들어 13분에 나오는 public class MemberServiceV3_1 { private final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V3 memberRepository;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status =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Definition()); try { //비즈니스 로직 bizLogic(fromId, toId, money); transactionManager.commit(status); //성공시 커밋 } catch (Exception e) { transactionManager.rollback(status); //실패시 롤백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 private void bizLogic(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 private void validation(Member toMember) { if (toMember.getMemberId().equals("ex"))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체중 예외 발생"); } } }이 코드에서 bizLogic 부분에는 트랜잭션 매니저와 같은 파라미터를 전달해주지 않는데, 아무리 DataSourceUtils.getConnection()를 쓴다 한들 어떤 트랜잭션 매니저가 시작한 커넥션인지 어떻게 아는거죠?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스프링 추상화 질문(exTranslator.translate)
안녕하세요 김영한 강사님. 질문 있습니다!질문: JDBC 기술 외에 어떻게 스프링 예외 추상화를 적용시킬 수 있는지. exTranslator.translate를 통해서 스프링 예외로 변환하는 것은 편한 것 같습니다. 그런데 MyBatis나 JPA 같은 기술을 사용할 땐 어떻게 사용해야할 지 감이 안오네요JPA는 제가 잘 모르지만 SQL문을 JDBC 처럼 직접 작성해서 pstmt를 통해 보낼 것 같진 않고, MyBatis는 Mapper.xml를 통해 SQL문을 작성하게 되는데 어떻게 스프링 예외 추상화를 적용 시킬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DriverManagerDataSource import가 안돼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사진 첨부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프로퍼티 빈의 후처리기 도입 AnnotationUtils의 사용
강의 도중 AnnotationUtils를 사용하여 애노테이션의 정보를 얻어오는 부분이 있습니다.MyConfigurationProperties annotation = AnnotationUtils .findAnnotation(bean.getClass(), MyConfigurationProperties.class); if (annotation == null) return bean; Map<String, Object> attributes = AnnotationUtils.getAnnotationAttributes(annotation); String prefix = (String) attributes.get("prefix"); return Binder.get(env).bindOrCreate(prefix, bean.getClass()); 여기에서 attributes를 가져오지 않고 annotation.prefix() 를 사용해서 정보를 가지고 올 수도 있다고 생각됩니다만 AnnotationUtils를 사용할 때의 다른 이점이 있는 것인가요??MyConfigurationProperties annotation = AnnotationUtils .findAnnotation(bean.getClass(), MyConfigurationProperties.class); if (annotation == null) return bean; return Binder.get(env).bindOrCreate(annotation.prefix(), bean.getClass());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SimpleCacheConfiguration과 빈 등록
안녕하세요! 수업을 듣다 질문이 생겨서요! SimpleCacheConfiguration의 Condition Report가 Positive한 것 까지는 이해가되는데요! 그안에, @Bean의 파라미터를 보면, CacheProperties와 CacheManagerCustomizers가 있더라구요! 제 생각에는 해당 값들이 없을 때는 Bean등록이 되지않고 에러가 나는게 아닐까 싶은데, 에러가 나지않더라구요!문서를 찾아 읽어보니, @EnableCaching과 함께 사용할 때 SimpleCacheConfiguration에 있는 Bean을 주입받을 수 있던데, @EnableCaching이 없이도 어떻게 SimpleCacheConfiguration이 에러가 없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커넥션풀과 DB 드라이버 그리고 DataSource에 대한 정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 내용에서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궁금해서 생각 정리와 중간 질문을 남깁니다. 개념적 이해가 들리거나 부족한 부분을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ㅠㅠ1. Repository가 DB를 접근을 하려면 3 way handshake 방식을 통해 커넥션 객체를 얻게되고 해당 객체를 통해 DB에 필요한 sql 문을 전달하고 응답을 받습니다.2. DB 회사마다 시스템이 다르기때문에 커넥션 객체를 얻기위해 (데이터 연결) JDBC 라는 인터페이스로 추상화하였고,각 DB들(Oracle DB, mysql 등등)은 JDBC인터페이스로 구현하여 라이브러리로 제공합니다. DriverManager 를 통해 해당 구현체를 탐색 후 연결할 수 있습니다.3. DriverManager로 연결하는 것은 직접 커넥션을 받아오는 방법이고 sql전달 후에 커넥션을 닫아야하기에 번거로워 커넥션풀이라는 새로운 연결방식이 나왔습니다. 4. Connection pool 은 프로그램 실행시 설정해둔 개수만큼 미리 DB와 연결작업을 하여 커넥션 객체를 받아오고 저장해놓습니다. ------ 중간 질문 ------4 번에서 Connection Pool이 미리 커넥션 객체를 받아올때, DriverManager를 사용하는 것인지 아니면 커넥션풀 구현체가 직접 라이브러리에 있는 드라이버 구현체를 통해 연결을 얻어오는 것인지 궁금합니다.----------------------커넥션 풀 또한 다양한 구현체들이 있기에 DataSource 라는 인터페이스로 추상화하였습니다. DriverManager 같은 경우 스프링에서 DriverManagerDataSource 구현체를 제공합니다. 하지만 DriverManagerDataSource은 커넥션 풀은 아닙니다.6. 결국 DB를 연결하고 sql을 전달하기 위해선 DataSource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면 되고, 커넥션풀을 사용하고 싶으면 해당 구현체를 DriverManager 를 통한 직접연결을 하고 싶으면 DriverManagerDataSource를 사용하면 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드라이버 연결하는데 있어서 Class.forName(); 은 필요없을까?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dbc 를 통해 연결하는 여러 가이드들을 검색하다 Class.forName("Driver주소"); 를 통해 드라이버 로딩을 하고 강의와 같은 로직을 수행하는 코드를 본적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물론 라이브 코딩을 통해 Class.forName("Driver주소"); 없이도 잘 연결되는 것을 알고 있지만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으면 어떤것이 더 좋은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datasource의 구현체를 커넥션 풀링을 사용하는 구현체 일 때 트랜잭션매니저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DataSourceUtils.getConnection(dataSource) 를 사용하면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가 관리하는 커넥션이 없는 경우 새로운 커넥션을 생성해서 반환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이때 dataSource의 구현체가 커넥션 풀링을 사용하는 구현체 (예를 들면 실습했던 HikariDataSource) 라면 미리 커넥션을 생성해둔 후 커넥션 풀에 보관해두고, 사용 시에 조회해 오는 것으로 알고있었습니다.그렇다면 이 때 위의 굵은 글씨 내용 중 새로운 커넥션을 생성한다는 것은 커넥션 풀에서 새로운 커넥션을 조회해오는 것 인가요 아니면 아예 새로운 커넥션을 생성하는 것 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강의 결제 했습니다!
믿고 듣는 김영한 강사님 강의! 최근에 구매한 김영한 강사님 강의 다 듣고 이것도 열심히 들을게요!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예외 변환에 대하여 궁금한게 있어서 여쭤봅니다..!
선생님 예외쪽 수업을 계속 듣다가 예외를 변환할 때 기존 예외를 꼭 포함하기 위해 기본 생성자인 public MyDbException() { }를 안만들고 나머지만 만들어서 이러한 상황이 안나오게 하는게나아보인다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렇게 하는 건 뭔가 안좋은게 있거나 하는건가요? 실무에서는 어떻게 하는지도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