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출력 로그 중 Pool stats가 출력되지 않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사님과 출력 로그를 동일하게 만들기 위해서 강의 자료에서 제시한 대로 설정을 마쳤습니다.근데 강사님의 출력 로그엔 Pool stats가 있는데 저는 그 부분이 출력되지 않습니다어떻게 출력할 수 있나요?항상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오타문의] 스프링 JdbcTemplate 예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예외를 확인하기가 편리하다. 인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db1 - 스프링과 문제해결 예외처리,반복 강의 관련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스프링 예외 추상화 이해 파트 부분 강의에서 스프링이 제공하는 예외 변환기 부분에서 test 코드 짜실때 DataSource dataSource;@BeforeEachvoid init(){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이런 식으로 작성하셨는데 @BeforeEach 안쓰고 @Test 코드 작성하기 전에 테스트 클래스 상위에 DataSource dataSource = new DriverManager~();이런식으로 작성하는건 안되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db1 - 트랜잭션 매니저 강의 관련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트랜잭션 매니저 관련 강의를 듣고 있는데요 예를 들어 private final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이렇게 해서 트랜잭션 매니저를 주입받는다고 했는데 이 클래스가 빈으로 등록된것도 아닌데 어떻게 주입받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커넥션 풀의 세션 처리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있습니다.커넥션 풀과 세션처리에 관해서 궁금증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커넥션이 맺어질때 클라이언트와 DB 간에 세션이 생성되고 커넥션이 종료되면 세션도 닫힌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렇다면 커넥션을 닫는게 아닌 풀에 반환할때도 세션이 닫히나요? 만약 닫힌다면 어떻게 세션을 다시 열 수 있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h2의 JdbcConnection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사님 자료에서h2 커넥션은 JDBC 표준 커넥션 인터페이스인 java.sql.Connection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고있다.라고 나와있습니다.혹시,1.JDBC 표준 커넥션 인터페이스인 Connection 인터페이스가 존재한다.2.h2 Connection은 JDBC 표준 커넥션 인터페이스인 Connection 인터페이스를 상속 받아서 실질적인 기능을 구현한다.3.즉, h2 Connection은 JDBC 표준 커넥션 인터페이스인 Connection 인터페이스의 구현체이다.이런 순서로 이해하면 옳게 이해한 것이 맞나요? 항상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JDBC와 API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DBC는 자바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자바 API이다. 라고 말씀하셨습니다.근데 API의 정확한 의미가 무엇인가요?API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로 누군가가 코딩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것이라고 이해하고 있습니다.예를 들어, 계산기 API를 만들어 놓으면 다른 사람들이 계산기 API를 가져와서 사용하면 계산기를 쉽게 구현하고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근데 데이터 API처럼 공공 데이터를 사용할 때, 데이터베이스처럼 인증 키를 받아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는 것도 API라고 하던대 어떤 설명이 맞는건가요?2개다 옳은 설명인건가요?아니면 데이터 API란 "해당 데이터를 가져오는 기능"을 가진 API라는 의미로 이해하면 되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DB1 - JDBC 개발 조회 강의 관련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dbc 개발-조회 강의에서 MemberRepositoryV0Test 에서 findById 에서 isEqualTo()에서 결과가 참인 이유가 롬복의 @Data 가 equals()를 오버라이딩해서라고 하셨는데 롬복의 @Data 를 만약 안쓰면 isEqualTo() 값이 false가 되나요??@Data 안 써도 isEqualTo() 자체가 자바의 equals() 랑 비슷해서 참이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PropertySourcesPlaceholderConfigure 등록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토비님이 저술하신 토비의 스프링 3.1의 내용을 보면 BeanFactoryPostProcessor를 구현한PropertySourcesPlaceholderConfigure를 Bean으로 등록할 때는 static 메소드를 통해 등록해야 한다고 봤었습니다.현재 보고 있는 스프링 부트 강의에서는 이를 일반 메소드로 등록하셔서 사용하시던데,스프링 부트에서는 static 메소드로 등록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을까요?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PropertySourcesPlaceholderConfigure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먼저 양질의 강의를 제공해주신 점에서 매우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있습니다. 강의에서 /app란 값을 @Value로 주입을 해줬을때 ${contextPath}만 출력이 되는 부분에 질문이 있습니다. 제가 이해하기로는 커스텀 빈들이 먼저 주입이 되기 때문에 실제로 스프링부트의 인프라스트럭처 빈인 PropertySourcesPlaceholderConfigurer가 주입이 되지 않아 ${contextPath}가 나온다고 이해를 했습니다.제가 이해한게 맞다면 빈의 주입 순서에 따라 @Value의 값이 달라진다는 것인데, 만약 tobyspring.config.autoconfig.PropertyPlaceholderConfig 이 클래스가 tobyspring.config.autoconfig.TomcatWebServerConfig 이 클래스보다 더 늦게 주입이 된다면 여전히 ${contextPath}가 나오게 되는지 궁금합니다!또한 테스트를 한 번 해보고싶어서 계속해서 시도해봤지만 테스트 방법이 도저히 감이 오질않는데, 이럴 때는 어떻게 테스트를 하면 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h2 실행
맥북 사용자 입니다.h2를 실행할 때 마다 터미널콘솔창에서 실행해야하나요?처음에 모드변경해주면 그다음부터는 파일에서 바로 실행해도 되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mysql드라이버와 H2 드라이버는 다른건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반면에 URL이 jdbc:h2 로 시작했는데 MySQL 드라이버가 먼저 실행되면 이 경우 본인이 처리할 수 없다는 결과를 반환하게 되고, 다음 드라이버에게 순서가 넘어간다."라고 강의 자료에 나와있습니다.이 부분이 잘 이해가 안됩니다URL이 JDBC:h2로 시작했는데 MySQL 드라이버가 먼저 실행되면이 무슨 의미인가요??H2도 DB의 한 종류이고 MySQL도 DB의 한 종류이므로코드에서 H2를 사용할지 MySQL을 사용할지 하나를 선택해서 코드를 작성하고 그 뒤에 작성된 코드에 따라 H2 드라이버나 MySQL 드라이버를 선택해서 실행되는것 아닌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변수 연결이 안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강사님을 똑같이 따라했는데위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왜 그런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프로젝트 실행이 안돼요
너무 안되어서 게시판에있는 gradle-> intellij로 바꾸어실행하기 등등 다 해봤는데 해결되지가 않네요 ㅠㅠ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트랜잭션 추상화 후 커넥션 풀 관련 질문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트랜잭션 추상화 후 트랜잭션 매니저에서 데이터소스를 통해 커넥션을 생성한다고 강의에서 말씀해 주셨습니다.@Transactional을 사용하면 커넥션 풀을 사용하는지 DriverManger를 통해 신규 커넥션을 생성하는지와 커넥션 풀을 사용한다면 어떤 커넥션 풀을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초기 설정에서 질문 있습니다
제가 community version을 사용 중이라 이니셜라이져에서 파일 만들어서 오픈 하는 방식으로 프로젝트 생성을 했는데 404에러도 나오지 않고 컨트롤러를 만들어도 우측 상단에 런버튼이 작동 하지 않습니다. 혹시 다른 설정해야 할 부분이 있을까요?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블로그 정리 문의
안녕하세요 토비님먼저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스프링의 기본부터 다시 배우고자 해당 강의를 신청하게 됐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혹시 강의 내용과 pdf 강의 자료를 제 블로그에 정리해서올려도 되는지 여쭙고자 글 남겨드렸습니다.다른 분들과 공유보다는 스스로 복습하는 용도로 글을 작성하는 목적이 크지만 인터넷에 올라오는 내용인 만큼 먼저 허락을 구하고자 합니다.(강의 내용과 강의 자료를 그대로 복붙하지는 않고 스스로 정리한 다음 포스팅 하고자 합니다.)최대한 지양하겠지만 필요하다면 pdf 파일 속 그림이나 사진을 올릴때도 있을것 같습니다.당연히 출처는 남기겠습니다.만약 불가하시다면 비공개 처리하여 공유 및 열람이 안 되도록 조치해놓겠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Conditional 학습테스트 강의 중 오타 질문
@Test void conditional() { new ApplicationContextRunner().withUserConfiguration(Config.class) .run(context -> { assertThat(context).hasSingleBean(MyBean.class); assertThat(context).hasSingleBean(Config.class); }); new ApplicationContextRunner().withUserConfiguration(Config2.class) .run(context -> { assertThat(context).doesNotHaveBean(MyBean.class); assertThat(context).doesNotHaveBean(Config2.class); }); } 토비님이 작성해주신 코드에서 Config2 를 테스트 할때 Config2의 빈의 생성유무를 체크를 해야할 거 같은데 맞을까요?26번째줄입니다.맥락상 FalseCondition인 Config2를 ApplicationContext에 빈이 생성되어 있는지 생성 되지 않았는지에 대한 맥락에서 테스트의 목적은 생성되지 않아야 함으로 assertThat(context).doesNotHaveBean(Config2.class);이게 맞을거 같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HttpServletRequest.session에 관련된 질문입니다.
서버에서 session이 어떤식으로 관리되는지 궁금합니다.궁금하게 된 이유는 저희가 흔히 인증방식을 jwt token을 쓸 경우 session less때문에 서버에 부하를 줄인다고 알려져 있는데spring boot를 포함한 다른 서버들도 각 요청마다 HttpServletRequest.session이 담겨져서 오고있고 실제로 컨트롤단에서 사용할 수 있는데 단지 session객체를 참조하지않고 사용한다는 것 만으로 세션을 안쓰기 때문에 서버에 부하를 안준다고 말할 수 있는 걸까요? 제가 생각하는 서버에 부하를 안준다는건, session객체 자체가 생성되지 않아야 부하가 안생긴다는 말이 자연스러울거 같은데, 단지 session객체를 참조해서 쓰지 않는다는 이유만으로 서버의 부하가 없다고 볼 수 있는지 (체감이 될 정도) 궁금합니다.아마 제가 session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해서 드는 궁금함 같습니다.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DataSource 자동 구성 클래스' 강의 중 DataSourceConfig 클래스 설정
안녕하세요. 정말 재밌고 알찬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영상에 추가가 안 된 부분인거 같아 질문 올립니다.DataSource 자동 구성 클래스 강의 중에 'DataSourceConfig' 클래스를 정의하고, com.southouse.config.MyAutoConfiguration.imports에 패키지 이름을 추가해줘야 하는데 이 부분이 영상에서 빠진거 같아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