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지상편)-인프런 일프로강사님 / 4주차 발자국
강의 수강
일주일간 학습한 내용
Helm과 Kustomize 비교하며 사용하기 - 패키지 구조 비교 및 Kustomize 배포
이번 강의에서는 쿠버네티스 패키지 매니저인 Kustomize에 대해 배우며 Helm과 비교하는 시간을 가졌습니다.
kustomize가 확실히 간편하고 쉽게 배포할 수 있기는 한 것 같습니다. 물론 helm에 비해 환경별로 세세하게 제어할 수는 없어보이긴 하지만 ..?
ArgoCD 빠르게 레벨업 하기
Jenkins Pipeline과 비교해 배포가 간단했던 것 같습니다.
각 파이프 마다 이동해서 확인하는 Jenkins에 비해 ArgoCD는 실시간으로 Pod 로그도 볼 수 있어서 보다 편리했습니다.
도커 이미지의 태그가 달라지는 것을 자동으로 감지시켜 주어 동기화를 시켜줄 수 있고 깃과 동일한 환경을 구축할 수 있게 되는 옵션도 배웠습니다.
CLI를 사용해 쉽게 배포 모니터링도 가능했고
Argo Rollouts로 명령줄로 쉽게 배포하는 실습을 진행했습니다.
앞선 수업에서 배포 실습에서 진행한 블루-그린과 Canary 배포 전략을 실습했습니다.
회고
아쉬운 점
이제 쿠버네티스 인강을 보는 것에 익숙해진 것 같은데 끝나서 아쉽습니다.
그동안 제 100프로의 노력을 다하지 못하고 1달을 보낸 것 같아 아쉽습니다.
보완하고 싶은 점
영상들을 다시 복습하면서 제 블로그에 복습 내용을 정리해보고 싶습니다.
실습 과정들도 복습하면서 제가 원하는 대로 수정도 해보고 제것으로 만들어서 나중에 코드들만 갖고 저만의 환경, 프로젝트에 사용해보고 싶습니다.
나아진 점
쿠버네티스의 이론적인 이해가 늘었고 이미지를 통해서 배우다보니 그냥 명령어로 배울 때보다 머리 속에서 정리가 잘 됐습니다.
처음 해보는 실습들을 배우며 이론의 이해도가 늘었습니다.
미션5
Docker와 Containerd의 차이를 실습을 통해서 더 와닿았습니다.
추후에 도커 사용 횟수를 모두 채웠을 때 무작정 기다리지 않고 Containerd를 사용해 지속적인 이미지 사용 방법을 알게 됐습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