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반도체

  • 해결 여부

    미해결

Chatper 24 실습편 질문

24.01.01 16:47 작성 조회수 229

1

바쁘신데 항상 감사드립니다.

실습 강의를 들어보면 ready신호가 아래와 같이 할당 되어있습니다.

assign ready = m_ready || ~m_valid ;

 

여기서 궁금한 점은

첫 번째, m_vaild는 skid buffer의 Master에서 줄 data가 없는 상태라고 말씀해주셨는데.

skid buffer의 Master란 다른 말에 skid buffer 내로 들어오는 s_data 쪽을 의미하는지 궁금합니다.

 

두 번째, valid , ready I/F의 정의는 두 signal 모두 1일때만 data 전송이 유효하다고 알고 있는데

assign ready = m_ready || ~m_valid ;

위의 코드는 assign ready = m_ready && m_vaild가 아닌 이유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

  1. 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

  2. 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

    1. 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

  3. 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

    1.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2. 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4.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5.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답변 2

·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0

안녕하세요, 새해 첫 질문이었군요! 답변이 늦었습니다 죄송합니다 ㅠ

A1. ~m_valid 는 만약에 m_valid 가 0 이라면, skid 버퍼의 master 기준에서 줄 data 가 없다는 뜻입니다. 즉, skid 버퍼 내의 버퍼가 비어있다라는 뜻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skid 버버기준 slave 를 통해서 새로운 data 를 받을 수 있는 상태이고요. ready 를 1 로 하여 새로운 data 를 채울 수 있음을 의미합니다. m_valid 가 1 이라면 그 반대입니다.

A2. naming 이 헷갈리실 수 있는데요. s_ , m_ 가 붙은 것은 모듈의 in / out port 입니다.

ready signal 은 모듈 내부에서 사용합니다. (port 가 아니죠)

handshake 는 모듈 간의 통신에서 사용합니다. 따라서 ready 를 handshake 와 연관지으시지 않는 것이 좋아보여요. ready 는 내부 skid 버퍼를 구현시 필요한 조건을 저장하는 signal 로 사용했습니다.

 

즐공하세요 🙂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인프런 AI 인턴

2024.01.03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항상 감사하면 살기님의 Verilog HDL에 대한 질문에 답변드리겠습니다.

첫 번째 질문과 관련하여, skid buffer의 Master가 가리키는 것은 일반적으로 skid buffer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주체를 의미합니다. 즉, skid buffer의 입력(data in) 쪽과 연결된 컴포넌트를 말합니다. skid buffer의 Master가 데이터를 제공하지 않는 상태, 즉 m_valid 신호가 0일 경우에는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다고 볼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 valid, ready 인터페이스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 인터페이스는 Handshake를 통해 데이터 전송의 유효성을 결정합니다. 여기서 assign ready = m_ready || ~m_valid; 코드를 보면, ready 상태는 m_ready 신호가 1이거나 m_valid 신호가 0일 때 ready 상태가 됩니다. 이는 데이터가 유효하지 않은 상황에서도(데이터를 받을 준비는 되어 있지만, 유효한 데이터가 없는 상태) ready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만약 assign ready = m_ready && m_valid;와 같이 코드를 작성한다면, 데이터가 유효할 때만 ready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이는 버퍼가 비어 있는 경우에도 데이터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데이터 전송 효율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강의 내용과 관련된 추가적인 부분에 대한 질문이라면, 강의의 지식 공유자님께 좀 더 상세한 답변을 받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설명이 이해가 가지 않거나 추가적인 설명이 필요하다면 해당 강의의 ‘수강 전 문의 게시판’이나 ‘문의하기’ 기능을 통해 지식공유자님께 직접 질문을 남겨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