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SRAM 강의 modelsim 시뮬레이션에서 inner 메모리를 Objects 리스트에서 찾으려고 하는데 안보입니다.
삼코치님 sram강의에서 waveform에서 inner 메모리를 보기위해서 modelsim에서 Memory List 부분에서 sram인스턴스 네임을 클릭하면 Objects 리스트에서 mem 시그널이 표시된다고 하셨는데 Memory List에서 클릭을 했는데 Objects 목록에서 mem 시그널이 안 뜨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일단 저는 최신 quartus프로그램과 questa를 깔긴했는데 강의에서 처럼 quartus 20.1버전과 modelsim을 깔아서 다시 시뮬레이션을 돌려봐도 mem 시그널이 안보입니다.
-
해결됨Basic SystemVerilog Testbench ( 회로설계 검증 )
영상이 이상합니다.
영상에서 자꾸 operate라고 소리가 나네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메모리의 형태가 전체설계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1. 질문 챕터] : HDL19장 4분 50초[2. 질문 내용] : 같은 메모리 크기라도 Width와 Depth를 다를 수 있다고 해당 강의를 보고 이해 했습니다. 갑자기 든 궁금증은 다음과 같습니다. 가령 넓고 얕은 메모리와 좁고 깊은 메모리 중 어떤 것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FPGA 내부의 라우팅 복잡도나 타이밍 마진, 전력 소모에 어떤 실질적인 차이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Basic SystemVerilog Testbench ( 회로설계 검증 )
sv에서 class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 부분에서 class는 tb의 하위블록처럼 취급이 되는 것인가요?아니면 일반 C++의 클래스처럼 생각하면 되는 것인가요?
-
미해결Basic SystemVerilog Testbench ( 회로설계 검증 )
'fork-join_none'으로 시작된 백그라운드 스레드의 종료는 어떻게 관리되나요?
Q. 'fork-join_none'으로 시작된 백그라운드 스레드의 종료는 어떻게 관리되나요?부모 스레드가 자식의 완료를 기다리지 않는다면, 자식 스레드가 완료된 후 발생하는 '좀비(Zombie)' 상태나 자원 누수(Resource Leakage) 문제는 어떻게 방지되거나 처리되나요?
-
해결됨Basic SystemVerilog Testbench ( 회로설계 검증 )
SystemVerilog 내 program 이 top module 의 역할을 하는건가요?
섹션 2 SystemVerilog Testbench 구조 살펴보기 중 program 개념 설명에 질문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그림에서는 DUT <-> interface <-> program 으로 구성이 되어 있는데Verilog Testbench 구조와 비교를 해보게 된다면 program 의 역할은 Verilog 의 top module 의 역할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아니면, top module 이 DUT, interace, program 을 모두 감싸는 wrapper 역할을 하고, program 은 tb 안의 oop component 들을 감싸는 top hierarchy 역할을 하는건가요?가끔 SystemVerilog 예제들을 보면 program 을 사용 않고 module 을 top hierarchy 로 쓰는 경우가 왕왕 있는데, program 사용시 TB 와 Design 사이의 상호작용에서 race condition 제거는 이제 실제 제조 과정(SDC?) 에서 야기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해주는건가요?궁금한게 많네요ㅜㅜ 답변 감사합니다!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
해결됨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디스코드 멤버쉽 등업 관련 문제
[2. 질문 내용] : 강의를 구매한지 1주일이 지났으나 아직 멤버쉽 등업이안되었습니다.[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10월2일 경에 해당강의와 FPGA강의를 구매하고 form을 작성했으나 아직 등업이 되지 않았습니다.
-
해결됨회로설계 입문자를 위한 디지털, 아날로그 설계와 실무 Project
active load differential amp 설계
삼코치님 따라서 설계를 했는데 값이 이상하게 나왔습니다. 삼코치님께서 약 500mv정도 나왔는데 저는 이상하게 900v정도 나옵니다
-
해결됨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DataMem 스펙 질문
안녕하세요 학습 중에 코드를 보고 궁금증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DataMem spec을 보면 mem 이 4byte짜리로 총 128개로 구성되어 있는데, always 문을 보면 mem[0] ~ mem[63] 까지의 공간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나머지 mem[64] ~ mem[127] 까지는 사용이 안되는거 같은데, 그러면 굳이 reg [31:0] mem [127:0] 으로 선언한 이유가 있을까요?? 뭔가 제가 파악하지 못한 의도가 있는것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Basic SystemVerilog Testbench ( 회로설계 검증 )
강의문의
강의 정말 잘 수강중에 있습니다~ UVM강의는 언제쯤 나올까요 기대됩니다! 그리고 추후 basic과정 말고도 중급, 고급 과정도 나올까요?
-
해결됨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Hamming Code 질문
encoder의 경우, output이 [1:21]로 서술되어 있습니다. 근데 tb를 보면 output인 encoded_message가 [21:1] 로 선언되었는데, 이렇게 선언하게 되면 encoded_message 에 들어오는 값은 B[21:1] 로 매칭되서 들어오게 되는건가요? 아니면 tb 코드에서 [21:1]로 잘못 선언한 것인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Verilog ZYNQ Program 1 (Zynq mini 7020)
Zybo z7에서 실습을 진행할 수 있나요?
만약 할 수 없다면 돌아가게 하려면 어떤 작업을 해야하나요?
-
미해결설계독학's Verilog 마스터 Season 1 (실전 코딩 테스트 문제로 완성하는 디지털 설계 엔지니어의 커리어 도약)
155ns 타이밍 이슈에 관한 궁금증(?)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testbench 작성 - answer.txt 155ns~156ns 부분[2. 질문 내용] :155ns 부분에 원래 13이 찍혀야 하는 거 아닌가요?! 근데 시간은 1ns delay되어서 156ns로 찍혀있고 출력은 14(1110)으로 나와있는게 왜 그런지 궁금합니다. [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155시점에서 expected_count가 13일 때, if 조건문이 먼저 걸려서 #1 force에 걸려있는 지연 때문에 뒤에 있는 task 호출이 밀렸나? 생각이 들어서 task 호출을 if 조건보다 앞에 작성하고 다시 build를 돌려도 실행 결과는 #1 지연된 14가 출력되었습니다,,
-
미해결설계독학's Verilog 마스터 Season 1 (실전 코딩 테스트 문제로 완성하는 디지털 설계 엔지니어의 커리어 도약)
build 오류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eg) 몇 장, 몇 분 몇 초 쯤. or 수강생 분들이 봤을 때 어디구나?! 할 수 있게 표기 부탁 드려요.[2. 질문 내용] : eg) 질문 내용을 자유롭게 작성해주시면 되겠습니다 🙂[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eg) 설치영상은 이렇게 시도했는데 안되더라 or 본인의 생각을 적어주세요. (실습 내용 중에 이해가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는데, 이러 이러한 근거로 나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build를 실행했는데 계속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뜹니다.. start_guiException in thread "main" java.awt.AWTError: Can't connect to X11 window server using '10.255.255.254:0' as the value of the DISPLAY variable. at java.desktop/sun.awt.X11GraphicsEnvironment.initDisplay(Native Method) at java.desktop/sun.awt.X11GraphicsEnvironment$1.run(X11GraphicsEnvironment.java:105) at java.base/java.security.AccessController.doPrivileged(AccessController.java:319) at java.desktop/sun.awt.X11GraphicsEnvironment.initStatic(X11GraphicsEnvironment.java:64) at java.desktop/sun.awt.X11GraphicsEnvironment.<clinit>(X11GraphicsEnvironment.java:59) at java.desktop/sun.awt.PlatformGraphicsInfo.createGE(PlatformGraphicsInfo.java:37) at java.desktop/java.awt.GraphicsEnvironment$LocalGE.createGE(GraphicsEnvironment.java:93) at java.desktop/java.awt.GraphicsEnvironment$LocalGE.<clinit>(GraphicsEnvironment.java:84) at java.desktop/java.awt.GraphicsEnvironment.getLocalGraphicsEnvironment(GraphicsEnvironment.java:106) at java.desktop/sun.awt.X11.XToolkit.<clinit>(XToolkit.java:225) at java.desktop/sun.awt.PlatformGraphicsInfo.createToolkit(PlatformGraphicsInfo.java:41) at java.desktop/java.awt.Toolkit.getDefaultToolkit(Toolkit.java:595) at java.desktop/sun.swing.SwingUtilities2.getSystemMnemonicKeyMask(SwingUtilities2.java:2198) at java.desktop/javax.swing.plaf.basic.BasicLookAndFeel.initComponentDefaults(BasicLookAndFeel.java:1108) at java.desktop/javax.swing.plaf.metal.MetalLookAndFeel.initComponentDefaults(MetalLookAndFeel.java:444) at java.desktop/javax.swing.plaf.basic.BasicLookAndFeel.getDefaults(BasicLookAndFeel.java:161) at java.desktop/javax.swing.plaf.metal.MetalLookAndFeel.getDefaults(MetalLookAndFeel.java:1564) at java.desktop/javax.swing.UIManager.setLookAndFeel(UIManager.java:591) at java.desktop/javax.swing.UIManager.setLookAndFeel(UIManager.java:633) at java.desktop/javax.swing.UIManager.initializeDefaultLAF(UIManager.java:1408) at java.desktop/javax.swing.UIManager.initialize(UIManager.java:1521) at java.desktop/javax.swing.UIManager.maybeInitialize(UIManager.java:1487) at java.desktop/javax.swing.UIManager.getDefaults(UIManager.java:713) at java.desktop/javax.swing.UIManager.put(UIManager.java:1042) at ui.PlanAhead.<clinit>(SourceFile:183)ERROR: [Common 17-70] Application Exception: JVM: Can't find class: ui/PlanAheadERROR: [Common 17-211] Error loading jvm.source xsim.dir/tb_simple_bram_ctrl/xsim_script.tcl# set_param project.enableReportConfiguration 0# load_feature core# current_filesetERROR: [Project 1-848] Could not get a valid part for the project. Make sure you have the required part installed, use the get_parts command to see the list of valid parts.
-
해결됨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W_CRC 값 질문하기
안녕하세요,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던 중 이해가 잘 안가는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여기서 W_CRC는 제가 이해하기로는 '나머지' 에 대응되는 코드로, 나머지가 '0' 이면 오류가 없는 것이고, 나머지가 '0' 이 아니라면 오류가 있음을 알리는 코드로 알고 있습니다. 근데 시뮬레이션 결과를 보면 각 입력 데이터 r_data에 대응되어서 모두 0이 아닌 다른 값으로 update 되는데 그러면 CRC 오류가 있어서 저런 결과가 나오는거로 이해하면 될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회로설계 입문자를 위한 디지털, 아날로그 설계와 실무 Project
16_bitRCA 테스트벤치 관련질문드립니다.
수강 중 16bit FA 테스트 벤치 작성 중시뮬레이션을 진행했을 때 Error Loading Design이라는 오류 문구와 함께 진행이 되지 않습니다. 강의와 일부 선언문 등을 다르게 하여 진행하였는데 어느 부분에서 생긴 문제이고, 어떻게 조치해야 하는지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Ubuntu 에서 옆에 라인 수 보는 방법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eg) 몇 장, 몇 분 몇 초 쯤. or 수강생 분들이 봤을 때 어디구나?! 할 수 있게 표기 부탁 드려요.[2. 질문 내용] : eg) 질문 내용을 자유롭게 작성해주시면 되겠습니다 🙂[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eg) 설치영상은 이렇게 시도했는데 안되더라 or 본인의 생각을 적어주세요. (실습 내용 중에 이해가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는데, 이러 이러한 근거로 나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 다음 내용은 읽어보시고 지우시면 됩니다.=================질문 내용을 작성해주실 때, 위의 3단계로 제가 이해할 수 있게 작성해주시면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hello_world 수업을 듣고 있는데 선생님처럼 옆에 몇번 줄인지 전 안나와서.. 코딩할 때 몇번 줄인지 확인하는게 편하더라구요 어떻게 설정해야하나요?
-
해결됨디지털 회로설계 실무 : Computer Architecture 와 SoC 프로토콜 Digital IP 설계하기
Precharge에 대한 질문
21분쯤 내용을 보면, Write 동작시에도 Write 이후 Pre Charge Stage를 거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만약 제가 8Bit에 해당하는 하나의 Word 라인을 선택하여,'1001 0001' 이라고 Write를 했을때,1로 선택된 Column은 Write Driver가 값을 밀어 넣어 Cap에 1로 Write가 되었을 것이고,0으로 선택된 Column은 WBL을 통해 방전이 됬을 것입니다. 이러고 ACT를 Low로 내려서 Write 상태를 빠져나가게 되면 제 생각엔, Precharge를 할 필요가 없을 거 같은데 왜 Write 시에도 Precharge를 해주는지 궁금합니다! Read Operation 시에는 RBL과의 Charge Sharing으로 인해서 어느정도 Cap에 저장되어 있던 전하가 소실되기 때문에 읽기 작업이 끝났으면 다시 소실된 전하를 채우기 위해 Refresh하는것은 이해한 상태입니다!
-
미해결설계독학's Verilog 마스터 Season 1 (실전 코딩 테스트 문제로 완성하는 디지털 설계 엔지니어의 커리어 도약)
VIVADO 환경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eg) 몇 장, 몇 분 몇 초 쯤. or 수강생 분들이 봤을 때 어디구나?! 할 수 있게 표기 부탁 드려요.[2. 질문 내용] : eg) 질문 내용을 자유롭게 작성해주시면 되겠습니다 🙂[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eg) 설치영상은 이렇게 시도했는데 안되더라 or 본인의 생각을 적어주세요. (실습 내용 중에 이해가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이 있는데, 이러 이러한 근거로 나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 다음 내용은 읽어보시고 지우시면 됩니다.=================질문 내용을 작성해주실 때, 위의 3단계로 제가 이해할 수 있게 작성해주시면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번에 새로 수업을 구매하여 듣게된 사람입니다.혹시 VIVADO를 꼭 리눅스 환경에서 진행해야하나요? 기존에 VIVADO를 설치했는데 영상을 보면 리눅스환경을 조성하는게 좋다고 해서 여쭤봅니다.
-
미해결Verilog FPGA Program 1 (Zynq mini 7020)
UART 구현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오랜만에 인사드립니다. UART 구현에 대해 공부를 하고 있는데 대표님께서 구현하신거는 FIFO Generator IP를 적용하여 하셨는데 제가 조사한바로는 Uartlite 또는 Uart16550 IP가 있는데 FIFO로 구현하신 이유가 따로 있으신건지. 아니면 차이를 간단히 설명이 가능하실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