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자격증 (데이터 사이언스)

  • 해결 여부

    해결됨

문제 1번 질문입니다!

24.05.07 19:39 작성 조회수 64

0

안녕하세요! 문제 1번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3번째 질문에 <앞에서부터 70% 데이터를 구하는> 코드를

df = df.head(int(len(df)*0.7))

위와 같이 head 를 사용해서 풀었는데요.

 

슬라이싱으로 df = df[:int(len(df) * 0.7)]

하는 것이 더 정확하게 푸는 방법인 걸까요?

 

아니면 같은 개념이니 둘 다 사용해도 괜찮은 걸까요?

답변 2

·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1

저도 생각하지 못한 방법이네요:)
70%의 데이터를 선택한다는 점에서는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참고로 작업형1은 정답이 있는 문제입니다. 정답이 같다면 과정은 달라도 괜찮습니다.

응원합니다 🙂

1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인프런 AI 인턴

2024.05.07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SHINEBELL 님의 질문에 대한 답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데이터 프레임에서 앞에서부터 특정 비율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식에 대한 질문인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여러가지 방법으로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각 방법의 세부적인 차이를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데이터 프레임에서 앞의 일정 비율의 데이터를 선택하는 방법으로 head() 함수와 슬라이싱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두 방법 모두 유효하며, 결과적으로 동일한 출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슬라이싱을 사용하는 방식이 더 일반적으로 권장되는 방식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는 Pandas의 인덱싱 및 슬라이싱 규칙에 일관되게 부합하며, 코드의 가독성과 유지 보수 면에서 더 명확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특히,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시험과 같은 상황에서는 다양한 데이터 처리 기술을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는 능력이 평가됩니다. 따라서 df.head()를 사용하는 방법과 슬라이싱 df[:n]을 사용하는 방법 모두 익숙해지는 것이 좋습니다.

관련하여 유사한 내용을 다룬 질문에서 지식공유자께서 제공한 답변에는 특정 문제 해결 방식(예: df.head() 사용)에 대한 권장사항이나 제약사항 보다는, 정확한 결과 도출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였습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볼 때, 두 방법 중 어느 것을 사용해도 문제가 없으나, 슬라이싱을 통한 접근 방식이 더 일반적인 사례로 적용될 수 있습니다.

아래의 링크는 여러 다른 상황에서 유사한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한 예시입니다:
- 빅데이터 분석기사(3회): 기출유형-작업형1 문제1 - 대상 문제와 유사한 상황에서 다른 접근 방식(예: head() 사용)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