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백엔드

  • 해결 여부

    미해결

안녕하세요 강사님 관련 질문은 아닌데 테스트 때문에 진도를 못 나가서 질문 하나 올립니다!!

23.12.18 17:53 작성 조회수 358

1

Redis 테스트는 어떻게 진행해야 되는지 모르겠습니다..

 

embedded Redis 를 사용해야 되는지,

테스트 컨테이너를 사용해야 되는지

어떤 방법으로 진행해야 되는지 가르쳐주실 수 있나요?

답변 2

·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1

안녕하세요, 진짜 잘하고싶다 님! :)

정답은 없는데, 레디스를 어떻게 사용하고 계신지에 따라 선택할 수 있는 방향이 다를 것 같아요.
만약 레디스를 단순한 캐싱 용도로 사용하고 있고, 애플리케이션 입장에서 보조적인 수단으로 사용하고 있다면, 레디스를 호출하는 로직을 Mocking하여 호출 여부(횟수) 정도만 체크해도 충분하다고 판단할 수 있을 것 같고요.
반대로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 상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면, 말씀하신대로 테스트 컨테이너 환경을 구축하여 실제 프로덕션 환경과 최대한 동일한 환경을 구성한 뒤에 테스트하는 방법을 사용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인프런 AI 인턴

2023.12.2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Redis 테스트를 진행하는 방법에는 몇 가지 옵션이 있습니다. 선택하실 방법은 테스트의 목적과 환경 설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1. Embedded Redis: 임베디드 레디스 서버를 사용하여 가벼운 테스트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테스트 시 실제 Redis 인스턴스를 구동하지 않고 Java 기반의 임베디드 서버를 통해 테스트를 진행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 Jedis와 같은 라이브러리가 이 방법을 지원합니다.

  2. 테스트 컨테이너: Testcontainers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여 Docker 컨테이너 기반의 Redis 인스턴스를 테스트용으로 구동합니다. 이 방법은 실제 Redis 서버가 실행되는 환경을 재현하여 테스트하고자 할 때 유용합니다. 테스트 시 자동으로 Redis 컨테이너가 생성되고 테스트 후에는 제거되기 때문에 테스트 간 격리가 잘 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3. 실제 Redis 인스턴스: 테스트 환경에서 실제 Redis 서버를 구동하여 테스트를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로컬 또는 테스트 환경에 Redis를 설치하고, 애플리케이션의 테스트 코드가 해당 인스턴스를 사용하도록 설정합니다. 이 방법은 테스트 환경이 프로덕션 환경과 가장 가까운 형태이지만, 테스트 데이터 관리가 어렵고 환경 구성이 복잡할 수 있습니다.

각 방법은 장단점이 있으니, 테스트의 목적과 환경에 맞게 선택하시면 됩니다. 또한, Spring Boot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하신다면, Spring Boot Reference Documentation의 테스팅 관련 섹션을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추가로, 진행하고 계신 강의에 대한 증빙이 필요하시다면 인프런 대시보드 > 내 학습에서 수강확인증을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더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인프런 FAQ 페이지를 참고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