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고성능 JPA & Hibernate (High-Performance Java Persistence)
스크립트 오류
ManyToOne and OneToMany 의 12:38 스크립트가 반대로 작성 (이에 따라 번역도 반대로) 되어있는 것 같습니다. Hibernate is not going to set the foreign key when executing the insert statement.-> Hibernate is going to set the foreign key when executing the insert statement.nullable false 설정하면 삽입 시 외래키도 같이 설정. 그럼에도 이후 update 쿼리가 날아간다. 라는 것 같은데 반대로 적혀있네요.스크립트 정정에서 신청할랬는데 정정 버튼이 안눌려서 글 남깁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persistence.xml
영상이 예전꺼여서 그럴 수도 있을 거 같은데데이터베이스 드라이버 설정을 꼭 META-INF에서 persistence.xml에다가 해야하는 건가요?제가 작년에 웹 프로젝트 했을 때는 그냥 application.properties에서 했었는데..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루트 쿼리라는것은
강의에서 말씀하신 루트쿼리라는것은 가장 먼저 실행되는 쿼리를 말하는것일까요? 아니면 toOne코드에 대해서 실행하는 쿼리를 말하는것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메서드를 분리하는 기준
강의 내용을 보시면 한 메서드안에서 코드를 작성하시다가 리팩토링을 해서 메서드를 따로 분리하셨는데, 메서드를 분리하는 기준이 따로 있을까요? 한 메서드 안에서, 로직이 너무 길어지면 메서드를 따로 만들어서 분리해야하는것일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Transaction readOnly 성능 개선 (김영한님의 대한 감사인사)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김영한님 해당 강의를 통해 Spring의 Transactional의 동작 원리에 대한 흐름을 공부하였던 것이 엊그제 같은데, 시간이 흘러 내부 소스 코드를 보다가 버그를 발견하여 코드 개선을 하여 후기를 남길겸 감사인사를 드리고자 게시글을 올립니다.Spring의 소스 코드를 분석하다 Transaction의 readOnly 부분에서 버그를 발견하여, 이슈를 발행 후 Jhoeller가 해당 이슈를 채택하여, 코드 개선이 되었습니다.항상 감탄만 해왔던 Spring을 창시한 그 Juergen Hoeller에게 최근 pr과 함께 이번 이슈 또한 깊은 분석을 해주어서 감사하다라는 인사를 받게 되어 뿌듯하네요[Influenced] DataSourceTransactionManager의 readOnly 정책 변경 유도 (Issue #35743)[분석] DataSourceTransactionManager가 defaultReadOnly=true 커넥션 풀을 고려하지 않는 설계 문제를 분석하고 공론화함.[검증] doBegin, doCleanup, resetConnection 3개 핵심 메서드의 상세한 코드 분석과 defaultReadOnly=true 환경에서의 명확한 재현 단계(Steps to Reproduce)를 메인테이너(J. Hoeller)에게 리포트함.[결과] 메인테이너가 '깊은 분석(deep analysis)'이라고 코멘트하며, '의도된 설계'라며 방치되던 기존 정책을 '재고(reconsider)'하도록 이끌어냄.[성과] 해당 이슈는 메인테이너가 직접 '최초 1회만 체크'하는 효율적인 방식으로 코드를 수정하여 Spring 6.2.13 릴리스에 실제 반영됨.https://github.com/spring-projects/spring-framework/issues/35743#event-20661446893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findAllWithMemberDelivery 메서드 질문드립니다.
findAllWithMemberDelivery이 메서드 내부에서, join fetch oi.item i는 안해주셨는데, 안해주는 이유가 무엇일까요?조회하려는 엔티티인 Order기준으로 한 페치조인이 아니고 orderItem기준으로 한 페치조인이기 때문에 그런것일까요?아니면 order가 아니라 orderItem에 있는 item이기때문에 그런것일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이강의 듣고 소화시켰다면 몇년차 정도 개발자라고 할수 있을까요?
그냥 갑자기 궁금해서 선생님의 개인적인 의견 궁금합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혹시 pk 외 별도의 id 를 부여한 이유가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user, catalog, order 를 보면 엔티티에서 pk 대신 별도의 유니크키를 사용하고 있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이 별도의 유니크 키가 어그리거트 루트로 사용되는걸까요 ??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애그리거트의 repository
안녕하세요 토비님! 애그리거트를 사용할 때 질문 사항이 있습니다.예) A도메인 B도메인이 있다 A는 애그리거트 루트이고 B는 A의 부속 엔티티이다.A와 B는 일대다, 다대일의 양방향 의존성을 가진다.B는 A를 통해서만 조작될 수 있다.이 때 B를 생성하거나 업데이트 할 때 B의 repository는 어디에 존재해야 하는가?@Entity public class A { @OneToMany(mappedBy = "media", 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B> bs = new ArrayList<>(); public void updateNumber(long n){ this.bs.stream().forEach(b -> b.update(n); } } @Entity public class B {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private A a; private long number; public void update(long n){ this.number = n; } } 이렇게 되어 있다고 할 때 변경 가능성을 생각할 때(물론 엔티티에서 이미 jpa에 기술을 사용하고 있긴하지만) B의 repository를 따로 가지는게 맞나요? 만약 따로 가진다면 B의 repository가 A repository에서 의존하여 처리 되어야 하나요?jpa에 완전 종속적으로 사용하면 B가 따로 repository를 가질 필요 없는데 순수함을 유지하지 하려 하니 이 부분에서 고민이 되네요. 아니면 이런 고민 자체가 잘못된걸까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Domain Expert가 정확히 어떤 역할을 하는 사람인가요?
도메인 모델을 만들기 위해서는 Domain Expert에게서 듣고 배워야 한다고 말씀하셨는데, 이들의 정확한 역할이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온라인 서점을 예로 들자면 제 머리속에 상상되는 Domain Expert는 실제 서점을 운영하는 사장님이 떠오르는데 강의에서는 회사에서 해당 일을 오랫동안 해 오신 분이나, 관련된 시스템을 개발해 본 경험이 있는 시니어 개발자 같은 사람을 Domain Expert라고 말씀 주셨습니다.그렇다는건 Domain Expert 라는 역할은 이 회사가 개발하고 있는 서비스를 가장 잘 알고 있는 사람 (그것이 개발자가 되었든, 디자이너, po와 같은 비 개발자가 되었든)이라고 이해해도 되는 것일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학습 방향
코드를 한줄 한줄 같이 치면서 학습을 하는데요, 강사님께서도 코드 한줄 한줄 같이 치신다고 하셨으나 이번 , 다음 강의에서는 yml, controller, service, vo등 모든 것이 작성이 되어있더라고요. 따로 설명 하는 부분 없이 바로 서버 실행 하시는 거 보고 당황했습니다. 코드를 직접 쳐가면서 학습을 하고 싶은데 그러지 못한거 같아 아쉽고, 어디 까지 깃허브에서 코드를 가져와서 사용해야 하나 궁금합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카프카 커넥터 사용 목적 문의
127, 128 섹션 관련 문의드립니다.2개의 오더 마이크로서비스 각각에 연결된 데이터베이스로 인한 동기화 문제를 위해 카프카 커넥터를 활용하여 하나의 단일 디비로 문제를 처리한다고 하셨는데, 결국 2개의 오더 마이크로서비스에 카프카 커넥터를 사용하지 않고 동일한 디비 1개를 직접 연결해서 사용하면 동기화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건 마찬가지아닌가요? 동일한 오더 마이크로서비스를 스케일아웃 하는 상황에서 카프카 커넥터를 사용하는게 목적에 맞는지 의아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회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테스트 (1)
회원 애플리케이션 서비스 테스트 (1) 12:46초 부분EmailSenderMock에 getter 어노테이션이나 메서드가 없는데 어떻게 getTos를 사용하신 걸까요..?
-
해결됨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정적 팩토리 메서드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토비님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을 남깁니다.예제를 진행하실때 정적팩토리 메서드를 통해 객체를 반환할때생성자를 통하지않고 바로 멤버변수에 값을 넣어 반환하는걸 사용하셨는데 public static Member register(MemberRegisterRequest createRequest,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email = new Email(createRequest.email()); member.nickname = requireNonNull(createRequest.nickname()); member.passwordHash = requireNonNull(passwordEncoder.encode(createRequest.password())); member.status = MemberStatus.PENDING; member.detail = MemberDetail.create(); return member; }이게 가능한 원리는 이해를 했습니다만 AI와 이야기하다보니 아래와 같은 이유를 제시하면서 생성자를 통한 반환을 강력 추천하더라구요부분 초기화 위험: 생성 직후 한동안 불완전 상태일 수 있어요. (중간에 예외가 나면 더더욱)final 을 못 씀: 생성자 밖 대입이 필요하니 final로 못 고정합니다(불변성/스레드 가시성 이점 상실).검증 누락 가능성: 검증/정규화가 흩어지기 쉬움 → 생성자 경로에 모으는 게 안전. 토비님 생각은 어떠하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와 리액트로 구현하는 소셜 로그인
[소셜 로그인 33강] 일반 로그인 -> 소셜 로그인 관련 질문
33강에 27-30분대를 보면SecurityConfig 클래스에서 .formLogin을 .oauth2Login으로 바꾸고, TodoController 에서 CustomUserDetails로 받았던 사용자 정보를 CustomOAuth2User 로 바꾼 것으로 보이는데,,일반 로그인 시에 사용할 로직과 소셜 로그인 시에 사용할 로직을 둘 다 두지 않고, 소셜 로그인 하나만 사용하는 것으로 진행하려고 바꾸는건가요??
-
미해결Next.js 15: Full-Stack Development
강의를 들을 때 타입스크립트 지식이 필요한가요?
안녕하세요 js, React만 배우고 바로 Next.js로 넘어왔는데 혹시 TypeScript도 필요한가요?
-
해결됨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required 포트에 관해서
안녕하세요 토비님현재 파트1에서는 아직 required 포트에있는 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다른 도메인에서 사용하고 있지 않아서 중복이 발생하고 있지 않지만, 만약 다른 도메인에서도 같은 리포지토리를 사용해야할 경우 어떻게 하면 좋을지 질문드립니다. 제가 생각한건 첨부한 이미지와 같습니다. 도메인별로 각각 required 포트에 MemberFinder 인터페이스를 선언하고 그것을 Adapter layer에서 각각 도메인 별로 구현합니다. 하지만 실제 로직은 Adapter레이어에 있는 MemberRepository를 부르는 역할만 할 뿐입니다
-
미해결Next.js 15: Full-Stack Development
서버 Run 실행을 할수가 없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Run 실행을 할수가 없습니다. 어떻게 해야 할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연관관계 매핑을 안 쓸 경우, 사용해야 하는 전략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를 들으면서 웬만하면 repository 에서 entity 를 받아와서 이걸 Dto 로 변환해서 반환하게끔 처리하는 것을 배웠습니다.다만 실무에서 연관관계 매핑을 쓰지 않을 경우 어떤 전략을 취해야 하는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단일 entity 만을 반환하는 경우 크게 문제되지 않지만, join 을 하게될 경우 entity 가 2개 이상이 필요한데 이 경우 Dto 를 쓸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됩니다.(혹은 querydsl 에서 Tuple 을 쓸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경우 어떻게 repository 에서 service 로 데이터를 올려주나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혹시 다음 편은 언제쯤 오픈할까요?
안녕하세요 토비님. 강의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아직 강의 초반부만 들었지만, 아주 감명깊게 수강중입니다.혹시 다음강의 오픈은 언제쯤 예상하고 계실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