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백엔드

  • 해결 여부

    미해결

url 패스 관련 질문

23.06.19 14:33 작성 23.06.19 14:36 수정 조회수 389

1

다른 질문을 봤을 때

url : localhost:8080/abc/def?param1=data1&param2=data2
위와 같이 경로를 지정하고 싶으면 변수를 추가해야 한다고 봤습니다.

@GetMapping("link")
public String link(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param1", "data1");
model.addAttribute("param2", "data2");
model.addAttribute("url1", "abc");
model.addAttribute("url2", "def");
return "basic/link";
}

위에서와 같이 모델에 값을 새로 추가해주고

<li><a th:href="@{/hello/{url1}/{url2}(url1=${url1}, url2=${url2}, param1=${param1}, param2=${param2})}">

위와 같이 html에서 값을 넣는 방식이 결과적으론 원하는 값이 출력되긴 했지만
Q.1) () 안에서 변수와 같은 값이 있다면 해당 변수에 대 값을 대입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없다면 parameter값으로 사용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Q.2 )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 맞는지와 실제로도 실무에서 이렇게 사용하는지 빈도가 높은지 궁금합니다.

답변 2

·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0

안녕하세요. BISoo님^^

질문에 답을 드릴께요.

Q.1) () 안에서 변수와 같은 값이 있다면 해당 변수에 대 값을 대입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없다면 parameter값으로 사용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제가 직접 정답을 알려드릴 수 도 있지만, 그러면 더 많은 것을 얻어가지 못합니다. 개발자는 궁금한 부분을 직접 코드로 테스트 해볼 때 가장 많이 배울 수 있습니다. 해당 부분을 코드로 직접 테스트해보시고, 그 결과를 공유해주세요. 그러면 함께 공부하는 분들께도 큰 도움이 될거에요.

Q.2 ) 네 이렇게 사용하시면 됩니다^^

그럼 테스트 해보시고 결과도 정리해서 공유 부탁드립니다.

 

BBBBB님의 프로필

BBBBB

질문자

2023.06.28

직접 코드로 테스트 해보고 연구해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인프런 AI 인턴

2023.06.2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이에요.

Q.1) () 안에서 변수와 같은 값이 있다면 해당 변수에 대 값을 대입하는 것으로 사용되는 것이고, 없다면 parameter값으로 사용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A.1) () 안에 변수가 있으면 해당 변수에 대응되는 값이 대입되고, 없다면 parameter 값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면, 위의 코드에서 {@{/hello/{url1}/{url2}(url1=\({url1}, url2=\){url2}, param1=\({param1}, param2=\){param2})}}에서 url1, url2는 경로 중간에 들어가는 변수로 사용되어 해당 변수에 대한 값이 대입됩니다.
param1, param2는 parameter 값으로 사용되어 url 주소 끝에 ‘?’ 뒤에 붙어서 전달되는 값입니다.

Q.2) 이렇게 사용하는 것이 맞는지와 실제로도 실무에서 이렇게 사용하는지 빈도가 높은지 궁금합니다.
A.2) 이렇게 사용하는 것은 맞습니다. 대부분 웹 개발에서는 이와 같은 방식으로 url 주소와 parameter 값을 함께 전달합니다. 따라서 실무에서도 많이 사용됩니다. 하지만 프로젝트마다 구현 방식이 다를 수 있으니 실제 프로젝트에서 사용되는 구현 방식을 참고하여 개발하시면 됩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다른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로 문의해주세요.

BBBBB님의 프로필

BBBBB

질문자

2023.06.28

내용이 정리가 좀 안되었었는데 자세한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