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백엔드

  • 해결 여부

    미해결

질문은 아니고.. 23강 진짜 감동했습니다 ㅠㅠ

22.12.03 22:24 작성 조회수 219

2

와... 놀라운 통찰입니다.

실무에서 수 많은 boolean 필드가 들어있는 모습을 많이 봤었는데... 그리고 그것 때문에 고생도 했었는데 ㅠㅠ

정말 enum 을 쓰는게 더 좋군요 ㅠㅠㅠ

감사합니다아아ㅏ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2

안녕하세요, 승원님~ 아이고 좋게 봐주셔서 제가 더 감사드립니다 ㅎㅎㅎㅎㅎ 😊😊

 

넵넵, 맞아요!! 간혹 enum대신 boolean을 써야하는 경우도 있지만, 설명드렸던 맥락에서는 enum을 통해 깔끔한 구조, 깔끔한 코드를 만들 수 있더라고요!

 

[enum대신 boolean을 써야하는 경우]

  • 한 개의 enum만 고집할 때 enum 개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경우

  • ex) 어떤 데이터의 상태가 A / B / C / D가 있고 이를 enum으로 관리한다고 하자. 그런데 데이터가 일반 데이터와 특별 데이터 딱 2가지만 존재하도록 변경되어야 한다.

    • 이때 데이터는 무조건 일반 데이터와 특별 데이터만 존재할 수 있으며, 데이터는 일반/특별 여부에 따라 상태별로 다른 행위를 해야 한다.

  • 이럴 때 일반, 여부를 한 개의 enum으로만 처리하려면

    • NORMAL_A / NORMAL_B / ... / SPECIAL_A ... / SPECIAL_D 로 총 8개의 enum이 생기게 됩니다!

      때문에 차라리 isSpecial: Boolean 과 같은 boolean 필드를 사용하는게 효과적이게 되어요!!

  • 물론 위와 같은 경우이더라도 status: Enumtype: Enum 을 같이 두어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ㅎㅎㅎ

 

앞으로도 다양한 꿀팁들 컨텐츠에 잘 녹여내보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