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강의 25% 할인 중 🤍

2024년 상반기를 돌아보고 하반기에도 함께 성장해요!
인프런이 준비한 25% 할인 받으러 가기 >>

  •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프로그래밍 언어

  • 해결 여부

    미해결

질문이요

20.03.04 19:35 작성 조회수 254

0

연산기호를 사용하실때 1+1의 경우 print(1 + 1) 이런식으로 연산기호 와 숫자 사이를 한 칸씩 띄워두시던데 이유가 뭔가요?

띄고 할때랑 안 띄고 할 때랑 같은 것 같아서요

그리고 int와 floor중에서 int를 쓰신 이유가 from math import  * 를 쓰지 않고 사용할 수 있어서 인가요? 예시 상황에선 같은 용도로 쓰였지만 미세하게 차이가 있는 부분이 있나요?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0

안녕하세요 ^^

코딩을 할 때 아주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바로 가독성 이라는 겁니다. 말 그대로 읽기 쉽도록 코드를 작성하는 것인데요, 스페이스 등을 불규칙적으로 뒤죽박죽 섞어 쓰면 코드를 볼 때 꽤 피로해지거든요. 그래서 알아보기 쉽게 줄을 딱딱, 스페이스도 딱딱 알맞게 넣어주곤 한답니다. 1+1을 띄거나 붙이거나 동작은 동일합니다.

int 와 floor 는 목적이 다릅니다. int 는 정수형 자료로 변경하기 위해 쓰는 것이며 "3"과 같은 문자열도 숫자 3으로 변경을 할 수 있어요. floor 는 실수에 대한 '내림' 처리를 하는 것이며 "3"과 같은 문자열에 대해서는 동작을 할 수 없답니다. int(3.14) 와 floor(3.14) 를 통해 똑같이 3 이라는 결과를 볼 수는 있지만 이는 서로 다른 녀석들의 용도가 겹쳤을 뿐입니다.

불을 끄기 위해 물을 뿌릴 수도 있고 흙으로 덮을 수도 있지만 물과 흙은 쓰임새가 완전 다른 것처럼요 ^^

감사합니다.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