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2번, 수치형 변수 스케일링 굳이 해줘야 하나요?
작업형 2유형 문제 궁금한게 있습니다.수치형 변수 스케일링을 하셨는데, 시험에서도 저 코드를 꼭 써야 하나요?저거를 임의로 판단을 해서 하는건가요? (마지막에 성능 지표로 확인해서 임의 판단인지) 아니면 시험장에서도 문제에서 명시가 되어있는걸까요?혹여나, 문제에서 명시 되어 있지 않는데 굳이 저걸 했다가 감점을 받지 않나 해서요저걸로 가점이 된다면, 항상 모든 문제에 수치형 변수 스케일링을 추가 해줘야 하는거 아닌가요?왜 문제 마다 수치형 스케일링을 해주는 경우도 있고 아닌 경우도 있고.... 이해가 안갑니다그리고 RobustScaler를 적용 하셨는데, MinMaxScaler로 해도 되나요? (다른 수치형 스케일링을 써도 되는지 여쭤봅니다)그리고 하이퍼 파라미터도 문제에 명시 안되어있는데, 저것도 임의 판단해서 쓰는건지 궁금하네요.시험 문제에는 저렇게 간략하게 나오는건가요? 문제에서 딱.. 하이퍼파라미터 적용.. 수치형 스케일링 적용... 이렇게 나오는게 아닌걸까요??너무 추상적이에요...만약 저렇게 추상적이게 나온다면, 임의로 성능 지표를 확인해가며, 수치형이 있다면 스케일링을 적용해보고, 하이퍼 파라미터가 성능 지표가 높게 나온다면 적용해보고... 이렇게 해야하는건가요?(외람된 질문이지만, 성능 지표가 너무 높게 나와도 안좋은거 아닌가요? 과적합 문제라던지요..)
-
미해결(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번유형
Int x = 25는 아무것도 아닌건가요? 부모에서 5가 가는게 이해 안됩니다.
-
미해결38군데 합격 비법, 2025 코딩테스트 필수 알고리즘
DFS 에서 스택을 사용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현재 DFS 관련하여 내용을 수강하고 있습니다. (39강. DFS & BFS) 깊이 탐색인 알고리즘인 DFS를 처음엔 재귀로 접근하셨다가 RecursionError의 이유로 스택을 사용하셨는데요, 스택을 생각하게 된 생각의 흐름(?)을 잡아보고싶어 질문을 드리게되었습니다.(나중에 코테 연습 때 대비가 될까하여 더 고민을 해보는 것인데, 시간대비 효율이 나지않는다면 말씀해주세요 ㅎㅎ) 일단 제가 이해한 흐름은 여기까지입니다.DFS는 깊이 우선 탐색깊이 파고들었다가 다시 나오고 반복 그래프의 끝까지 깊이 파고들었다가, 방문하지 않는 노드를 방문하기 위해 나중에 다시 돌아갈 "기준점"이 필요하게 될 것임그렇다면 이전에 어디까지 방문했는지 기록을 해놓아야함어떻게 해야 기록을 더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을까?하지만 여기서 스택을 사용해야겠다고 생각이 들게 되는 이유를 찾고 싶습니다 ㅎㅎ 알고리즘을 잘하시는 분들 보시면 이런 부분은 큐를 써야겠고, 스택을 써야겠다 라고 바로 생각을 하시는데, 저로서는 왜 이게 바로 스택을 써야한다고 생각이 드는지 이해가 되질 않아서요 혹여 이전에 강의때 설명하신 부분이라면 죄송합니다..ㅎㅎ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문제 7번, 풀이 코드 cond = df.iloc[1] > mean_2001 관련
저는 저 부분을 아래와 같이 for문 안에 if구문으로 처리 하고 싶었는데...if구절에서 i 값을 찍어보면 처음 값만 데이터 그대로 나오고.. 그 담부턴 어뚱한 값이 나오네요..뭘 잘못한걸까요? ㅠㅠmean_2001 = df.iloc[1].mean() print(mean_2001) #print(df.iloc[1]) #cond = df.iloc[1] > mean_2001 #sum(cond) for i in list2001: if i > mean_2001: print(i)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2회 기출 1번 문제
1번 문제 코드를 짜보았는데 결과 값이 조금 다른 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https://raw.githubusercontent.com/lovedlim/inf/refs/heads/main/p1/members.csv") df.nlargest(10, 'views') m=df.loc[21,'views'] df.iloc[:10,-1]=m cond=df['age']>=80 df[cond]['views'].mean()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예시문제 작업형3(ver. 2023-2) / 로지스틱 회귀 내용 포함(필수)
제목과 같이, 로지스틱 회귀 내용에 대한 코드는 없나요? 삭제된것일지 궁금합니다. 필수적으로 들어야하나요?
-
미해결코딩테스트 [ ALL IN ONE ]
노션 공유 부탁드립니다!
어제 노션 공유를 부탁드렸는데 아직 안와서 다시 공유 요청 드렸습니다 노션 공유 부탁드려요! 혹시 제가 잘못 요청해서 못 받은거라면 알려주세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7:56
prev->next = curr->next해석이 curr->next 값을 prev->next에 넣으라는 뜻이 아닌가용??? 4->3 = 3->22와 3위치를 바꾸는게 아닌가요...? 원래 뒤에거를 앞에 덮어쓰는게 아닌가요..? 너무 헷갈리네요 ㅠㅠ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2 질문 드립니다(결과)
이런식으로 코드를 진행 했는데결과가 문자로 안나오고 숫자로 나오는데 혹시 원핫인코딩을 하지 않고 레이블 인코딩을 진행해서 그런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업캐스팅 + 생성자 호출순서
시간대 8:09에서 정적메서드 static에 의해 Type을 명시한다고 했는데 자식에만 Static이 있을 수 있나요? 아니면 부모에만 Static이 있을 시 그래도 값이 같은 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부모 기본 생성자 출력 관련
부모 기본 생성자 출력 관련하여 질문.예를 들어, B 테슬라 = new B //자식 호출위와 같이 메인 구문에서 있을 때 부모 기본 생성자 X, 자식 기본 생성자 O부모 기본 생성자 O, 자식 기본 생성자 X1번과 2번에 대한 출력이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hiding 질문
public string name = "Parent";public string name = "Child";이렇게 되어있는데 static이 들어가 있어야 하지 않나요?또한, 인스턴스 변수일 때 메서드가 아닌 변수도 오버라이딩이 되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return함수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빅데이터 왕초보입니다 하지만 선생님 믿고 따라가려고 강의시작하였습니다..함수 부문에서return함수를 쓰는 이유가 정확하게 와닿지 않아서요..그냥 뭔가 미지수, a,b~로 도출하는것 같은데..return함수 쓰는거랑 안쓰는거랑 차이?점이 정확하게 무엇일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같지만 다른 것들 6:10, 6:42
double 비교 (6:10)double num1 = 128.0;Double num2 = 128.0;이 두개를 ==로 비교하면 true인가요? boolean 비교 (6:42)boolean a = true;Boolean b = Boolean.TRUE;이 두개를 ==로 비교하면 true인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50:18
연산까지는 다 이해했는데왜 oddTotal에 25가 들어가고evenTotal에 20에 들어가는지 모르겠습니다.뒤에 넘벌스 트루, 펄스와 연관이 있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5:10
왜 p와 *p 값이 같은가요?P는 주소값도출이 되어야되는거 아닌가요ㅠㅠ?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7:00
i<year year=3i<3왜 1.1 x 1.1 x 1.1 인지 이해가안갑니다..설명이 초보자가 이해할 수 없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0분 4초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은 동영상 강의에 들어가서 오른쪽에 커뮤니티 버튼을 통해 해주세요. 그래야어떤 강좌에서 질문하셨는지 알 수 있습니다.영상에서 몇 분 몇 초 대를 알려주셔야 제가 한 번에 질문 내용 확인이 가능합니다.이미 다른 누군가가 질문을 한 이력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질문 게시판을 한 번 확인 부탁 드립니다.학교의 과제나 타 강사의 코드 등 외부 수업 자료에 대해서는 답변하지 않습니다.제가 다루는 커리큘럼 외의 이론이나, 너무 디테일한 컴퓨터 이론에 대해서는 답변 드리지 않습니다.시험에 안 나오는 경우가 많고, 나와 봤자 1문제 나오는데 외워야 할 부분이 많은 것 등 (예시: 서브넷 마스크 계산)질문을 올릴 때 이 글은 모두 지우고 내용을 입력해주세요.insert 메서드에서if(!new_node) return head;부분에 head가 반환되는 경우는 메모리 부족으로 new_node가 만들어지지 않을때만 head반환되는건가요?문제에서는 메모리 부족관련해서 정보가 기재되지 않으면 해당 오류는 발생하지 않으니까 무시해도 되는걸까요?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기출 8회 2유형 customerID
customerID를 필요 없다며 drop하셨는데,drop을 안하고 진행하면 에러가 나나요?굳이 뺄 필요가 없는 것 같아 타겟값만 전처리를 하고 레이블인코딩 진행했더니 최종 제출 파일 생성 시 에러가 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3회 기출 작업형 1. 문제 2번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year.csv') # print(df.head()) df.info() # print(df.shape) df = df.T # print(df.shape) m = df.loc[:,1].mean() # print(m) # 110.18407960199005 sum(df.loc[:,1] > m)이렇게 풀었는데 결과값이 91이 나오더라구요.풀이를 보니 year.csv를 불러올 때 index 관련된 내용이 있던데 그걸 사용하지 않으면loc[2000] 이런 것들을 사용할 수 없게 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