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데브옵스 · 인프라

  • 해결 여부

    해결됨

Route53에 설정하는 ELB, CF 질문

24.02.07 13:50 작성 24.02.07 20:02 수정 조회수 174

0

안녕하세요~ 선생님!

#섹션6. 웹페이지 배포하기/[실습]4.도메인 연결하기, HTTPS 적용하기#

강의 수강 중 질문있습니다.

 

[개념정리 : 브라우저 <-> AWS]

1)브라우저 > AWS(ELB) > 서버 > DB(필요하다면)

2)브라우저 > AWS(CF) > 서버(캐싱된 문서가없다면) > DB(필요하다면)

이렇게 정리했습니다.

 

[질문]

우선 url에 처음 접속시, 로그인 페이지가 나온다고 하면

1) CDN통하여 로그인 페이지 받아옴

2) 아이디 비밀번호 입력 후 전송버튼 누름

2번의 경우, CDN이아닌 본 서버(웹서버)로 API호출을 해야할것같은 느낌이 드는데요.

그렇다면 AWS에서는 [개념정리]의 1,2(ELB,CF) 두개 다 Route53에 등록 되어야 하는게 맞을까요?

ex) API호출할떄는 ELB로 호출, 페이지 받을떄는 CF로 호출

 

강의 04:32에서 기존 ELB레코드는 삭제하는 장면을 보고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1

안녕하세요 우형님!

 

강의를 다시보니 혼동이 있을만 했을 것 같네요!
프론트 웹 페이지와 백엔드 서버 둘 다 배포한다고 가정했을 때,
CF, ELB 둘 다 Route53에 등록되어야 하는 게 맞습니다.

 

강의에서 프론트 웹 페이지(정확히는 프론트 웹 페이지가 배포되어 있는 Cloudfront의 주소)를
jscode-edu.link라고 설정하고,
백엔드 서버의 주소(정확히는 ELB의 주소)를 api.jscode-edu.link라고 설정해서 썼어야
혼동이 없었을 것 같네요...!

말씀해주신대로 API 호출할 때는 ELB 호출을 하고, 페이지를 받을 때는 CF로 호출하는 게 맞습니다!

 

이 외에도 궁금한 점 있으시면 또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전우형님의 프로필

전우형

질문자

2024.02.07

감사합니다. 선생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