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백엔드

  • 해결 여부

    미해결

자동 의존관계 주입 시 꼭 @Configuration 이 붙은 설정 클래스가 필요한가요 ?

23.09.18 15:31 작성 23.09.18 15:34 수정 조회수 362

0

안녕하세요 영한님! 면접을 위해 다시 복습하다 궁금해진게 있어 질문드립니다.

질문 내용은 제목과 같은데요, 평소에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면서 수동 주입보단 자동 주입을 자주 활용해왔고 강의의 AutoAppCofing 와 같은 Bean 설정 클래스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개발했음에도 별 문제가 없었습니다.

다른 질문들도 많이 확인해봤는데 main() 안에 @SpringBootApplication -> @SpringBootConfiguration -> @Configuration 이 이미 적용되어있기 때문에 굳이 설정 클래스를 만들지 않고도 Bean 객체의 싱글톤을 보장받을 수 있다고 짐작하고 있는데요, 제가 생각한게 맞을까요 ? 제 생각이 맞다면 수동 주입 시에도 @Configuration 이 없어도 @Configuration 이 적용되어 싱글톤으로의 반환이 보장될 것 같은데.. 잘 모르겠습니다.

답변 2

·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0

안녕하세요. 전병준님

다음을 참고해주세요.

https://www.inflearn.com/questions/288987

감사합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인프런 AI 인턴

2023.09.2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이에요.

자동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할 때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붙은 설정 클래스를 만들 필요는 없습니다.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은 스프링이 해당 클래스를 Bean 설정 클래스로 인식하도록 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없어도 자동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이 @SpringBoot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포함하기 때문에, 자동 의존관계 주입을 사용할 때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SpringBootApplication 어노테이션은 내부적으로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도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Bean 설정 클래스를 별도로 만들지 않아도 됩니다.

수동 주입의 경우에도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없어도 @Configuration이 적용되어 싱글톤으로의 반환이 보장됩니다.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은 주로 Bean 설정 클래스에서 사용되어 스프링에게 해당 클래스에서 Bean들을 생성하고 관리하도록 지시하는 역할을 합니다.

위 내용은 개발 경험과 기록을 바탕으로 한 가이드일 뿐이니, 상황에 따라서 추가적인 설정이 필요한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스프링 프레임워크 공식 문서나 실무에서의 사용 경험을 참고해 주세요.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물어보세요. 좋은 면접 준비 되시기를 바라요~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