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2부. 테스트 심화: 시각적 회귀・E2E 테스트
e2e 테스트 CI , 서버비용
안녕하세요 e2e 테스트는 비용이 많이 들어서 어떻게 관리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 파이프라인에서 매번 CI 에서 돌리기에는 서버나, 시간이 개발 생산성을 잡아 먹을 것 같은데요. 점점 e2e 테스트가 쌓여 나갈떄 어떤 전략을 취할 수 있는지 궁금해요. GPT로 리서치하니까 보통 2가지를 병행해서 스케줄러 + 온디맨드 실행 같이 관리 한다고 하는데, 실제 현업에서는 어떻게 활용하고 계신지, 제가 리서치한 내용 말고 더 효율적이거나, 추천할만한 전략 , 이외의 고려사항 소개해주실 수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스케줄 실행 (Nightly/주말 풀스윗)EventBridge → ECS Fargate RunTask(Spot 가능) → Playwright 러너대상: 스테이징(or PR 프리뷰 URL)b. 산출물: 트레이스/비디오/리포트 S3 업로드, Slack에 요약/링크온디맨드 실행 (PR 코멘트/수동 트리거)Bitbucket Pipeline에서 aws ecs run-task 호출(또는 ChatOps 슬래시 커맨드)태그/폴더/샤드 인자 넘김 → 필요한 부분만
-
미해결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30. 누락된 테스트 시나리오 발견
"이 간단한 정규식을 사용하면 지금까지 테스트는 모두 통과할 것 같긴 한데 사용자 이름 정책에서 허용되지 않은 문자들은 걸러지겠지만 허용이 되는 문자들이 정규식에 반영되지는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 테스트는 유지하면서 새로운 테스트케이스를 추가한다로 진행이된다.부분에서 추가되는것이 이해가 안되어 질문드립니다.이전 "email속성이 올바른 형식을 따르지 않으면 400 상태코드를 반환" 에선 누락된 부분을 기능을 수정하는 방식으로 해결해왔는데 왜 "username 속성이 올바르지 않은 형식을 따르지 않으면" 에서도 테스트케이스 추가가아닌 기능을 수정해서 해결해야하는것 아닌가?또 기존의 "올바르게 요청하면 204 반환" 의 케이스와 의미가겹쳐 중복된 테스트케이스 추가 즉 잘못된 케이스추가가 아닌가? 라고 생각됩니다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여쭤보고싶습니다!초반부이지만 최고의강의 잘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Do It! 장고+부트스트랩: 파이썬 웹개발의 정석
로그인 오류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를 보고 개인 웹사이트를 만들었는데요.https://mirihomepage.com/로그인이 안됩니다;;;superuser도 있고, 카테고리/google 사이트 등록까지 분명 다 했는데, https인증 받고, 도메인 연결하고 그러는 사이에 뭔가 달라진건가싶습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DTO 검증 필드에 대한 테스트 코드 작성은 어디까지?
DTO의 검증 필드마다 테스트코드를 작성하는게 실무에서 일반적인가요? 이렇게 되면 DTO가 커질 수록 DTO 한개당 테스트 함수가 10~11개 이렇게 필드개수 만큼 나오게 될텐데 실제로 모두 테스트코드로 검증하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OrderCreateRequest DTO에 대해서 궁금한점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Business Layer 테스트(1)의 13:32초 즈음에서 OrderCreateRequest가 Product의 id값이 아니라 productNumber를 요청 dto로 받았는데 그 이유가 있나요? 저라면 id를 받도록 설계할거같은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실무에서는 보통 저렇게하나요?
-
해결됨[JSP부터 스프링부트까지]포기없는 SpringBoot로 가는길
이강좌가 마지막 강좌인가요?
스프링부트 강좌를 신청했습니다. 전에 듣기론 이강좌이후에 포토폴리오 강좌가 출시된다고 하셨던것같은데...확실하지않아서 다시 질문올립니다. 이강좌가 마지막인가요? 아니면 이후 한번더 새로운강의가 출시되는건가요??? 만약 포토폴리오 강좌가 출시예정이라면 현재 이강좌와 어떤 차별화된 점이있는지도 궁금하고 출시예정일도 궁금합니다. 강의분량은 대략 어느정도될지도 궁금해요
-
해결됨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69.테스트격리 / 과도한 테스트 격리의 문제 중 '부적절한 설계 왜곡'
강의: 섹션 14 - 69. 테스트 격리 과도한 테스트 격리의 문제점 중 '부적절한 설계 왜곡'의 예시로1) new 연산자로 직접 만들어도 좋은 클래스 인스턴스를 굳이 주입, 2) 클래스 의존을 인터페이스 의존으로 변경, 3) private을 public으로 변경을 들어주셨는데 다음과 같은 상황을 말씀하시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1) new 연산자로 직접 만들어도 좋은 클래스 인스턴스를 굳이 주입 & 2) 클래스 의존을 인터페이스 의존으로 변경: 테스트 대상을 완벽히 격리하기 위해 '단순하거나 변경 가능성 없이 구현체가 하나뿐인 의존 클래스'도 직접 생성 대신 주입받도록 변경해 mock으로 대체함.3) private을 public으로 변경: 다른 기능들에서 사용되는 private 메서드를 단독으로 테스트하기 위해 public으로 노출시킴.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오해: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잘 분리해야한다." 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 아래와 같은 내용에 대해 개인적인 생각이 있고, 이 생각에 대해 강사님의 생각이 궁금하여 질문 글 올립니다. "오해: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잘 분리해야한다." 저 또한,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분명하게 구분하기에는 모호한 부분이 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저는 이를 분리해서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합니다.명확한 합의는 없으나, 팀 내 혹은 저에게 있어 단위 테스트와 통합 테스트를 아래와 같이 구분하고자 했습니다.단위 테스트 : 외부의 영향이 존재 하지 않고 가장 작은 단위로써 해당 부분 내에서만 테스트를 진행.통합 테스트 : 외부의 영향까지 반영하여 테스트. 스프링부트 테스트, JPA 테스트 등 이렇게 분리해서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테스트에 대한 빠른 피드백테스트 할 때 빠른 피드백과 빠른 수정이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단위 테스트의 경우 외부 영향 없이, mock을 통해 빠르게 내가 목록화한 테스트를 진행하며, CI 환경에서도 빠르게 피드백을 받을 수 있습니다.반면, 통합 테스트의 경우 비교적 시간 소비가 많이 됩니다. 스프링부트 테스트의 경우 비교적 적은 시간이 소비되지만, JPA 테스트와 같이 디비에 대한 테스트 혹은 다른 플랫폼( 예 : 키클락 등)을 진행하기 위해서는 테스트 컨테이너와 같은 도구를 활용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러한 도구를 사용함에 있어서 많은 시간이 소비가 될 가능성이 크다고 생각합니다.특히 저희 회사의 경우 테스트 환경이 많이 좋지 않아 시간이 훨씬 더 많이 걸리게 됩니다.그래서 저는 단위 테스트랑 통합 테스트를 분리하여 개발 환경에서는 단위 테스트를, 운영 CI 환경에서는 단위 + 통합을 함께하여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분리해서 진행하는 것은 나름 장점이 보이고 있다고 생각하는데 이 부분에 대해 강사님의 의견과 잘못된 부분이 있다면 피드백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아키텍처 개선
안녕하세요.양질의 강의 덕분에 제한된 시야에서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섹션 18 - 안정감 있는 아키텍처 개선 챕터를 수강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 했던 내용 두 가지를 여쭈어보고 싶습니다. 질문 1."TDD를 사용해 만들어진 먹구름 아키텍처를 어느 시점에서 개선 해야 할까요?"질문을 하게 된 계기는 전형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레이어드 아키텍처를 첫 기능 구현 단계에서 부터 차용하여 개발을 진행 해왔는데, 왜 이 아키텍처를 사용했을까? 란 의문이 없었거든요.강의에서는 흔히 말해 스마트 UI 패턴으로 요구사항을 충분히 충족 해오며 점진적으로 개선 해왔습니다.그러다 모종의 이유로 내부 아키텍처를 개선 하면서 진행이 되었는데, 아키텍처를 개선 해야겠다고 느끼는 요소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요구사항이 추가 되었을 때 개발 비용을 최소화 하여 충족 시킬 수 있는가? 라고 생각을 하고 있는데, 현재 까지 불편함을 느낄 정도의 확장성을 강요 받아본 적 없어서 감을 못 잡는 것 같습니다. 질문 2."어떤 영역을 대상으로 테스트를 작성해야할까?"- 테스트 코드 작성 범위 고민위 질문 내용과 답변을 보고 무언가 감이 오는 듯 하나, 아직 정리되지 않는 느낌입니다.API 계층의 동작이 가볍다 또는 무겁다의 판단 기준 API 계층의 동작이 가벼운지 무거운지에 대한 판단은 어떻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해당 강의에선 API 계층의 동작이 가벼웠기 때문에 API 스펙에 인수테스트를 진행 한 것 같습니다. 서비스 대상으로 테스트를 많이 실행하고, API 는 간단한 성공 경우에 테스트를 한다. 이 케이스에선 아래와 같은 테스트 시나리오가 있다고 가정한다면 테스트를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username 속성이 null 이거나 공백이라면 HasUsernameNullOrEmpty 예외를 반환한다 - username 속성이 올바른 형식을 따르지 않으면 InvalidUsername 예외를 반환한다 - username 속성이 올바른 형식을 따르면 User 객체를 생성한다서비스 테스트에서 위 3가지 케이스에 대해 검증인수 테스트에서 username 을 정확히 입력한 경우 상태코드와 유저에 대한 정보를 반환 하는지 검증 이렇게 테스트를 구성한다고 이해 했는데 제대로 이해한걸까요? 다시 한 번 질문을 빌미로 감사 인사를 드리면서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항상 건강하세요!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조회 시 엔티티를 조회하는 것이 아닌QueryDSL을 많이 사용 시 Dto는 어떻게 하나요?
일반적인 JpaRepository를 사용할 경우Entity -> Domain model 객체로 변환하는데보통 상세 조회, 목록 조회 시에는 QueryDSL를 사용하고, 또한 조회 시 Projections을 이용하여 Dto로 반환하는데요. 이 때, 조회된 Dto는 User와 마찬가지로 UserDetail, UserList(목록 Dto 명칭이 마땅히 생각나질 않네요.) 와 같은 도메인 모델을 추가로 만들어서 사용하는 건가요? 위와 같은 질문을 드리는 이유는 만약 User가 Team라는 도메인과 연관 관계가 있을 때 Team 정보를 포함하여 응답할 경우 User 따로 조회, Team 따로 조회 하여 응답 dto로 변환해야 할 것같은데 그럼 성능적인 이슈가 생기지 않을까 해서 질문드립니다. (위 예시는 간단해서 성능적 이슈는 크게 없지만 복잡한 도메인에서는 여러 도메인의 정보를 조회해와야 하기 때문에 충분히 성능적 이슈가 있을걸로 판단됩니다.)
-
해결됨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병렬 처리 시 질문
강사님 안녕하세요.전에 독립적인 환경에서 실행하면 병렬처리가 된다고 하셨던 것 같은데,그렇다면 생성하는 코드 후 id 비교를 할 때다른 테스트 코드에서 상품이 등록되어 반환되는 리스트가 달라질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그렇다면 이런 경우에는 이 테스트가 진행될 때는 다른 테스트가 동작하지 않게 처리하던가 하는 방식이 있나요? 예를 들어 최신 리스트를 반환한다고 할 때테스트 리스트를 넣고 act 하기 전에 다른 테스트에서 arrange 단계에 추가 코드가 동작되면act에서 리스트 조회할 때 반환할 때 다른 곳에서 추가한 값이 반환되어 테스트 실패 이렇게 될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controller 의 port 패키지의 service 인터페이스 사용
controller 패키지가 service 패키지에 의존해야하는데 interface를 controller의 port에 둠으로써 service가 controller에 의존하게 된다고 말씀하시고 수정한다고 했는데 수정이 없네요. service 인터페이스들을 service.port 패키지로 옮겨주면 될거 같습니다.
-
해결됨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고전파의 테스트 대역 사용 대상, 공유 의존성
안녕하세요복습을 진행하면서 단위 테스트(블라디미르 코리코프)를 같이 공부하는데, gpt와 씨름해 보아도 모르겠어서 질문 드립니다 ㅠㅠ책에 따르면 고전파의 테스트 대역 사용 대상은 공유 의존성으로 유일하고, 이것의 예로 데이터베이스를 들고 있는데요.우빈님의 강의에 따르면 이것은 고전파의 방식과는 거리가 멀어 보여서 혼란이 옵니다테스트 대역을 쓰고 싶다면, 공유 의존성(데이터베이스)은 가능하다라는 뜻 인걸까요?만약 그렇다면, 고전파가 테스트 대역 사용에 엄격한 방식이라고 이해했었는데, 데이터베이스를 유일한 모킹 가능성 영역이라고 보는 것이 납득하기 어렵습니다강의에서 가르쳐주신 것처럼 외부 서비스(메일)을 모킹 처리 하는 것이 더 나은 방식, 혹은 고전파 다운 방식이라고 생각되어서 혼란스럽습니다..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빌드 문제
<?xml version="1.0" encoding="UTF-8"?> <project xmlns="http://maven.apache.org/POM/4.0.0" xmlns:xsi="http://www.w3.org/2001/XMLSchema-instance" xsi:schemaLocation="http://maven.apache.org/POM/4.0.0 https://maven.apache.org/xsd/maven-4.0.0.xsd"> <modelVersion>4.0.0</modelVersion> <!-- 1) 여기만 3.3.0(또는 3.2.5 등)으로 변경 --> <parent>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parent</artifactId> <version>3.3.0</version> <relativePath/> <!-- lookup parent from repository --> </parent> <groupId>com.example</groupId> <artifactId>demo</artifactId> <version>0.0.1-SNAPSHOT</version> <name>demo</name> <description>demo</description> <properties> <java.version>21</java.version> <lombok.version>1.18.36</lombok.version> </properties> <dependencies> <!-- Spring Boot Starters -->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data-jpa</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web</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mail</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validation</artifactId> </dependency> <!-- 기타 의존성 -->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groupId> <artifactId>spring-context-support</artifactId> <version>6.0.3</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com.h2database</groupId> <artifactId>h2</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com.mysql</groupId> <artifactId>mysql-connector-j</artifactId> <scope>runtime</scope> </dependency> <!-- Lombok --> <dependency> <groupId>org.projectlombok</groupId> <artifactId>lombok</artifactId> <version>${lombok.version}</version> <scope>provided</scope> </dependency> <!-- Jackson --> <dependency> <groupId>com.fasterxml.jackson.core</groupId> <artifactId>jackson-core</artifactId>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com.fasterxml.jackson.datatype</groupId> <artifactId>jackson-datatype-jsr310</artifactId> <version>2.14.1</version> </dependency> <!-- Springdoc --> <dependency> <groupId>org.springdoc</groupId> <artifactId>springdoc-openapi-starter-webmvc-ui</artifactId> <version>2.0.2</version> </dependency> <dependency> <groupId>org.springdoc</groupId> <artifactId>springdoc-openapi-ui</artifactId> <version>1.6.14</version> </dependency> <!-- Test --> <dependency>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starter-test</artifactId> <scope>test</scope> </dependency> </dependencies> <build> <plugins> <!-- (선택) JDK 툴체인 강제 설정 --> <plugin> <groupId>org.apache.maven.plugins</groupId> <artifactId>maven-toolchains-plugin</artifactId> <version>3.1.0</version> <executions> <execution> <goals> <goal>toolchain</goal> </goals> </execution> </executions> <configuration> <toolchains> <jdk> <version>${java.version}</version> </jdk> </toolchains> </configuration> </plugin> <!-- 자바 21 + Lombok 어노테이션 프로세서 --> <plugin> <groupId>org.apache.maven.plugins</groupId> <artifactId>maven-compiler-plugin</artifactId> <version>3.11.0</version> <configuration> <release>${java.version}</release> <annotationProcessorPaths> <path> <groupId>org.projectlombok</groupId> <artifactId>lombok</artifactId> <version>${lombok.version}</version> </path> </annotationProcessorPaths> <fork>true</fork> </configuration> </plugin> <!-- Spring Boot Maven Plugin: Lombok 제외 유지 --> <plugin> <groupId>org.springframework.boot</groupId> <artifactId>spring-boot-maven-plugin</artifactId> <configuration> <excludes> <exclude> <groupId>org.projectlombok</groupId> <artifactId>lombok</artifactId> </exclude> </excludes> </configuration> </plugin> </plugins> </build> </project>
-
해결됨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assertThat 상태 코드 비교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구체적으로 적을수록 좋아요!마크다운과 단축키를 활용하면 글을 더 편하게 작성할 수 있어요.커뮤니티 질문 & 답변에 비슷한 내용이 있었는지 먼저 검색해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분위기를 함께 만들어가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 주세요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강의 내용과는 조금 거리가 있는 질문일수도 있겠으나 궁금해져서 여쭤봅니다. assertThat으로 응답코드 검증 시 getStatusCode().value() 와 200으로 직접 코드값을 검증하시는 이유가 있을까요? getStatusCode() 와 HttpStatus.OK 로 enum 타입 검사가 의도가 명확하지 않나? 라는 의문이 들어서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 건지 궁금해서 질문 남겨봅니다
-
미해결Do It! 장고+부트스트랩: 파이썬 웹개발의 정석
docker-compose down 안되는 현상
안녕하세요.docker-compose down시 계속 permission denined가 뜹니다.우선 저는 가상머신 os:ubuntu에서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며, sudo 붙여서 종료 시도, sudo docker kill 로도 강제 종료를 시도했지만 permission denined이라 다 실패하였습니다.최후의 수단으로 docker설치 삭제 후, 재설치도 해보았지만 안타깝게도 실패하였습니다.하여 container를 종료하려고 할 때마다 가상머신 종료하고 다시 들어가야하는 매우 불편하고도 불운한 상황에 처해있습니다. groups를 통해 docker가 있는 것도 확인하였습니다. 도저히 왜 안되는지 모르겠습니다.도움이 절실합니다... 감사합니다.ㅠ
-
해결됨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테스트 격리에서 테스트 랜덤 실패 이유
69강 테스트 격리에서 테스트가 랜덤으로 실패하는 이유가 뭔가요?싱글톤때문에 발생하는 문제인건 알겠는데 조회할 때 Exception이 생기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빌드 안 되시는 분들 참고
Maven resources compiler 어쩌구자바 버전 문제제 기준 pom.xml에서 java.version 21로 올리고 프로젝트 설정에서 SDK/모듈도 동일하게 설정했더니 해소 됐습니다NoSuchFieldError 어쩌구lombok 버전이 자바 버전과 안 맞음.pom.xml lombok dependency의 버전을 자바랑 맞추기 https://jinseobbae.github.io/java/2023/02/27/lombok-version-compatibility.htmlUnsupported class file major version 65스프링부트 버전 문제3.3.0으로 올리니까 해소됐습니다
-
미해결클린 코더스: 실전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과 TDD 마스터 클래스
13강, 책임을 나누는 기준
3분 43초경, 책임을 나누는 부류에서"누가 해당 메서드의 변경을 유발하는 사용자인가"가 기준이 된다고 하셨는데,메서드의 변경을 유발한다는 게해당 메서드를 누가 호출하느냐? 어떤 사용자가 이 메서드를 사용하냐? 이렇게 이해하면 되나요?메서의 변경을 유발한다는 의미가 해당 메서드를 이용한다는 의미인지? 정확히 메서드의 변경을 유발한다는 점이 무슨말인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테스트 코드 작성 범위 고민
안녕하세요! TDD 평소에 관심이 많았지만 실무에서 막상 적용하려니 고민이 많았는데 좋은 강의 만들어 주셔서 감사합니다. 섹션5까지 수강했는데 벌써 만족스럽네요 수강평 5점 먼저 드렸고 평소에 실무에서 항상 고민이 되던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려요! 테스트코드가 너무 많아지는 것이 부담스러워서 하는 고민인데요. 특정 Service 메서드의 테스트코드를 작성 할 때 해당 메서드가 사용하고 있는 Repository 메서드 에서 테스트한 내용을 Service 에서 중복적으로 테스트해야하는 가에 대한 고민입니다. 참고로 Service, Repository 메서드 둘다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 동일한 파라미터를 인풋으로 받고 있다는 전제입니다. GPT 에게 물어보면 아래와 같이 대답을 하는데요. 서비스 메서드의 인풋값이 변경되면 응답에 영향을 미치는데 Repository에서 테스트했다고 안하는 것이 맞는가? 라는 고민이 계속 되네요. 고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GPT 답변]Service 테스트는 Repository 동작이 "올바르다고 믿는다는 전제 하에" 작성하는 것이 일반적인 전략입니다.즉, Repository의 구현 자체를 Service 테스트에서 다시 검증할 필요는 없습니다. 질문 카테고리가 "수업질문"인데 전체질문으로 변경하는 버튼이 없어서 일단 그대로 둡니다 ㅜ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