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2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25)
60010포트 관련 에러 (vagrant up 진행시)
vagrant up 진행시 하기와 같이 에러가 나옵니다.어떻게 진행해야하나요?
-
해결됨데브옵스(DevOps)를 위한 쿠버네티스 마스터
재접속시 worker 노드 STATUS NotReady 이슈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듣고 있습니다.강의가 길어서 Google cloud VM인스턴스에 ssh로 접속을 하고, 끊었다 다시 하곤 하는데요. 다시 연결할 때 worker-1, worker-2가 NotReady상태로 변하곤해서 질문드립니다 (그림-1). worker 노드 역할을 하는 인스턴스에 접속할 때는 그림-2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뜨고요. 인스턴스 재설정 여부에 따라 문제가 해결되기는 하는데요.인스턴스 재설정 -> Cloud Identity-Aware Proxy를 사용하지 않고 재시도 -> ssh 접속 -> Ready상태인스턴스 재설정 (X) -> Cloud Identity-Aware Proxy를 사용하지 않고 재시도 -> 그림-3과 같은 에러창매번 이러다 보니까 솔루션이 있는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그림-1그림-2그림-3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Docker 개념 문의
학습중에 궁금한부분이 생겨서 문의드립니다제가 알기로는 docker 컨테이너를 실행해도리눅스의 경우 커널같은 코어한 부분은 쉐어한다고 알고있는데요낮은 버전의 우분투에서 도커오 높은 버전의 우분투 이미지를 돌려도 정상적으로 돌아갈까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25)
Vagrant sysnet4admin/CentOS-k8s 버전 관련 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사님의 강의를 듣기 위하여 실습 환경을 조성하고 있는데, vagrant up 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오류 메세지가 나타났습니다.The adapter to attach a forwarded port to was not found. Please verify that the given adapter is setup on the machine as a NAT interface. 해당 오류 메세지에 대하여 질문은 이미 이 질문글 https://www.inflearn.com/questions/726525/vagrant-up%EC%8B%9C-%EC%98%A4%EB%A5%98 에서 확인하였고 강사님도 "다양한 정책, 보안 설정, 기타 등을 다 고려한 답변을 해 드리기 어렵다" 고 하셔서 여기서 해결책을 찾을 수는 없었습니다.해결책을 찾던 중에 혹시 sysnet4admin/CentOS-k8s 박스 이미지의 최신 버전(0.7.4)이 현재 제 실습 환경과 충돌이 있는 것이 아닌가 하여 이전 버전(0.7.2)을 사용하였더니 구축에 성공하였습니다.이렇게 해서 문제 해결은 했는데, 혹시 이전 버전(0.7.2)의 박스 이미지를 사용해도 실습에 지장이 없을까요? 실습에 문제가 있다면 어떤 부분일지 궁금하여 질문드렸습니다![실습 환경]OS: macOS Ventura 13.1 (x86)VirtualBox: 7.0.6Vagrant: 2.3.4
-
미해결만들면서 배우는 프론트엔드 DO IT 코딩 (Next.js, Typescript)
배포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사님.강의를 듣고 있는 학생입니다.제가 Next.js를 가지고 개발을 하고 있는데 배포를 할 때, Next.js로만 dockerfile을 작성해서 배포하면 되는 걸까요? 아니면 Vue.js와 같은 SPA 처럼 Nginx를 포함시켜서 dockerfile을 작성하고 각각 컨테이너를 만들고 연결시켜주면 되는 건가요?제가 이쪽 지식이 부족해서 수업 이외에 다른 것도 여쭤보게 되었는데,, 만약 답변이 가능하시다면 염치불구하고 물어보고 싶습니다 ㅠㅠ배포 환경은 EC2와 같은 가상컴퓨터환경(클라우드)에서 쿠버네티스를 만들고 그 위에 올릴거 같은데,, 어떤 구조를 참고하면 좋을지 고민이에요.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25)
mac에서 tabby - config.yml 이 로드가 되지 않아요.
[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질문 하기]~/Library/Application Support/tabby/comfig.yml이 있는데 프로필들이 보이지 않아서 문의 드립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진행이 어렵습니다..
여기 강의부터 생략해서 설명하는 부분이 많습니다. (문서 내용만으로도 해결이 안됩니다. 제공된 문서에서도 생략된게 너무 많습니다.)C:\Work\vagrant>vagrant up 여기서 부터 안돼서 인터넷 찾아가면서 Vaganrtfile파일을 수정해야하는 것을 알았고 어찌저찌 해가곤 있는데,, ip 등록은 어디서 하는거고, status 하면 하나만 뜨고, 진행하면 할수록 강의 하시는분과 환경이 달라집니다. 이전 강의 까지는 실습 영상을 따로 찍어주면서 명령어도 짤막하게나 알려주셨는데.. 이젠 진행하기가 힘듭니다 ㅜㅜ문서나 유튜브가 아닌 유료 강의에서 과정이 생략되는 것은 아쉽습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containerd 폴더 없는 문제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 덕분에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다만 github에 있는 쿠버네티스 설치 가이드를 보고 따라 설치하던중(master, node 2개 vm 모두 centos7 로 진행) 아래 부분에서 오류가 나서 질문드립니다7번 칸에서 kubeadm init 명령어도 오류가나서 안내대로 따라해보았으나 여전히 같습니다 그리고 kubelet start 를 해도 서비스 실행이 되지 않는것 같습니다 다른 방법이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ansible에서 host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호스트에서 컨테이너로 접속하는 것은 문제가 없는데, 컨테이너로 띄운 앤서블 컨테이너에서는 호스트의 계정명@퍼블릭 ip 로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접속한 주소는 Mac(애플 실리콘)에서 ifconfig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나오는 en0 인터페이스의 inet 주소입니다. 와이파이 환경에서도, 이더넷 환경에서도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윈도우 사용자분들 질문만 있고, 맥 환경에서 사용하시는 분들이 안된다는 질문은 없는 것 같아서 이렇게 남겨봅니다. ssh: connect to host [`ifconfig로 나온 en0 inet주소`] port 22: Connection refused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authorized key 질문
FROM ansible/centos7-ansible:stable CMD [ "sh","-c","yum update && yum install -y openssh-server && yum install -y openssh-clients && sed -i “s/^#PermitRootLogin prohibit-password/PermitRootLogin yes/g” /etc/ssh/sshd_config && echo 'root:(pw)' | chpasswd && yum -y install docker " ]안녕하세요 새해 복 많이 받으시고 올해 좋은 일만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authorized_key 질문 드리려고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강의를 보면서 ansible-server를 직접 구축하였는데 authorized_keys 관련 문제에 봉착하였습니다.1.local에 단일 노드k8s를 설치하고 docker engine환경에 dockerfile를 구성하여 ansible container를 띄웠습니다...2.해당 서버에 외부에서(jenkins)에서 비번으로 ssh접속을 하기 위해서 설정을 위와 같이 했구요.3.간단한 ansible모듈 테스트를 하려고 ssh-keygen으로 rsa키 만들고 pub키를 ssh copy id로 윈도우에 보냈는데4.성공은 하지만 authorized_key가 생성이 되질 않습니다.5.윈도우로 ssh접속은 잘 되는 상황입니다.6.authorized_keys를 직접 복사해도 22port접속시 비번을 물어봅니다.무엇이 문제인가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로컬 서버에 mvn 설치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sonarQube 플러그인 사용해 로컬 서버에 이미지 빌드 테스트 실습 중입니다.window 로컬 서버에서 mvn 따로 설치해 명령어 사용해보니 빌드 중에 에러가 발생하는 이슈가 있네요window 로컬 서버에 mvn 버전이나 설치하는 방법 알 수 있을가요?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사내 서버를 k8s로 변경하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덕분에 k8s에 자신감이 생겨 이번에 사내의 기존 vm 환경의 서버들을 k8s로 변경하려고 합니다! (TF팀을 이끌게 됐습니다)그런데 제가 타회사의 k8s 환경을 본 적이 없어서 어떤식으로 접근하고 구성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서버 한대를 노드 한대로 쓰는지 서버 한대에서 vm 여러대로 쪼개서 쓰는지 마스터는 몇개로 구성하는지? 이런 것 부터 뭔가 참고 할만한게 있으면 좋겠는데.. 어디 여쭤볼곳도 없고 아무리 찾아도 나오지 않습니다 ㅠㅠ 지금 강의보고 공부해서 사내에서 저 혼자 구성해서 쓰고 있는 k8s는 이 정도인데이걸 확장시켜서 써도 되는지도 모르겠습니다뭔가 어떤식으로 접근하면 좋을지 감이 안잡혀서 질문드립니다 강의와 무관한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ㅠㅠ.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windows python 못찾는 에러 해결방법
사전에 필요한 세팅https://www.inflearn.com/questions/686301/ansible-%EC%84%9C%EB%B2%84%EC%97%90%EC%84%9C-windows-%ED%98%B8%EC%8A%A4%ED%8A%B8-%EC%A0%91%EC%86%8D-%EB%AC%B8%EC%A0%9C그리고 그 글 댓글에 있는https://www.inflearn.com/questions/686434/ssh-copy-id-%EC%97%90%EB%9F%AC-%EB%AC%B8%EC%9D%98처리 후 다음 내용 진행.==================================에러 내용은 윈도우 사용자가ansible-playbook -i ./k8s/hosts k8s-cicd-service-playbook.yml을 수행했을 때 python위치를 못찾았다거나아니면 "OO 다음에 OO와야 하는데 없어요"대충 이런 내용 에러 나타났을 때. 위와 같은 에러가 발생했다면, 이 내용으로 해결될겁니다.... 제가 이것저것 하면서 해결한 방법이라, 빠진 내용이 있거나 필요 없는 사항이 있을 수도 있어요. 그대로 최대한 해결했던 방법 순서를 살려서 적어봅니다.. 아래 사항은 ansible-server bash에서 합니다.host 정보 설정vi ./k8s/hosts vi 명령어 수행 후이전 사전 수행에서도 했었던 host 설정을 해줌.[ ]안의 내용은 편한대로 해도 가능. 저는 windows 그대로 씀. playbook에서 실행하는 window 내의 yml 파일 수정vi playbook이름.yml 명령어 수행 후저기서 hosts명을 ./k8s/hosts 설정했던 host명으로 바꿈.중요한 것은 tasks에서 command가 아니라 win_command를 사용함.win_command 명령어 내부에서는 테스트를 안해봤는데, kubectl은 그냥해도 작동하는거 확인했고, 뒤에 파일명만 써놓고 안되면 캡쳐화면처럼 절대위치 파일명 써보세요. 그리고 유저명을 이미 host 정보에 밝혔기 때문에 적지않고 ansible-playbook -i ./k8s/hosts k8s-cicd-deployment-playbook.yml나ansible-playbook -i ./k8s/hosts k8s-cicd-service-playbook.yml수행하면 실행됩니다. =================================ansible-server에서 ansible-playbook 수행==================================ansible-server에서 deployment, service 모두 수행 완료 후host windows powershell에서 확인==================================테스트 화면 띄우기================================= 만약 이래도 처음에 언급한 에러가 발생한다면windows 환경에 python 설치해보세요.저같은경우 windows powershell에서 python이나 python3.x 명령어가 작동안해서 msstore에서 ansible 서버와 맞는 python 버전을 새로 설치했었습니다.이부분은 없어도 되는건지 테스트를 안해봤었어요.
-
미해결Jenkins를 이용한 CI/CD Pipeline 구축
ssh-copy-id
Ansible에서 Kubernetes 제어하기 강에서 발생한 문제입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686434/ssh-copy-id-%EC%97%90%EB%9F%AC-%EB%AC%B8%EC%9D%98위와 결과가 같아서 답변을 따라 해보았음에도 해결이 되지않아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mac pro M1은 안되네요 ..
Bringing machine 'k8s-master' up with 'virtualbox' provider... Bringing machine 'k8s-node1' up with 'virtualbox' provider... Bringing machine 'k8s-node2' up with 'virtualbox' provider... ==> k8s-master: Importing base box 'centos/7'... ==> k8s-master: Matching MAC address for NAT networking... ==> k8s-master: Checking if box 'centos/7' version '2004.01' is up to date... ==> k8s-master: Setting the name of the VM: k8s_k8s-master_1673313406363_35180 ==> k8s-master: Clearing any previously set network interfaces... ==> k8s-master: Preparing network interfaces based on configuration... k8s-master: Adapter 1: nat k8s-master: Adapter 2: hostonly ==> k8s-master: Forwarding ports... k8s-master: 22 (guest) => 2222 (host) (adapter 1) ==> k8s-master: Running 'pre-boot' VM customizations... ==> k8s-master: Booting VM... ==> k8s-master: Waiting for machine to boot. This may take a few minutes... k8s-master: SSH address: 127.0.0.1:2222 k8s-master: SSH username: vagrant k8s-master: SSH auth method: private key k8s-master: Warning: Connection reset. Retrying... The guest machine entered an invalid state while waiting for it to boot. Valid states are 'starting, running'. The machine is in the 'aborted' state. Please verify everything is configured properly and try again. If the provider you're using has a GUI that comes with it, it is often helpful to open that and watch the machine, since the GUI often has more helpful error messages than Vagrant can retrieve. For example, if you're using VirtualBox, run `vagrant up` while the VirtualBox GUI is open. The primary issue for this error is that the provider you're using is not properly configured. This is very rarely a Vagrant issue.virtual box 버전이 최신에서만 m1이 되다보니.. 안되는 거 같습니다.
-
미해결쉽게 시작하는 쿠버네티스(v1.25)
트러블 슈팅하다가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 아니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 | 아니요]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 | 아니요](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질문 하기]안녕하세요! 조훈님 쿠버네티스 강의 너무 재밌게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오늘 트러블 슈팅하는 과정에서 무작정 해결은 되었지만 원인을 정확하게 알수 없어서 조훈님께 좀더 정확한 지식을 얻기 위해 질문합니다!저의 문제 상황은 이러했습니다. 강의 대로 진행을 하면서 LoadBalance로 배포를 하니 ip가 192.168.2.11 로 배포가 되더라고요. 때문에 접속이 불가능 했고, 저는 위 ip를 강의와 같이 192.168.1.11 바꾸고 싶었습니다. 때문에 조훈님 강의를 다시 반복하면서 제가 놓친 부분이 있나 보기도 하고, 강의 질문목록등을 살피면서 metallb.yaml파일을 열어 보았고 마지막 부분이 이렇게 강의와 다른 ip를 가르키고 있었습니다. data: config: | address-pools: - name: metalLB ip-range protocol: layer2 addresses: - 192.168.2.11-192.168.2.19파일을 처음 열어보았을 때 어? 이 주소가 맞나? 싶었습니다.하지만 저는 제 지식이 짧은 탓에 이 부분을 건드려도 되는지 확인해 보기 위해 조훈님 깃헙 파일과 대조해 보았고 놀랍게도 깃헙 파일은 192.168.2.11-192.168.2.19이 아닌 192.168.1.11-192.168.1.19로 되어 있더라고요. 이게 어찌된 일인지.. 저는 yaml 파일을 건드린 적이 없는데... 때문에 수정을 위와 같이 해서 강의와 같이 ip를 바꾸긴 했지만 왜 yaml 파일이 지 멋대로 수정이 되어있었는지 아직도 의문입니다. 제가 나름대로 추측(?)을 해보았는데 이 부분에서 조훈님께서 제가 어떤 부분 지식이 부족한지 방향성을 알려주실 수 있다면, 제가 놓친 부분을 더 공부하고자 합니다![추측]위와 같이 yaml 파일이 수정이 된것은 제가 virtualbox를 삭제하고 meatallb image가져오기를 반복하는 과정에서 무슨 문제가 있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서버 재대로 끄지도 않고, 그냥 virtualbox 삭제 안되는거 강제로 삭제하고 다시 apply -f 무작정 다시 하고 그랬습니다.)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HPA에 대해 궁금한 부분이 있습니다.
강사님 안녕하세요강의 항상 잘 보고 있습니다.강의 중에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HPA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Metric Server를 설치하는데 이전 수업에서kube-scheduler 설명할때는kube-scheduler가 api-server에 watch를 걸어놓고 모든 node의 cpu/mem등의 리소스 상황을 파악하여파드생성등의 요청이 있을때 목적지를 선정해주는 역할이라고 들었습니다. 그럼 metric server를 설치를 안해도 api-server를 통해 cpu/mem 정보를 알수 있지 않나 싶은데HPA를 사용하기 위해서 metric server를 설치하는 이유가 있을까요?HPA에서 metric api를 사용한다는 것은 알고 있는데kube-scheduler처럼 metric server를 통하지 않아도 cpu/mem 정보를 얻을수 있지 않을까싶어서 여쭤봅니다.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master node의 /root/.kube/config
강사님 안녕하세요동일 클러스터 내에 worker node에서master node의 /root/.kube/config 파일내용을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도커라는 말은 제품이름인가요?
제가 이해한게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가상머신이나 컨테이너가 큰 기술적 개념이라고 생각하는데요도커라는 말은 제품명이라고 이해하면 될까요?예를들어서 저는 가상머신이 기술적 개념이라면 이를 제품화한게 Virtual Box, VMware라고 생각합니다
-
해결됨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
Logging 챕터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강사님 안녕하세요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Logging 챕터에 cAdvisor에 대한 설명과 프로메테우스등의 솔루션 내용이 나오는데요Daemonset을 통해서 프로메테우스 파드들이 각 노드에 설치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그런데 matrics server를 설치하면각 노드의 kubelet이 matrics 정보를 API 서버로 주기 때문에 master 노드에서도kubectl top 명령으로 성능 정보를 확인할 수가 있다고 본거 같은데요그러면 Daemonset으로 모든 노드들에 파드들을 배포할 필요 없이master 노드에서만 Agent를 설치하여 모든 노드들의 성능정보를 수집하는 것이 가능할까요?왜 데몬셋을 통해 모든 노드에 Agent를 배포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또 프로메테우스에서 데몬셋으로 노드별로 파드를 배포하는데노드의 matrics 정보가 아닌 클러스터 구성정보(노드 수, 네임스페이스, 파드 수)는 API Server를 통해서 수집을 하게 되는건가요?그럼 노드마다 배포된 파드에서 API Server를 통해 정보를 수집하게 되면(1번노드에서 수집, 2번노드에서 수집) 구성정보는 중복 수집이 될텐데API Server로부터 구성정보를 수집하는 파드가 별도로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