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0기 세번째 발자국 (feat. 마지막 발자국 ㅠㅠ)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0기 세번째 발자국 (feat. 마지막 발자국 ㅠㅠ)

발자국

어느덧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마지막 주차가 다가왔다. 매우 즐겁기도 했지만 한편으로는 매우 아쉬운 마음이 너무 걸렸다. 이런 기회가 자주 있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마지막 발자국(회고)를 시작해보겠다.


강의 요약

Day10. 객체지향과 JPA 연관관계

조금 더 객체지향적으로 개발할 수 없을까?

우리는 지난 시간까지 책 생성 API를 개발하고 대출과 반납기능까지를 개발완료하였다. 하지만 여기서 이런 의문사항이 들 수 있다. SQL 대신에 ORM을 사용하게 된 계기는 "DB 테이블과 객체는 패러다임이 다름" 때문이다. 우리가 사용하는 Java는 객체지향 언어이고 요즘 서비스 진행중인 웹 어플리케이션도 절차지향적이기 보단 객체지향적으로 구성되어 있는 코드들이 많을 것이다. (개인적인 뇌피셜) 그래서 우리가 20강에서 배운 스프링 컨테이너도 객체지향 설계라는 지점에서 출발하게 되었다. 즉, User 객체와 UserLoanHistory를 협업시킬 수 없을까? 즉, 대출기능을 개발할때 BookService가 UserLoanHistory 객체를 만들어 저장하고, 그것을 User객체가 가져오는 방식이였다. 뭔가 BookService를 거쳐가야한다는게 걸린다. 즉, BookService로직은 User객체가 가져와 사용하고 User객체가 직접 UserLoanHistory와 상호작용을 하면 좋을 것 같다. 반납기능도 대출기능과 동일하게 바꾸면 좋을 것 같다.

이렇게 바꾸려면 조건이 존재한다. User객체와 UserLoanHistory가 서로 존재한다는 것을 인지해야 한다. 이것을 위해 연관관계 개념이 등장하였다. 대표적으로 N:1 관계가 존재한다.

🙋🏻 N:1 관계란?

예시로 들어보자. 어느 한 교실에 여러명의 학생이 존재할 수 있다. 이 때 학생은 N이고 교실은 1이다 이것을 N:1관계라고 부를 수 있다.

그럼 관계를 설정하고 나서 다음으로 할 일은 연관관계 주인이 누구인지 알아야한다.

현재 우리의 실습 소스에서 user와 user_loan_history의 테이블을 보면 아래와 같다.

create table user (
  id bigint auto_increment,
  name varchar(25),
  age int,
  primary key (id)
);
create table user_loan_history (
  id bigint auto_increment,
  user_id bigint,
  book_name varchar(255),
  is_return tinyint(1),
  primary key (id)
);

여기서 연관관계 주인을 누구로 할까? 쉽게 생각해서 N:1관계에서 N쪽이 보통은 연관관계 주인이라고 생각하면 쉽다.

그리고 연관관계 주인이 아닌쪽에는 mappedBy 속성을 추가해줘야 한다. mappedBy의 속성의 값으로는 관계에 설정된 클래스에 선언된 자신의 객체의 변수명을 적어주면 된다. 실제 코드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변경이 가능하다.

User.java

@Entity
public class Us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 null;

    @Column(nullable = false, length = 20)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eger age;

    @OneToMany(mappedBy = "user")
    private List<UserLoanHistory> userLoanHistories = new ArrayList<>();

    protected User() {
    }

    public User(String name, Integer age) {
        if (name == null || name.isBlank())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String.format("잘못된 name(%s)이 들어왔습니다.", name));
        }

        this.name = name;
        this.age = age;
    }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Integer getAge() {
        return age;
    }

    public void update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UserLoanHistory.java

@Entity
public class UserLoanHistor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 null;

    @ManyToOne
    private User user;

    private String bookName;

    private boolean isReturn;

    protected UserLoanHistory() {
    }

    public UserLoanHistory(User user, String bookName) {
        this.user = user;
        this.bookName = bookName;
        this.isReturn = false;
    }

    public void doReturn() {
        this.isReturn = true;
    }
}

위의 코드처럼 N쪽에 @ManyToOne 어노테이션을 붙여주고 관계를 맺는 객체를 선언해준다. 그리거 1쪽도 마찬가지로 관계를 맺는 객체를 선언해주고 위에 @OneToMany 어노테이션을 선언해준다. 이런 방식을 양방향 연관관계라고 부르며, 한쪽만 연관관계를 맺을 시 단방향 연관관계라고 부른다. 이렇게 연관관계의 주인의 값이 설정되어야만 진정한 데이터가 저장된다.

그럼 BookService는 어떻게 변경을 하는지 살펴보자.

BookService.java

// 5. 유저와 책 정보를 기반으로 UserLoanHistory를 저장.
this.userLoanHistoryRepository.save(new UserLoanHistory(user, book.getName()));

이제 위와 같이 user의 id값을 저장하는게 아닌 user 객체를 직접 저장할 수 있다.

JPA 연관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기능들

1:1 관계

예를 들어 한 사람과 실거주지의 관계가 딱 1:1 관계이다. 그러면 연관관계 주인은 어느 객체일까? 설정하기 나름이지만 주어진 상황은 사람이 연관관계 주인이라 생각하는게 좋을 것이다. 그러면 코드로 표현하면 아래와 같을 것이다.

Person.java

@Entity
 public class Person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 null;

     private String name;

     @OneToOne
     private Address address;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Address getAddress() {
         return address;
     }

     public void setAddress(Address address) {
         this.address = address;
         this.address.setPerson(this);
     }
 }

Address.java


 @Entity
 public class Address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city;

     private String street;

     @OneToOne(mappedBy = "address")
     private Person person;

     public Long getId() {
         return id;
     }

     public String getCity() {
         return city;
     }

     public String getStreet() {
         return street;
     }

     public Person getPerson() {
         return person;
     }

     public void setPerson(Person person) {
         this.person = person;
     }
 }

🔥 연관관계 주인 효과

연관관계 주인을 설정하는 것은 객체가 연결되는 기준이 된다.

1. 상대 테이블을 참조하고 있으면 연관관계의 주인
2. 연관관계의 주인이 아니면 mappedBy를 사용
3. 연관관계의 주인의 setter가 사용되어야만 테이블 연결

즉, 아래처럼 setter를 이용하여 연결이 가능하다.

@Transactional
public void savePerson() {
  Person person = this.personRepository.save(new Person());
  Address address = this.addressRepository.save(new Address());
  person.setAddress(address);
}

주의

만약 트랜잭션이 끝나지 않았을 때 한쪽만 연결해두면 반대쪽은 알 수 없다. 그래서 위의 코드에서 address.getPerson()을 출력을 하면 null이 뜰 것이다. 왜냐하면 지금은 현재 person만 address를 연결해줬기 때문이다. address는 person을 연결해주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럼 해결책은 없을까? 객체안에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를 만들어 두 객체의 setter를 호출하면 해결이 된다.

N : 1 관계 - @ManyToOne과 @OneToMany

위에서 언급을 했지만 @ManyToOne과 @OneToMany는 둘다 양방향으로 연결을 할 수 있지만 단방향 연결도 가능하다. 또한 이 어노테이션들을 이용하면서 새롭게 배우는 어노테이션이 있는데 바로 @JoinColumn이다.

@JoinColumn

- 연관관계의 주인이 활용할 수 있는 어노테이션.
- 필드의 이름이나 null 여부, 유일성 여부, 업데이트 여부 등을 지정

- 일종의 @Column 어노테이션과 유사하다고 생각하면 좋다.

N : M 관계 - @ManyToMany

구조가 복잡하고, 테이블이 직관적으로 매핑되지 않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추천한다고 하셨다. 실제로 실무에 근무하는 분들한테 이야기를 들으면 N:M은 많이 사용하지 않고 꼭 이런식으로 처리해야할 경우면 N:1과 1:N으로 풀어쓴다고 하셨다.

cascade 옵션 & orphanRemoval 옵션

한 객체가 저장되거나 삭제될 때, 그 변경이 폭포처럼 흘러 연결되어 있는 객체도 함께 저장되거나 삭제되는 기능.

  • JPA에는 Entity들 사이의 연관관계를 정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영속성 전이라고 하는 Cascade 옵션이 있다. 이 옵션을 이용해서 부모에 가해지는 변화를 자식에게 전파할지에 대해 설정할 수 있다.

    • @OneToMany로 자식들을 갖고 있는 부모 객체만 저장/삭제 해도 자식 객체도 함께 저장/삭제 된다던지, 하는 효과를 누릴 수 있다.

  • JPA에는 Entity들 사이의 연관관계를 정의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옵션 중에 orphanRemoval 라는 것이 있다. 이 옵션을 이용하면 부모가 자식에 대한 참조를 끊을 때, 참조가 끊어진 자식 Entity(고아 객체)를 DB에서 삭제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만약 어떤 회원이 책 2권을 대출했다고 하자. 그리고 그 회원이. 갑자기 회원탈퇴를 해서 DB에서 사라졌다. 그럴 경우 많이 이상하게 책 2권이 연결되어 있던게 끊어진 상태가 된다. 이상한 구조일 것이다. 즉, 회원이 삭제될 때 유저 대출기록도 같이 삭제해두는게 좋을 것이다. 그리고 이와 같이 쓰는 옵션이 바로 orphanRemoval 옵션이다.

@OneToMany(mappedBy = "user", 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UserLoanHistory> userLoanHistories = new ArrayList<>();

위의 코드처럼 사용하면 부모객체의 저장/삭제해도 자식 객체도 함께 전파되면 삭제시, 자식 객체도 같이 삭제된다.

책 대출/반납 기능 리팩토링과 지연로딩

이제 우리가 만든 대출과 반납기능을 리팩토링 해보자. 리팩토링 할 부분은 무엇일까? 현재 코드를 보면 도메인 계층에 비즈니스 로직이 들어가져 있다. 또한 여기서 영속성 컨텍스트 4번째 옵션이 나오는데 바로 지연로딩이다.

데이터를 처음에 한번에 로딩을 안하고 꼭 필요한 순간에 데이터를 로딩시킨다. 바로 @OneToMany의 fetch옵션의 default 값이다. 지연 로딩을 사용하게 되면, 연결되어 있는 객체를 꼭 필요한 순간에만 가져온다.

그러면 우린 이제까지 연관관계를 맺고 주인을 정하고 지연로딩, cascade, orphanRemoval옵션을 이용해서 리팩토링과정을 거쳐보았다. 이렇게 연관관계를 이용하면 뭐가 좋을까?

📖 연관관계 장점

1. 각자의 역할에 집중할 수 있다. = 응집성

2. 새로운 개발자가 코드를 봤을 때 이해가 쉬워진다.

3. 테스트 코드 작성에 용이하다.

그러면 무조건 연관관계 맺는것이 좋을까? 그렇지는 않다! 연관관계를 남발해서 사용하면 지나치게 사용하면, 성능상의 문제가 생길 수도 있고 도메인 간의 복잡한 연결로 인해 시스템을 파악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또한 관계가 복잡하면 하나의 테이블 수정 시, 다른 테이블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강의중에서도 코치님께서 아래와 같이 말씀주셨다.

비즈니스 요구사항, 기술적인 요구사항, 도메인 아키텍처 등 여러 부분을 고민해서 연관관계 사용을 선택해야 한다.


Day11. 기본적인 배포를 위한 준비

배포란 무엇인가?

배포란 무엇일까? 배포는 제 3자의 사용자가 우리가 만든 서비스를 전달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는 지금 현재 우리의 개인 PC에다가 개발을 하고 웹을 띄워보며 테스트를 해보았다. 하지만 영희가 우리의 서비스를 이용할려하면 어떻게 할까? 현재 상황에서는 나한테 연락을 하고 우리집에 방문해서 사용하고 가야할 것이다. 물론 영희 1명이고 내가 집에 있다고 한다면 가능하다. 하지만 영희 혼자가 아니라 100만명이 우리의 서비스를 이용한다면 정말 고민이 많을 것이다. 또한, 내가 잘때 갑자기 철수가 오겠다고 하면 나는 잠을 자지도 못하고 철수가 우리집에 올 때까지 기다려야 할 것이다.

그래서 나는 좋은 생각을 한다. 제3의 컴퓨터를 빌려서 우리의 웹 어플리케이션을 띄우는 것이다. 그리고 나의 친구들에게 그 컴퓨터 IP주소를 알려주면 된다. 이 과정을 배포과정이라고 한다. 그러면 이 컴퓨터는 누구한테 빌릴까? 네이버, 구글등 다양한 컴퓨팅 서비스를 해주는 곳은 많지만 대부분 아마존을 이용한다. 또한 배포를 위해 컴퓨터를 빌릴때 운영체제를 선택도 해야한다.

profile과 H2 DB

여기서 우리는 문제를 직면한다. 우리의 코드를 제3의 컴퓨터에서 실행시킬 때 DB같은 자원정보를 변경해줘야 한다. 이런 불편함에 이런 생각을 하게 된다. 코드변경 없이 우리의 컴퓨터에서 실행할때 우리의 DB가 연결이 되고 제3의 컴퓨터에서 실행할때는 제3의 컴퓨터에 설치된 DB가 연결되어야 한다. 즉, 똑같은 코드로 실행환경에 따라 설정을 다르게 하고 싶다. 이때 바로 profile을 이용하는 것이다. 현재 우리는 지금 profile이라는 것을 사용하고 있다. 바로 "default" profile을 사용한다. 아무것도 설정을 안하면 해당 프로필이 자동으로 올라온다. 그럼 실제 우리의 코드에 profile을 적용해보자. 똑같은 서버 코드를 실행시키지만, local 이라는 profile을 입력하면, H2 DB를 사용하고 dev 라는 profile을 입력하면 MySQL DB를 사용하게 바꾸자.

🤔 H2 DB란?

경량 Database로, 개발 단계에서 많이 사용하며 디스크가 아닌 메모리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개발 단계에서는 테이블이 계속 변경되는데 어차피 데이터가 휘발되기 때문에 ddl-auto 옵션을 create로 주면 테이블을 신경쓰지 않고 코드에만 집중할 수 있다! 그래서 개발단계나 테스트에서 H2 DB를 많이 사용한다.

그러면 적용한 yml은 아래와 같이 될 수 있다.

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local
  datasource:
    url: "jdbc:h2:mem:library;MODE=MYSQL;NON_KEYWORDS=USER"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properties:
      hibernate: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h2:
    console:
      enabled: true
      path: /h2-console

---
spring:
  config:
    activate:
      on-profile: dev
  datasource:
    url: "jdbc:mysql://localhost/library"
    username: "root"
    password: ""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jpa:
    hibernate:
      ddl-auto: none
    properties:
      hibernate:
        show_sql: true
        format_sql: true

여기서 --- 은 프로필을 구분하는 표시선이라 생각하면 좋다. 그리고 DB 접속 url에 MODE=MYSQL;NON_KEYWORDS=USER 해당 옵션을 붙인 이유는 DB의 키워드중에 USER라는 것이 있기에 키워드로 설정 안하고 모드를 MySQL과 유사하게 만들기 위한 옵션이다. 또한 h2.console.enabled와 h2.console.path 옵션은 해당 경로로 접속했을 때 h2 console을 사용할 수 있기 위해서이다.

git과 github이란 무엇인가?!

개발 관련 서적이나 자료를 찾다보면 한번쯤 보이는 주소가 있다. 바로 git이다. git이란 코드를 쉽게 관리할 수 있도록 해주는 버전 관리 프로그램이다. 이런 상황이 있다하자. A개발자와 B개발자가 협업을 하고 있다 하자. 그리고 각자 개발 후 소스코드를 합칠때 문제가 생긴다. 다른 코드들은 상관없지만 같은 파일의 코드들을 다르게 수정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이것을 일일이 수작업으로 확인하기엔 너무 힘들다. 이래서 git이 등장한 것이다. 또한 버전을 관리하기에 아래와 같은 사태 또한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

image

그러면 github는 무엇일까? git으로 관리되는 프로젝트들을 관리해주는 저장소이다. 우리는 git으로 관리하는 프로젝트를 github에 저장할 수 있다. 그럼 왜 github에 저장할까? 자랑용, 공유로 저장할 수 있지만 배포가 가장 큰 이유로 볼 수 있다. 제3자의 컴퓨터에 우리의 서비스를 배포해야하는데 우리의 소스코드를 usb나 외장하드에 담아 제3자의 컴퓨터까지 가서 복사해서 할 수는 없을 것이다. 만약 집 근처면 참고 갈테지만 만약 미국의 제3자의 컴퓨터가 있다면 비행기값이 더 나올 것이다.

 

깃 명령어

그럼 간단하게 깃 명령어를 알아보자.

📚 용어

git init : git 프로젝트 시작하기

git remote add origin [각자 저장소 주소]: git 프로젝트의 github 저장소 설정하기

git add . : 코드들을 담는다. 일종의 택배상자에 담는다고 보면 된다.

git status: 현재 택배상자에 코드들이 잘 담겨져 있는지 확인하는 명령어

git commit -m "메세지" : 택배상자에 송장 붙이는 명령어

git push : 택배상자를 github에 보내기

 

택배상자를 github에 보낼 때 git push –set-upstream origin master 명령어를 최초 1번 해줘야 한다.

 

AWS의 EC2 사용하기

AWS의 회원가입 로그인 과정을 거쳐서 제3자의 컴퓨터를 빌려보는 실습을 해보았다.


Day12. AWS와 EC2 배포

EC2에 접속을 하려면 아래와 같은 준비물이 필요하다.

1) 우리가 접속하려는 EC2의 IP 주소
2) 이전 시간에 다운로드 받았던 키 페어
3) 접속하기 위한 프로그램 (git CLI 혹은 Mac terminal)

다운로드 받은 키 페어를 이용하는 방법
ssh –i 경로/키페어이름.pem ec2-user@IP

다음으로 키페어 권한을 변경해주자.

chmod 400 경로/키페어이름.pem

아니면 위와같은 과정이 불편하다면 AWS의 콘솔을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리눅스 명령어

mkdir : 폴더를 만드는 명령어

ls : 현재 위치에서 폴더나 파일을 확인하는 명령어

ls –l : 조금 더 자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cd : 폴더 안으로 들어가는 명령어

pwd :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명령어

cd .. : 상위 폴더로 올라가는 명령어

rmdir : 비어 있는 폴더(디렉토리)를 제거하는 명령어

프로그램 설치

이제 EC2에 접속했으니 git, java, mysql을 설치해보자. 먼저 아래와 같이 리눅스 터미널에 명령어를 입력하자.

sudo yum update

위의 명령어의 sudo는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한다는 의미이고 yum은 리눅스 패키지 관리 프로그램 (gradle과 비슷한 역할)이다. update는 현재 설치된 여러 프로그램들을 최신화한다는 의미이다.

깃 설치
sudo yum install git
JDK11 설치
sudo yum install java-11-amazon-corretto -y
mysql
sudo yum install mysql-community-server // 설치

sudo systemctl status mysqld // 현재 보이지 않는 프로그램을 관리하는 명령어 + mysql 상태 확인

sudo systemctl restart mysql // mysql 재시작

sudo cat /var/log/mysqld.log | grep “A temporary password” // mysql 임시 비밀번호 확인

mysql –u root –p // mysql 접속

빌드와 실행

git clone 명령어로 우리가 깃헙에 올린 프로젝트를 가져오자.

git clone [github 저장소 주소]

이제 빌드준비를 위해 gradlew의 권한을 변경하자

chmod +x ./gradlew

이제 빌드를 하자 (단, 테스트는 제외)

./gradlew build –x test

그럼 jar파일이 생겼을텐데, 아래와 같은 명령어로 실행시킨다.

java –jar build/libs/library-app-0.0.1-SNAPSHOT.jar --spring.profiles.active=dev

그럼 서버가 정상적으로 실행된다. 다음으로 서버를 중단해보자. ctrl + c를 누르면 중단된다.

하지만 우리는 터미널을 닫아도 서버는 계속 실행되고 싶다. 즉, 백그라운드 재생을 하고 싶어한다.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nohup [명령어] &

그러면 백그라운드로 재생된 우리의 프로그램을 어떻게 종료할까?

ps aux | grep java

위와 같이 현재 실행중인 프로그램 중 java가 들어가는 프로그램을 확인해서 pid값을 알아내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kill -9 프로그램번호

또한 파일의 내용을 확인해 볼 수 있는 명령어도 알아보자.

vi : 리눅스 편집기인 vim을 사용하여 파일을 연다.

또한 vi말고도 cat 명령어도 있다.

cat : 파일에 있는 내용물을 모두 출력하는 명령어

또한 끝부분만 확인하고 싶을때 아래와 같이 입력한다.

tail : 현재 파일의 끝 부분을 출력하는 명령어

여기서 실시간으로 확인하고 싶을 경우 f옵션만 주면 된다.

가비아를 이용한 도메인 구입

가비아를 통해 도메인을 구입해보았다. 실제 과정은 매우 단순함으로 생략한다.


Day13. SpringBoot 설정 및 버전업

여기서는 내용을 조금 축약해서 작성해보겠다. 이전에 배웠던 개념이기도 하고 중요하지만 실습적인 부분은 아니기에 간략히 작성한다. 우리는 여기서 gradle의 구성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 gradle 파일안에는 플러그인 설정, 의존성 설정, 저장소 설정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스프링이 어떻게 생겨났는지 스프링부트는 또 어떻게 생겨났는지 이 둘의 차이는 무엇인지 알 수 있었다. 그리고 yaml 문법과 properties 문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다음 우리의 프로젝트에서 롬복을 적용해서 리팩토링과정도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스프링부트 버전을 3.x로 바꾸어보았다. gradle에서 스프링부트 버전을 변경하고 빌드할때 달라진 부분들을 고쳐주는 작업을 해보았다.


Day14. 마무리 및 꿀팁

우리는 여기서 앞으로의 공부 방향성, AWS 비용계산방법, myBatis 적용, 정적파일 처리방법을 배웠다. 나는 여기서 느꼈던 점은 공부 방향성에 있어서 코치님 말씀대로 코틀린 및 스프링의 다양한 모듈에 대해 접근해볼 예정이다.

또한 이 수업에서 myBatis를 적용해보았는데 개인적으로 내 스프링부트 버전이 myBatis starter 몇 버전을 쓰는지 복잡함을 느꼈다. 또한 여전히 문자열로 쿼리를 작성한다는게 나한테에 있어서 많은 불편함을 느꼈다. 하지만 여기서 코치님은 대용량 데이터를 insert할때 jdbcTemplate을 이용한 batch 쿼리 실습을 해주셨는데 시간차이를 보니 완전 신세계였다. 이 부분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알아봐야겠다.


미니 프로젝트

나는 미니프로젝트를 개발해가면서 많은 어려움과 좌절을 맛 보았다. 1단계는 나름 간단해서 별거 없네라는 식으로 넘어갔다. 하지만 다른 러너분들과 리뷰과정에서 많이 고쳐야 할 점을 보았다. 또한 단계가 갈수록 코드가 점점 개판이 되어간다는 나 자신이 너무 싫었고 특히 마지막 단계는 밤을 꼬박 새워서 해결할 수 있었다.

공공데이터포털로 법정공휴일 api를 가져오려 했지만 이 api가 몇번 타임아웃이 발생한다. 이 문제때문에 시간을 쏟은것은 안 비밀!

리뷰중에는 왜 이렇게 작성했냐부터 이렇게 바꾸는 것이 어떤가의 대해 의문점을 던져주셨고 이것을 깊이 통찰하는 시간이 나를 성장하는 계기를 만든 것 같다. 자세한 개발과정은 1단계와 똑같은 절차로 해결했으니 1단계 개발일지를 참조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개발일지

https://inf.run/rF31s

 

PR

1단계: https://github.com/crispindeity/warming-up-study-mini/pull/8

2단계: https://github.com/crispindeity/warming-up-study-mini/pull/9

3단계: https://github.com/crispindeity/warming-up-study-mini/pull/13

4단계: https://github.com/crispindeity/warming-up-study-mini/pull/15

 

최종 머지한 내 프로젝트

https://github.com/SungbinYang/warming-up-study-mini/tree/main/sungbin/mini


회고

드디어 스터디클럽의 여정이 끝났다. 정말 힘들고 출사표때 전달했던 많이 부딧혔고 깨졌다. 그러면서 나는 점점 성장을 해 나간것 같다. 비록 1달이라는 짧다면 짧은 여정이였지만 내 학습의 여정은 아직 끝이 안 났기에 계속 달려볼려고 한다. 이 클럽을 수료하더라도 혹은 1기로 다시 재 신청을 하더라도 내 본연의 학습여정은 계속 될 것이며 그 여정동안 많이 깨지고 부딪히면서 점점 성장하는 개발자 양성빈이 되어야겠다. 화이팅 🔥🔥🔥🔥

 

📚 참조

http://www.jjal.today/bbs/board.php?bo_table=gallery&wr_id=94&sfl=wr_subject%7C%7Cwr_content%7C%7Cwr_4&stx=웃짤&sop=and&page=7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