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백엔드

  • 해결 여부

    해결됨

Service와 Dto

23.05.12 11:06 작성 23.05.12 11:09 수정 조회수 703

2

강의를 보던 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 남겨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Service 레이어에서 dto를 사용해도 되는지, dto는 어떤 계층까지 사용해도 되는지에 대해 궁금합니다!

저는 보통 사용할 때 UI <-> Controller 사이에서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dto를 사용하고, Service 에서는 비즈니스 로직 수행 후 엔티티를 반환하는? 그런 식으로 진행해왔는데 강의에서 보면 Sevice에서도 dto를 바로 반환해서 사용하더라구요..

dto라는게 data transfer object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으니 굳이 UI와 Controller 관계가 아니여도 계층과 계층간의 데이터를 이동할 때 dto를 만들어서 사용해도 되는 건가요??

 감사합니다!!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2

안녕하세요, 효권님! 좋은 질문 감사드립니다!! 😊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DTO라는 것 자체가 효권님께서 말씀해주신 것처럼 Data Transfer Object (데이터 전달 객체) 라서, 개인적으로는 꼭 UI - Controller 사이가 아니라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까지 사용할 수 있는 Object 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제가 개인적으로 라는 글자를 강조 드린 것처럼, 이 부분은 정답이 없고 개발하시는 분들에 따라 의견이 많이 달라지는 부분이에요!

예를 들어, DTO를 UI - Controller 사이에서만 활용하고, Service로 필요한 필드를 내려 보낼 때는 DTO 안의 필드들을 풀어서 전달하는 분도 계시고요! UI - Controller - Service 에서 사용할 DTO와 Service - Repository 에서 사용할 DTO를 구분하는 분도 계십니다.

이러한 방법들은 각각의 논리와 장단점이 있고 결국 개인의 취향, 팀적인 Align이 많이 들어가는 부분인 것 같아요 ㅎㅎㅎ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또 궁금한 점 생기시면 편하게 질문 남겨주세요!! 🙏

김효권님의 프로필

김효권

질문자

2023.05.13

감사합니다~~

올려주신 코틀린 강의 두개 잘 듣고있습니다!! 궁금증이 해결됐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