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네트워크

  • 해결 여부

    해결됨

포트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22.12.10 00:56 작성 조회수 202

0

저는 포트를 프로세스를 구분하는 번호 혹은 특정 프로토콜에 의해 예약된 번호 정도로 알고있는데요,

이러한 개념이 엔드포인트가 아닌 라우터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예를 들어 4567번 포트에 바인딩된 프로세스와 통신하려 한다면 라우터에서도 4567번 포트가 열려있어야 하는 건가요?

아니면 라우터의 포트는 그냥 인터페이스를 일컫는 하드웨어 용어인가요?

우연히 포트포워딩에 대한 글을 접하고 혼동이 와서 질문드립니다...ㅠㅠ 강의는 막 섹션 3을 끝낸 참입니다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1

sete 님이 알고 있는 지식에서 '프로토콜에 의해 예약된 번호'라는 것에 대해 더 깊이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보입니다. 그 프로토콜이라는 것은 User mode application protocol일 것이고 application의 인스턴스는 통상 Process 입니다. 그리고 이는 End-point host에서 실행중인 Process가 되겠습니다.

라우터에 대해서는 택배회사 혹은 택배기사님으로 생각하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포트번호란 받는 사람(Process)의 이름같은 것이고요. 택배기사님은 받는 사람이나 보내는 사람이 어떤 사람이고 어떤 이유로 택배를 주고 받는지 관심이 없습니다. 정확히는 있어서도 안 됩니다. 라우터가 하는 일은 택배(Packet)이 잘 전달되도록 역할하는 것까지 입니다.

그리고 특정 포터 번호를 가진 패킷을 스위칭할 것인지 결정하는 것은 라우터가 아니라 방화벽이나 IPS같은 보안 스위치가 하는 일입니다. 물론 라우터의 ACL을 적용해 일정 수준의 보안정책이 적용될 수 있겠으나 이는 엄밀히 말해 라우터 본연의 역할이 아닙니다. 따라서 '포트가 열려있어야'라는 생각은 잘못된 것입니다. 더 생각해볼 문제는 '포트를 누가 여는가' 입니다.

그리고 그 포트라는 것인 L4수준 TCP 포트라 하여 해당 포트번호를 사용하는 Process가 라우터에서 실행되고 있어야 할 이유는 전혀 없습니다. 패킷이라는 데이터를 처리하는 수준이 User mode process 수준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라우터의 포트는 보통의 경우 인터페이스를 의미합니다. 네트워크 핵심이론 - 응용편까지 공부하시기를 강력히 권합니다. 아마도 응용편 공부를 끝냈을 때는 지금 가지고 있는 의문들이 모두 해결될 것 같습니다. 매우 좋은 의문과 질문 입니다. 이런 접근을 계속 이어가시고 학습하시면 분명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으리라 확신합니다. 건투를 빕니다!

sete님의 프로필

sete

질문자

2022.12.10

여유되면 응용편도 꼭 들어보겠습니다 답변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