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백엔드

  • 해결 여부

    미해결

ac.getBean()의 반환값에 대해서

22.04.24 14:31 작성 조회수 228

1

안녕하세요. 스프링 입문강의부터 열심히 보고 있는 수강생 입니다.

강의를 듣다가. 스프링 빈조회 기본 편에서는 assertThat().isInstanceOf(구현객체.class)이렇게 하셔서

getBean()의 반환값이 config의 return값이 들어오는줄 알았습니다.

근데 해당강의에서는 구현객체 클래스가 아닌 MemberRepository.class인 인터페이스로 비교를 하길래, 궁금하여 질문합니다.

코드상에서는 인터페이스든, 구현 클래스든 둘다 상관없이 비교가 가능한 것 같은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1

codesweaver님의 프로필

codesweaver

2022.04.24

안녕하세요, 박희민 님! 공식 서포터즈 codesweaver 입니다.

OOP 언어에서는 '상속'이라는 개념이 있습니다. 

현실세계의 상속이라는 단어와는 달리 OOP의 상속은

부모 객체의 코드를 재활용하면서 자식객체에 새로운 상태와 동작을 추가하는 것을 말합니다.

 

이때 상속관계에 있는 자식객체와 부모 객체 사이에 다형성이라는 개념이 생깁니다.

다형성은 쉽게 말하면 자식 객체는, 부모 객체로 볼 수 있다 라는 개념입니다.

예를 들면 부모객체 Person이 있고 이를 상속받은 자식객체 '철수'가 있을 때  '철수는 Person 이라고 할 수 있다' 가 바로 다형성 개념입니다. (역으로 Person은 철수다 는 성립하지 않습니다. 필요조건, 필요충분조건 등으로 설명하기도 합니다)

 

다형성 개념은 객체와 객체 사이 뿐 아니라 인터페이스와 객체 사이에서도 성립합니다. 

Member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MemoryMemberRepository 객체가 있을 때,

MemoryMemberRepository는 MemberRepository 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이를 비교하면 true 를 반환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