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백엔드

  • 해결 여부

    미해결

@Scope 관련 질문이 있습니다.

22.04.18 11:14 작성 조회수 182

0

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답변 달아주셔서 감사합니다.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 글을 적게 되었습니다.

 

1. A라는 클래스에 Request Scope를 사용하게 될 경우, 각 HTTP 요청마다 다른 A 클래스가 생성되서 오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이 때, 각 쓰레드별로 다른 Request Scope 빈을 사용하는 것으로 확인이 되었고, @PreDestory 메서드까지 처리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정리해보면 요청이 올 때마다 새로운 Request 스코프빈이 만들어져서 스프링 컨텍스트에서 관리된다는 것으로 이해를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럼 요청 10개가 오면, 동시에 10개의 쓰레드가 활동하면서 동일한 빈을 만들고, 스프링 컨테이너에 저장되어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때, 각 쓰레드는 어떻게 자기가 처음에 배정받았던 Request Scope 빈을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받아오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각 Request Scope 빈은 동일한 타입의 다른 이름으로 저장이 되는 걸까요?

 

2. Set Proxy 모드로 Request 객체를 만들었습니다 .이 때, Controller 클래스에 @RequiredArgusConstruct를 이용해서 @Controller 클래스가 스프링 빈으로 등록될 때, RequestScope 빈을 DI 받도록 설정했습니다.

 

이 때, Http 요청을 동시에 10개를 하게 되면 각 쓰레드마다 다른 프록시 객체를 가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이 RequestScope는 이미 Controller 빈이 등록될 때, 정해진 빈인데 어떻게 각 쓰레드가 요청할 때 마다 쓰레드별로 다른 빈을 반환해주게 되는 것인가요? 너무 궁금합니다

 

 

항상 좋은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0

안녕하세요. 안상혁님

많은 부분이 궁금하시겠지만 이 부분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려면 ThreadLocal이라는 고급 개념을 이해해야 합니다. ThreadLocal은 스프링 핵심원리 - 고급편에서 다룹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답변 감사드립니다.

해당 강의를 수강했고,  쓰레드 로컬 개념에 대해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Request Scope로 만들어진 빈은 싱글톤 빈이 아닌, 각 쓰레드의 쓰레드 로컬에 저장되어 관리되게 될까요? 예를 들어 Request Scope로 만들어진 빈은 싱글톤 빈에서 각 쓰레드의 참조 요청이 왔을 때, 각 쓰레드의 쓰레드 로컬에 저장되어있다가 꺼내서 사용되는 형태가 될까요?

 

그리고 생성 / 소멸 콜백도 일어나는 것을 확인했는데, 이 경우도 직접 스프링 컨테이너가 이 빈을 가지고관리하는 것이 아닌, 스프링에서 쓰레드 로컬의 Request Scope 객체를 저장할 때, 그리고 쓰레드 로컬에서 불러와서 Request Scope를 지울 때 발생하는 일일까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상혁님^^

다음 질문을 다시 읽어보고 어떤 부분이 궁금하신지 이해가 되었습니다.

Q: 이 때, Http 요청을 동시에 10개를 하게 되면 각 쓰레드마다 다른 프록시 객체를 가지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이 RequestScope는 이미 Controller 빈이 등록될 때, 정해진 빈인데 어떻게 각 쓰레드가 요청할 때 마다 쓰레드별로 다른 빈을 반환해주게 되는 것인가요? 너무 궁금합니다

-> 이 내용을 읽어보니 빈 스코프에 대해서 아직 이해가 부족하신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이번 강의에 있는 빈 스코프 전체 내용을 차근차근 복습해보시면 큰 그림이 이해가 되실꺼에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