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CAD · 3D 모델링

  • 해결 여부

    미해결

max 2010 버전 렌더링 오류 질문드립니다.

22.03.19 14:13 작성 조회수 386

0

안녕하세요. 선생님. 선생님 강의 듣는 사람인데, 회사에서 맥스관련 작업중 문제가 발생해서 문의드립니다. 제 사무실이 부대 안에서 있어서 보안 때문에 작업파일이 외부로 반출이 안되고 인터넷도 안됩니다. 그리고, 화면 캡처도 할 수 없는 상태라서 휴대폰으로 대략 찍고 보안에 문제 될 것 같은 화면은 좀 가린 상태로 질문드리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ㅜㅜ. 작업은 max에서 JPG 파일로 애니메이션을 렌더링해서 애펙으로 영상편집한 후 플래시 작업으로 진행합니다. OS는 윈도10이고, max 2010 이고, 렌더링은 스캔라인 기본렌더링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윈도7 에서는 이 작업이 무리가 없이 렌더링이 되었는데 제 컴퓨터가 망가져서, 할 수 없이 컴을 바꾸게 되어서 윈도10을 설치한 후 렌더링시 첫번쨰 이미지와 같은 오류창이 뜨고, 렌더링이 안되는 현상이 발생합니다. 오류창 내용은 Error allocating mesh. reduce the face count to render this scene 입니다. 기존에도 윈도10에서 이런 문제가 계속 발생해서 어쩔수 없이 OS버전을 윈도7으로 낮춰서 작업을 했습니다. 그리고, 메쉬문제인 것 같아서 가끔 설정을 바꿔서 XRef를 몇개 비활성화하면 잘됬다가 또 안되고, 다소 랜덤하게 오류창 메시지가 출력됩니다. 그리고 혹시 몰라 max2019에서도 테스트를 해봤는데 같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몰라 문의드립니다.ㅜㅜ. 그리고, 한 가지 더 질문 드리는데, 현재 파일을 렌더링시 xref 오브젝트의 경우 초기제작 max2010에서는 렌더링시 오브젝트가 보이는데, 상위 버전에서는 렌더링시 xref 오브젝트가 보이지 않습니다. 혹시 이 부분도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답변부탁드려요~ 감사합니다.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0

안녕하세요! 메시지를 보면 면수를 줄여서 렌더하라고 하는데 장면의 오브젝트들이 면수가 많은가요? 

상위버전의 경우 파일을 상위버전으로 저장해서 외부참조해보시길 바랍니다.

네. 비행 조종시뮬레이션이라서  오브젝트의 면수가 매우 많습니다. 그래서 오브젝트도 Xref 로 가져와서 사용하는 것 같아요. 제가 중도입사자라서 처음에 개발방법을 정확히는 모르겠으나, 카티아로 작업된 오브젝트들을 맥스로 가져오고, 다시 시뮬레이터를 위해 유니티나 다른 애니메이션 용도로 사용하는 것 같아요. 그런데, 제가 의문이 드는 점은 동일한 파일을 동일한 컴퓨터에서는 윈도7으로 문제 없이 렌더링이 되는데, 윈도10으로 가져오면 안된다는 점입니다. 그리고, 새로 들어오는 PC에 윈7을 깔려해도 인텔12세대는 윈7지원이 안된다고 해서, 앞으로 윈10으로 작업을 해야 되서요 ㅜㅜ.  군대 안에서 작업을 해야 되서 인터넷도 못쓰고 제약사항이 너무 많아서 문제 하나 해결하기가 너무 어렵네요 ㅜㅜ. 그럼 혹시 씬에서 쉽게 폴리곤 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을까요? 

렌더러는 무엇을 쓰시나요?

최근 렌더러들은 LOD기능이 내장되어 있어서   카메라에서 먼 오브젝트는 면수를 줄여줍니다.

정확한 것은 작업파일을 봐야알수 있을 것 같습니다. 

 

렌더러는 기본 렌더러인 스캔라인 렌더러입니다.  저도 작업파일을 가지고 나와서 분석하고 싶으나, 회사가 군대 안에 있어서, USB사용도 안되고, 인터넷도 사용할 수가 없어요 ㅜㅜ. 버전 문제인가 해서 max2021로도 렌더링을 돌려봤는데 처음에는 잘 렌더링이 되다가 어떤 시점에서 랜덤하게 동일한 오류가 발생합니다.  혹시,  max2021버전 카메라에서 면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작업물이 조종 교육시뮬레이션에 들어가는 동영상인데, 렌더러를 바꿔서 기존에 작업한 동영상과 화면이 차이가 나면 안될 것 같아서요., 

아..  그렇군요.  오류의 원인은 너무나도 많아서 말씀하신 내용만으로는 알 수가 없습니다.

이런저런 방법들을 시도해가면서 여러가지 오류의 원인을 추측해서 변경한 후에 테스트해보는 수밖에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