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강의 25% 할인 중 🤍

2024년 상반기를 돌아보고 하반기에도 함께 성장해요!
인프런이 준비한 25% 할인 받으러 가기 >>

  •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풀스택

  • 해결 여부

    미해결

장고를 배운후에

22.02.21 21:29 작성 조회수 109

0

안녕하세요!!

제가 궁금한것이 있어서 질문합니다.

조금 강의내용과는 동떨어진 내용이지만..

학교에서  웹을제작하고

데이터 저장 및 모니터링을 위한 클라우드 서버 구축을 해야한다고 하더라고요

이게 장고를 배운후에 장고와 관련해서 할수있는건가요?

아니면 저런 클라우드 서버구축은 장고와 일절 관련이 없나요?

제가 관련한 배경지식이 별로없어서..

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0

안녕하세요.

학교에서 사용하는 용어가 조금 모호한데요. 정의하기에 따라 다양한 의미로 해석이 될 수 있습니다.

학교에서 웹과 서버 구축을 별도로 이야기했다면, 웹을 단순히 정적인 웹페이지를 이야기한 것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데이터베이스와의 연계가 없는 단순히 개발자가 일일이 html/css/js를 하나하나 타이핑을 쳐서 만드는 웹페이지 말이죠.

데이터베이스와 연계된 동적인 성격의 웹서비스의 서버는 파이썬/장고, 자바/스프링 등으로 개발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서비스 개발과 별개로 서비스 인프라를 운영하는 것은 별개의 이슈입니다. 장고 혹은 스프링 등으로 개발된 웹서비스를 로컬 컴퓨터에서 운영할 수도 있고, 데이터센터에서 서버컴퓨터를 임대해서 세팅해서 운영할 수도 있고, Azure/AWS/Google 등의 대형 클라우드 벤더의 컴퓨터를 빌려서 구축/운영할 수도 있습니다. // 조직에 따라 서비스 개발자가 인프라 운영자를 따로 두기도 하고, 작은 조직에서는 겸임하기도 합니다. :-)

클라우드 서비스 인프라를 운영하는 Role을 예전에는 DevOps로 불렀고, 요즘에는 SRE라고 이야기합니다.

조직에 따라 클라우드 서비스 인프라를 직접 구축하기도 하고, Azure/AWS/Google에서 지원해주는 인프라를 최대한 활용하기도 합니다. 본 강의에서는 Microsoft Azure의 웹서비스 인프라를 활용하는 실습도 포함되어있습니다.

살펴보시고, 또 궁금한 부분이 있으시면 편히 질문주세요.

화이팅입니다. :-)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