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강의 25% 할인 중 🤍

2024년 상반기를 돌아보고 하반기에도 함께 성장해요!
인프런이 준비한 25% 할인 받으러 가기 >>

  •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프로그래밍 언어

  • 해결 여부

    미해결

마지막으로 더해지는 값이 63이 맞는거 아닌가요?

22.01.10 22:54 작성 조회수 99

0

sum = 0

for a in range(1, 100):
sum += a
if sum > 2000:
print(a, sum)
break
이렇게 썼는데 63으로 나오네요 ㅠ

답변 2

·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0

손가현님의 프로필

손가현

2022.01.17

for i in range(101):
if hap>=2000:
print("마지막으로 더해지는 i의 값은 ", i-1)
break
hap += i
print("1에서부터 누적값은 %s" %hap)



(총합이 2000을 넘을 때의 값 = 2016 / 마지막으로 더한 값 = 63)

위의 코드(수업 중 내용)에서는 i가 for i in range(101)을 넘어오면서 값이 1 추가됩니다.
만약 print("마지막으로 더해지는 i의 값은 ", i) 라고 작성하면 실제로 원하는 값은 63이지만 64로 출력됩니다.
그래서 i-1로 고친 것입니다.

아래 코드는 질문하신 분께서 작성한 코드입니다.
여기서 마지막 sum+=a를 실행했을 때 총합은 2016, a의 값은 63입니다.
합이 2000을 넘는지 판단하는 다음 코드에서, 합이 2000을 넘은 2016이 되었기 때문에 아까 2016, 63을 그대로 반환합니다.

위의 코드에서는 2000을 넘는 값(63)을 달성한 후에 i를 한 번 더 증가시켜 64가 되고, 아래에서는 63 그대로 끝납니다.
코드가 조금 달라서 착오가 있으셨던 듯 합니다.
sum = 0

for a in range(1,100): #1부터 99까지
sum += a
if sum > 2000:
print(a, sum) # 2000이 넘는 시점: a=63, sum=2016
break

sinyoung408님의 프로필

sinyoung408

2022.02.04

for x in range(1, 101):
if sum >= 2000:
break
print("현재 x의 값은 : ", x)
sum += x
print("누적합 : ", sum)

가현님 한 가지 여쭤보고자 하는데요, 그러면 이
코딩도 x가 63일때 더하고 다시 for이 반복되어 x가
64일때에 if문이 실행이 된다면 if문을 탈출하더라도
x는 64인 상황에서 print문을 만났는데 왜 x는
63일 때의 값으로 출력되는걸까요?
만족한 소님의 프로필

만족한 소

2022.02.14

2022.02.04에 올리신 코드에서는 print함수가 if 문 밖에 있기 때문에 x가 63일 때까지만 출력하고 

x가 64일 때에는 for문을 빠져나와서 print함수가 실행되지 않는 것 아닌가요??

0

HJ C님의 프로필

HJ C

2022.01.11

 sum += a 이부분 순서가 수업 코드랑 달라서 그런 것 같습니다!

제생각엔 63이 맞는것같은데 .. ㅠ 선생님 답변 기다려봐야할 것 같습니다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