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알고리즘 · 자료구조

  • 해결 여부

    미해결

78번 질문드립니다.

20.02.25 20:34 작성 조회수 114

0

find 함수에서 ufn[n]=find(ufn[n]); 이 부분으로 인해서 

최소비용을 구한이후에 ufn 배열을 출력하면 전부 요소가 6으로 되어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근데 출력해보니 434646444 이런식으로 나오는데 이유가 뭔가요?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1

4 3 4 6 4 6  4 4 4 결과를 모두 보면 1번정점의 루트번호을 추적하면 4에서 출발해 6번에서 멈추고, 2번도 3으로 출발해 6에서 멈추고 3번 정점도 4에서 출발 6에서 멈추고,  모두가 6번 인덱스에서 멈춥니다. 즉 모든 정점의 집합 번호가 6번입니다.

압축을 하지만 모두가 6으로 완벽하게 레벨 1짜리 트리로 압축되지는 않습니다. 직접 간선을 선택해 가면서 트리형태도 그려보면서 ufn배열값을 완성해나가 보세요. 특히 3 4 18 간선과 7 8 35 간선을 선택하면 트리그림이 어떻게 변하는지 보시면 알겁니다.  참고로 크루스칼 코드는 같은 집합인지를 알기 위해 모든 간선에서 find 함수를 두개 호출해 압축하고 있다는 것을 아시기 바랍니다. 모든 간선마다 하기는 귀찮으니  간선값이 작은 것부터 회로가 안되는 간선만 선택해서 시뮬레이션 해보세요. 그래도 느낌이 올겁니다. 작은 값부터 회로가 안되는 간선만 선택해가면서 시뮬레이션하면 배열값의 결과는 3 3 4 6 ~이런식의 값이 나올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