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강의 25% 할인 중 🤍

2024년 상반기를 돌아보고 하반기에도 함께 성장해요!
인프런이 준비한 25% 할인 받으러 가기 >>

  •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웹 개발

  • 해결 여부

    미해결

HTTP 의 Connectionless특성

24.05.26 00:10 작성 24.05.26 00:11 수정 조회수 75

0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저는 지금까지 HTTP의 특징을 비연결성으로 배웠습니다...

 

"HTTP/1.1부터는 keep-alive가 기본으로 세팅되어 자동으로 지속 연결이 된다." 라는 말을 저는

HTTP 자체는 비연결성인데 HTTP 1.1 , HTTP 2.0등 이후 버전들이 성능개선을 위해 지속연결을 자동으로 사용한다 라고 말씀해주셨는데 그렇다면 HTTP는 연결성 아닌가요?

 

면접에서 HTTP의 특징을 물었을때 비연결성이다 라고 말하면 틀린건가요?

 

또한 둘 중 어떤게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1. HTTP는 무상태,비연결성 특징을 가진다. 왜냐하면 각 요청과 응답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이다. 또한 HTTP 1.0, 1.1 그 이상 버전에서도 TCP 지속연결 모델을 사용하지만 HTTP는 TCP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비연결성의 특징을 그대로 갖고 있다.

  2. HTTP는 무상태, 비연결성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HTTP 1.0버전에서 비연결성의 단점이 드러났다. 따라서 1.1 버전 이상부터는 지속 연결을 사용하여 이러한 단점을 극복했다.

 

답변 2

·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0

안녕하세요. water975님

HTTP는 기본적으로 비연결성인데, 비연결성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 keep-alive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정도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

감사합니다.

0

인프런 AI 인턴님의 프로필

인프런 AI 인턴

2024.05.26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water975님의 질문에 대해 관련된 기존 답변 링크를 찾아드리겠습니다. 질문하신 내용은 HTTP의 비연결성(Connectionless) 특성과 관련하여, HTTP 1.1 및 이후 버전에서 도입된 지속 연결(Keep-Alive) 기능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비슷한 주제에 대한 설명을 찾아보실 수 있습니다:

  1. HTTP의 비연결성 특징과 지속 연결에 대한 설명

    • 이 답변에서는 HTTP와 TCP의 관계, 그리고 TCP가 연결 지향적이라는 특성에도 불구하고 HTTP가 왜 비연결성을 특징으로 갖는지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HTTP가 기본적으로 비연결성을 갖지만, 성능 향상을 위해 지속적 연결 옵션을 제공한다는 점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2. TCP/IP와 HTTP의 관계 및 연결성에 대한 해설

    • 이 질문과 답변에서는 TCP/IP와 HTTP 간의 관계와 함께 HTTP 1.0과 1.1 버전의 연결성 차이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특히 HTTP 1.1에서 도입된 보다 효율적인 연결 유지 방법에 대한 개요가 제공됩니다.

위 링크들은 HTTP가 TCP/IP 프로토콜 스택 위에서 동작함에도 불구하고 왜 비연결성을 유지하는지, 그리고 HTTP/1.1에서 도입된 지속 연결(Keep-Alive)이 HTTP의 기본 특성에 어떻게 적용되는지에 대한 이해를 돕습니다. 따라서 Water975님의 두 번째 질문과 관련해, HTTP는 본질적으로 비연결성이지만, 성능 개선을 위해 지속 연결 옵션이 도입되었다고 설명할 수 있으며, 면접에서 HTTP의 특징으로 비연결성을 언급하는 것은 여전히 유효합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water975님의 프로필

water975

질문자

2024.05.26

그러면 1번이 맞는 답인가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