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데브옵스 · 인프라

  • 해결 여부

    해결됨

명령어 종류에 따른 동작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24.01.24 22:13 작성 조회수 153

1

안녕하세요.

컨테이너 동작에 대한 명령어 run/start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두 명령어 다 -i옵션이 있지만 run명령어는 기본적으로 쉘에 컨테이너의 stdin을 잡는 반면 start명령어는 잡지않는것으로 보여서 옵션을 찾아보니 두 명령어 모두 -i옵션이 있긴한것으로 확인했습니다. 하지만 설명에 stdin을 잡아놓지 않은 경우에 옵션이 유효하다고 명시되어 있는것도 확인했는데,

두 명령어에 대한 interactive 기본값이 다른것으로 해석하면 되는지가 궁금합니다.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1

Hee Chang, J님 안녕하세요. 데브위키입니다.

 

일단 run 명령과 start 명령에 사용되는 옵션 -i는 동일한 옵션을 의미합니다. (interactive)

 

-i 옵션은 보통은 -t 옵션과 함께 사용되고 컨테이너 내부로 터미널 입력을 가능하게 합니다. (사용 예시: docker run -it nginx bash)

-t 옵션은 (TTY) 를 의미하고 컨테이너가 터미널 통신이 가능하도록 생성하는 옵션입니다. 컨테이너 생성 시 -t 옵션을 추가해서 생성한 컨테이너만 -i 옵션으로 터미널 통신이 가능합니다!

 

그래서 docker create로 컨테이너 생성 당시에 -t 옵션을 주지 않은 경우는 docker start 에서 -i 옵션을 주어도 상호작용이 불가능합니다.

 

정리하자면 start 명령에서 -i 옵션이 제대로 동작하지 않았던 이유는 create 시에 -t 옵션을 주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보통은 create, start 명령을 따로 사용할 일이 없어서 저도 습관적으로 docker run 시에 -it 옵션만 주었는데요.

질문해주신 덕분에 새로운 정보를 공유드릴 수 있게 되었습니다.

 

강의 들으시면서 궁금하신 점이 생기면 편하게 질문 주세요.

완강까지 응원하겠습니다!

 

 

상세한 답변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