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2: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ipv6 패킷관찰
ipv6-fragmentation.pcapng 파일에서1,2 번 패킷들은 ip단편화가 일어나지않앗지만 2개의 패킷으로 전송된 이유가 뭔가요 ?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2: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와이어샤크
http 프로토콜의 패킷같은 경우http,tcp ipv4 , eth , rip 등 다양한 프로토콜을 사용하고 있을텐데,이 특정 패킷은 http,tcp,ipv4로 필터링 하면 다 검색이 되는건가요 ?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2: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HTTP 메시지
HTTP 메시지는 패킷의 어느부분에 들어가는건가요 ?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2: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네임 서버
ip를 자동으로 할당받는 경우isp가 ip를 할당해주고 dns도 할당해주나요?그럼 kt를 이용하는 경우 도메인 네임 resolve 하는경우 kt의 dns를 이용하고있는건가요 ? 그리고 kt의 dns가 모든 도메인네임에 해당하는 ip주소를 가지고 있을순 없으니 , 루트 네임서버, TLD 네임서버 , 최종 네임 서버는 따로있는건가요 ?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2: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IP 헤더의 플래그 필드
플래그 필드중 MF비트는 더 있는지 없는지를 가리킨다고 했고,단편화된 패킷은 순서대로만 오지는 않는다고 했는데,패킷1,2,3 이 같은 데이터라면 패킷3의 MF비트에 0 이 있을텐데 패킷 1,3,2 순서로 왔다면 수신기기는 패킷3이 마지막 패킷인줄알고 패킷3까지만 받고 패킷2는 받지않을까요 ?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2: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스타크래프트 LAN
스타크래프트 멀티플레이에서 연결 방법을 선택하는 란에 배틀넷, LAN(UDP) LAN(IPX) , 등등 이렇게 있더라고요 피시방에서 친구들끼리 LAN으로 접속하면 스위치나 허브에 꽂힌 피시방 컴퓨터들이 LAN케이블을 통해 스타크래프트 내의 정보를 주고받는건가요 ?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2: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캡슐화 역캡슐화하는 시간
네트워크장비(중간노드)가 메시지를 받으면 역캡슐화,캡슐화 과정을 하고 다른 노드로 보내는가요 ?아니면 중간노드는 메시지를 그냥 다른 노드로 넘기나요 ?호스트(끝노드)에서만 그 과정을 거치나요 ?
-
미해결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2: 혼자 공부하는 네트워크
그래프
네트워크의 구조는 그래프의 형태를 띄고있다 라고 하셨는데,비유인가요 ? 실제로 기기간(노드)간의 메시지를 주고받을때 그래프 자료구조를 사용하는건가요 ?실제로 제 기기가 네트워크안에 있다면(연결 되었다) 라고 한다면 어딘가의 장비에 코드로써 제 기기(노드 ) 가 기존의 그래프에 추가된건가요 ?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라우팅에서 언더바(_) 폴더를 사용했을때 어떤 이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를 듣다보니 하나 의문점이 들어 질문드립니다.app 폴더 하위에서 "page.tsx"로 만들면 nextjs에서 자동으로 라우팅하여 경로로 인식한다고 설명해주셨는데요. 강의를 듣다보니 언더바를 붙인 폴더 경로는 라우팅에 포함되지 않는다고 이야기를 하시더라구요. 파일명을 page로 만들지 않으면 라우팅에 포함되지 않는데, 언더바 폴더를 사용하는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공식 문서에서는 명시적인 구분/이름 충돌 방지등 이점 설명이 있지만, 크게 와닿지 않아서 질문드려요!
-
해결됨20년 경력자의 알기쉬운 컴퓨터네트워크
실제 현장에서
안녕하세요, 지금까지 여러가지 각종 라우팅 프로토콜을 배웠는데요, 실제 현장 업무에서는 어떤 라우팅 프로토콜이 보편적으로 가장 많이 사용되나요? 강의에서 설명해 주신 바로는 static routing protocol은 작은 규모에만 사용될수 있고, eigrp 같은 경우는 씨스코 장비 전용이라고 하셨는데요, 그럼 실제 현장에서는 작은 규모는 static 을 애용하고 씨스코 장비 사용시는 eigrp 만 사용하나요? 아님 작은 규모던 씨스코 장비사용중이던 간에 다른 종류 (예: 가장 많이 사용한다고 말씀해주신 ospf) 같은 것도 사용할수 있나요? 실제 현장에서는 어떠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초보를 위한 쿠버네티스 안내서
ingress routing 문제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eks 관련해서 질문드렸던 수강생입니다. 덕분에 EKS에 잘 배포를 하였고 ingress 도 application Load Balancer로 잘 설정을 하였습니다. 그런데, 유독 Chrome 브라우저에서 몇번씩 간헐적으로 ingress에 설정한 라우팅 주소로 들어갈때 아주 오랫동안 로딩이 걸리는 현상(10초~30초)이 발생합니다. 그리고 Safari에서 바로 접속하면 잘 되구요. 설정은 ingress serviceNodePort 를 -> NodePort 80로 -> NodePort는 80을 오픈하고 8000 (웹서버)를 바라보게 설정을 해놓았는데요. 도메인 문제인가 싶어서 도메인도 바꿔보고 HTTPS 문제인가 싶어서 SSL 없이도 접속해보고 다 해보았는데 이 현상이 사라지지 않습니다 ㅠ 구글링해보아도 해당 문제가 잘 나오지 않아서 혹시 이러한 현상에 대해 아는 부분이 있나 궁금하여 질문을 드립니다 ㅠ 아래는 ingress yaml 파일입니다. apiVersion: extensions/v1beta1 kind: Ingress metadata: name: ingress annotations: kubernetes.io/ingress.class: alb alb.ingress.kubernetes.io/scheme: internet-facing alb.ingress.kubernetes.io/listen-ports: '[{"HTTP": 80}, {"HTTPS": 443}]' alb.ingress.kubernetes.io/actions.ssl-redirect: '{"Type": "redirect", "RedirectConfig": { "Protocol": "HTTPS", "Port": "443", "StatusCode": "HTTP_301"}}' alb.ingress.kubernetes.io/certificate-arn: arn:aws:acm:ap-northeast-{}:certificate/{} spec: rules: - http: paths: - path: /* backend: serviceName: ssl-redirect servicePort: use-annotation - path: /* backend: serviceName: backend-app-nodeport servicePort: 80 찾다보니 이 문제인 것 같기도 하고.. 정확한 해결책을 잘 모르겠네요 ㅠ 쿠버네티스로 처음 배포를 하다보니 헤매는 부분이 많네요.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5523421/aws-elastic-load-balancing-seeing-extremely-long-initial-connection-time/55777470#55777470 (++추가 수정) 해당 질문 답변을 보고 ALB 서브넷 중 하나가 Private으로 설정되어있어서 Public 으로 일단 바꿔보았습니다. 일단 이걸로 해결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ㅠ https://kubernetes-sigs.github.io/aws-load-balancer-controller/v2.1/ 이 사이트를 참고해서 애플리케이션 로드밸런서를 만들었는데요. 서브넷이나 이런 것들은 자동으로 설정이 되는 것 같아서 이런 것들은 어떻게 컨트롤할 수 있을지도 궁금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