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야기를 나눠요
12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 사이트의 경험??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는 사이트, 시스템에서 일하는 경험이 많지 않아서요 쿼리 최적화 클린코드 모니터링 많은 대한이 있겠지만 그런 곳에 있지 않은 상황이라면 어느것을 통해 경험할수 있을까요 혹은 그런 간접경험을 할수 있는 수단? 사이트? 그런게 있을까요?
-
자바 웹 개발 지망 mac, window 고민
안녕하세요 현재 컴공 3학년 재학중인 학부생입니다.다름이 아니라 19년도에 구매한 삼성노트북이 자꾸 재부팅이 됩니다.(포맷해도 몇개월 뒤면 똑같습니다ㅜㅜ) 계속 포맷하고 옮기기도 번거롭고 메인보드 교체도 70만원 정도여서 아예 노트북을 새로 사려고하는데요 이번에 살때 mac을 살지 고민돼서 질문 남깁니다ㅜㅜ게임도 안하고 보통 인텔리제이하고 vscode 주로 쓰는데 mac 쓰는데에 불편한점이 더 많을까요?맥은 에어 m1 램16 생각중이고 , 윈도우도 필요할 것 같아 현재 쓰고있는 삼성노트북을 포맷해서 사용하려고 하고 있고, windows를 사게되면 i7에 램16 스펙의 노트북을 사려고 생각중입니다.(현재 i5 램8)아무래도 현재 대학생인 저에겐 큰돈이어서 취업준비하고 공부하는데 좋은 선택을 하고 싶어 질문 남깁니다ㅠ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DB 접근 기술 관련 고민
안녕하세요 먼저 저는 아직 대학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천천히 공부를 하는 단계입니다. 데이터베이스의 기본적인 이론과 간단한 SQL 문은 짤 줄 아는 상태에서 이제 DB 접근 기술 공부를 하려는데JPA, SPRING DATA JPA 이전에 먼저 JDBC를 어느 정도 잘 다루고 싶은데 순수 JDBC는 영한님 말씀대로 가볍게 역사 공부 느낌으로만 듣고 넘기고 바로 JDBC TEMPLATE으로 입문을 진행하여도 상관이 없을까요?순수 JDBC는 지금 시점에서는 배울 필요가 크게 없는지.. 아니면 JDBC TEMPLATE 앞서 배우고 가는 것이 정석적인지 궁금합니다.
-
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DB1편을 듣지않고 2편을 듣기 어려운가요?
DB1편을 듣지않고 2편을 듣기 어려운가요? 현재 입문, 기본, MVC1편, MVC2편, 실전 JPA 활용1 이렇게 수강했습니다. 1편의 밑바탕없이 2편을 바로 들으면 매우 어려울지 질문드립니다.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이해는 가는데 막상 혼자 코드를 작성해보려니까 생각이 안나네요
분명 강사님이 코드 작성하시는거 보면서 따라서 작성하면 다 왜 이렇게 작성되는지는 이해가 가는데 막상 코드를 작성해보려니까 엉망진창이고 어디서부터 적어야할지 감이 안잡힙니다..ㅠㅠ 그래도 일단 계속 반복적으로 들어보는게 맞을까요? 코드를 보고 이해는 가니 자바 강의로 돌아가고는 있지 않긴한데 부분부분 왜 여기서 static을 쓰는지, private를 쓰는지.. 헷갈릴때가 있습니다. 계속 진행을 하는게 맞을까요 ?
-
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강의 자료랑 소스코드랑 터미널에서 치는 화면이 너무 작아요..ㅠ
화면이 너무 작아요..ㅠㅠ 너무 해상도가 높아서 그런지.. 글씨가 콩알만해서 잘 보이지 않네요... 솔직히 다시 녹화해야할거 같은데.. 보는게 너무 힘드네요 ㅠ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진로 방향성 고민
친구 프론트엔드, 저 백엔드 이렇게 해서 간단한 웹페이지 만들어 보려하는데, 현재 저의 백엔드지식은 아예 없다 생각해도 무방합니다. 첫 프로젝트를 하기 위해 공부해보려 하는데 백엔드 지식이 너무 방대하고 뭐 부터 해야 할지 몰라 막막합니다. 서로 프엔, 백엔 체험해보는식으로 만드는거라 깊게 공부는 하지않고 일단 만들어보면서 흥미를 느껴보려 하는데 조언좀 주실 수 있을까요
-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목록을 보는 회차에서 zipcode가 안불러와지는 이유가..?
앞선 수강생처럼 Whitelabel Error PageThis application has no explicit mapping for /error, so you are seeing this as a fallback.Mon Oct 30 21:40:32 KST 2023There was an unexpected error (type=Internal Server Error, status=500).An error happened during template parsing (template: "class path resource [templates/members/memberList.html]")org.thymeleaf.exceptions.TemplateInputException: An error happened during template parsing (template: "class path resource [templates/members/memberList.html]") 여기서 zipcode받는 부분을 html부분에서 빼고 받지 않으면 실행이 됩니다. 그런데 zipcode를 받는 부분이 문제가 없어보이는데... 계속 검토중이긴 합니다만..혹여나아시는게 있을까 싶어서..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김영한 강사님 죄송합니다.
안녕하십니까 김영한 강사님. 저는 현재 백엔드 분야를 지망하는 2학년인 대학생입니다. 백엔드를 어떻게 공부하면 좋을지 재직중인 선배님들께 물어본 결과 10명 중에서 10명은 무조건 김영한 강사님의 강의를 들으라고 하더군요. 저도 선배님들이나 김영한 강사님과 같이 훌륭한 개발자가 되고싶은데, 제 형편에 비해 강의료가 너무 부담이 되어 글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물론 가격에 비하면 엄청 많이 배워가는 강의라는 것을 알고 있지만 제 사정에 듣기는 쉽지가 않습니다... 소득분위가 0분위가 나올 정도로 가정형편이 좋은 편이 아니라 학비도 얼마 나오지 않는 대학교를 가서 국가장학금을 통해 학비를 충당하고있습니다.코딩테스트나 CS와 같은 분야는 어찌 공부할 방법이 있어서 공부를 꽤 많이 했으나, 백엔드의 경우는 김영한 강사님의 강의만큼 뛰어난 것이 없다라는 말을 너무 많이 들었기 때문에 강의를 듣고싶으나 듣기가 쉽지 않습니다... 다른 강의 및 책을 구해 공부를 해보았으나 김영한 강사님의 강의를 듣는 주변 사람들에 비해 얻는것이 부족한 것을 느꼈습니다.필요하시다면 저의 소득분위를 나타내는 화면을 인증할 수는 있습니다. 은혜를 베풀어주셨으면 하는 마음에 민폐일걸 알면서도 글을 씁니다. 도와주신다면 강의에만 다음 학기 개강 전까지 거의 모든 강의를 수료할 수 있음을 맹세하겠습니다. 어쨌든 괜히 부탁드려 죄송하고, 억지부려서 죄송합니다. 항상 영광의 길을 걸으시길 바라겠습니다.
-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스프링 로드맵과 스프링 부트 JPA 실무 로드맵
다른분이 질문한거 같기는 한데 현재 스프링 로드맵을 수강하고 있습니다. 해당 강의에서도 코드로 예시를 많이 들어주시는데 스프링 부트 JPA 실무 로드맵과 차이가 많나요? 실무 로드맵을 이전에 만드신거라 스프링 로드맵을 완강하면 실무 로드맵은 별차이가 없는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듣고 싶지만 이제 MVC 2편을 듣는중이라 갈길이 머네요..)항상 강의 즐겁게 잘듣고있습니다~~^^
-
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Spring MVC + Servlet 3.1 이상 model과 Spring Webflux
스프링 MVC + Servlet 3.1 이상 모델을 사용할 경우 비동기, 논블록킹이 가능하다고 들었습니다. Spring mvc내의 일부 getParameter, Filter 등의 함수나 일부 지원 api 들이 블로킹 api 들이 많기 때문에 Servlet 3.1 이상의 버전을 쓰더라도 Webflux만큼의 성능이 나오지 않는다고 구글링 하다보니 찾게 되었는데 이 정보가 정확한지 궁금합니다.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MVC 1편 다음에 들을 강의가 고민입니다.
복수 전공을 했고 졸업 후 1년 정도를 학교에서 안 배운 CS, 배운 CS 복습, 자바 문법 공부하는 데 시간을 많이 썼습니다. 김영한 님 스프링 강의를 전부 구매하였는데, 원래는 다 공부하고 취업할 예정이었지만, 이번에 멘토링을 받으면서 강의를 다 공부하고 취업하기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릴 것 같으니 핵심 원리 기본편 강의랑 김영한 님의 JPA 책을 공부하고, 클론 코딩을 해 본 후, 바로 취업부터 하라는 추천을 받았습니다. 일단 취업하고 공부하면서 이직하는 걸 추천하시더라고요. 김영한 님 나머지 강의는 취업 후에 공부하라는 조언을 받았습니다.조언대로 공부 기간이 너무 길어지는 게 원래도 걱정이긴 했지만, 그래도 저는 더 공부하고 싶은 마음도 있어서 멘토링 때 결정했던 내용보다 강의를 몇 개는 더 들으려고 합니다. 현재 무료 입문 강의는 다 들었고, 핵심 원리 기본편은 80퍼 정도 수강했습니다.앞으로 취업 전에 들으려고 생각 중인 김영한 님 강의는 우선 1. 핵심 원리 기본편 나머지 다 듣기2. HTTP 강의 듣기3. MVC 1편 듣기 이 정도 생각 중이고 JPA는 김영한 님 책으로 공부할 것 같습니다. 그 후에 다른 강사님의 클론 코딩 강의 들으면서 구현을 해 보고, 취업 후 나머지 김영한 님 강의를 들을 생각입니다.일단 위 3개 강의는 무조건 듣도록 계획 중이긴 한데 만약 강의 하나를 더 듣는다면 무엇을 들을지 고민입니다.로드맵 순서에 따르면 MVC 2편을 듣는 게 맞는 거 같은데, JPA 공부 전에 스프링 DB 접근 1편을 듣는 게 나은가 고민도 됩니다. MVC 2편을 듣고 싶은 이유는로드맵 순서에 따르면 MVC 2편을 들은 후에 DB 접근 1편을 들어야 하기 때문에, MVC 2편을 안 듣고 DB 접근 1편을 먼저 들으면 MVC 2편에서 설명하신 지식들이 나올 때 이해가 잘 안 될 수 있을 것 같기도 하고, 김영한 선생님도 DB 강의를 하실 때 수강생들이 MVC 2편을 들었다고 가정하고 수업하실 것 같아서 이왕이면 MVC 2편을 먼저 듣는 게 덜 찝찝할 것 같습니다. 반대로 DB 접근 1편을 듣고 싶은 이유는JPA가 DB랑 관련된 것이기 때문에 JPA 듣기 전에 DB 접근 강의을 들어야 좀 더 이해가 잘 될 것 같아서입니다. DB 접근을 들어야 JPA 강의 이해가 더 잘 되려나요..? 물론 제가 MVC 2편과 DB 접근 1편 강의를 둘 다 아직 안 들었기 때문에 강의 내용들을 잘은 모르겠습니다.학교 전공 수업으로 DB 이론은 조금 배우고 개인적으로 MySQL은 공부한 상태이긴 합니다. 정리하자면 핵심 원리 기본편, HTTP, MVC 1편을 수강한 후에 강의를 하나 더 듣는다면 MVC 2편과 DB 접근 1편 중 무엇을 듣는 게 나을지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위에 적었듯이 JPA 책은 읽을 것이고, 클론 코딩 강의를 들으며 구현력도 기르긴 할 것입니다. 물론 MVC 1편까지만 듣고 나머지는 그냥 취업 후에 들을 수도 있긴 합니다.. 정답이 정해진 문제는 아닌 것 같아서.. 고민 글을 올려도 되는지는 모르겠지만 일단 글을 써 봅니다. 감사합니다.
-
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갑자기 AA업무를 맡게되어서 허겁지겁 질렀습니다
삭제된 글입니다
-
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 가이드 강의 수강하고 프로젝트 진행 중 번외로 질문하고 싶은 것이 있어 문의남깁니다 !
제가 테스트 강의를 다 보고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도중에 막혔던 테스트 케이스가 있어 이렇게 문의드립니다. 바쁘시겠지만 혹시나 시간이 나신다면 한번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https://mingeonho1.tistory.com/entry/JUnit5-WithMockUser%EC%97%90%EC%84%9C-username%EC%9D%B4-%EC%9D%98%EB%8F%84%EB%8C%80%EB%A1%9C-%EC%9E%91%EB%8F%99-%EC%95%88-%ED%95%A8간단하게 궁금한점을 작성해봤습니다.- 블로그에 작성한 것처럼 외부로 분리해서 테스트한게 맞았을까요??- @WithMockUser에 대해 제가 정확하게 이해한게 맞을까요??- 틀리거나 부족한 내용은 없을까요??좋은 하루보내세요 감사합니다.
-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스프링 로드맵 질문
안녕하세요! 스프링 로드맵을 따라 학습하고 있는 수강생입니다.개인적으로 프로젝트 시작을 앞두고 있어서 로드맵을 전부 수강하고 싶지만 어려운 상황입니다.프로젝트 시작 전 반드시 수강해야 하는 부분이 있다면 어떤 우선순위로 수강하는 것이 좋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프로젝트는 프론트는 React를 사용한 웹 애플리케이션에, 머신러닝을 사용할 예정이며현재 Spring 입문, 기초, HTTP 수강 완료하고 MVC 1편을 수강중에 있습니다.
-
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 마지막 부분 preferences 찾으시는분(최근 intelliJ 설치한분?)
오른쪽 상단에 설정 톱니바퀴 누르시면 나옴. ㅎㅎ
-
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DDD하시는 분들 Repository 도메인에 두나요? 서비스에 두나요?
제가 도메인 서비스를 사용해서도메인 영역에서 모든 DB와 프레임워크 관련된 의존성,예를 들어 @Transaction 같은 어노테이션도 안 쓰고모두 레파지토리에 위임해서 하고 있습니다.근데 이럴 경우 Repository 명세나 계약을 서비스에 영역에 두면 또 도메인이 서비스를 참조해야되는 경우라일단은 도메인 영역에 내려서 진행 중에 있는데뭐 다른 방법 없을까요?첫번째로는 응용 서비스레이어에 두고도메인 서비스를 사용할 거면 도메인 객체만을 사용해서 로직을 돌리고 반환해서 응용서비스에서 다 처리해라두번째는 규모가 작다는 가정 하에 똑같은 Repository 인터페이스를 도메인, 응용 영역에 두고 쓴다밖에 방법이 안 떠오릅니다. 첫번째는 머리속에서 굴린거라 분명히 제약사항 엄청만을 것 같아서 힘들어보이고
-
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github 관련 질문
강사님의 강의를 듣기 시작한 학생입니다.제 개인 github에 강의에서 들은 내용을 정리하며 들을라 하는데,코드를 작성하신 것을 올려도 될까요?
-
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DDD 하시는 분들 질문드려요
작은 프로젝트에서 레파지토리가 그렇게 세분화 되어있지않고 까다롭지 않다는 가정 하에도메인 서비스가 꽤 자주 레파지토리를 호출합니다이때 응용 서비스 레파지토리랑 완전히 같은 인터페이스가 도메인 영역에 존재하는데 이럴 경우 어떻게 하나요?서비스영역에만 두면 서비스영역에 의존성이 생겨서 문제입니다프레임워크가 지원해주는 트랜잭션이나 락 같은 것도 제거해서 레파지토리 영역으로 넘겨줬는데 이게 문제네요,,1-1 응용서비스에서 최대한 처리후 도메인 객체로만 도메인 서비스를 사용한다 1-2 에라모르겠다 그냥 도메인 영역에도 비슷한 레파지토리 인터페이스를 만들어서 사용해라2. 테스트에서 도메인의 상태값을 테스트하는 경우가 있고 저는 도메인에서 터트릴 수 있는 로직은 도메인 클래스 객체 내부에서 다 터트리고 있습니다.도메인에서 만들어둔 테스트 케이스가,,응용서비스에서 또 똑같은 짓을 하고 있어서 이거 원래 도메인 영역 + 응용 서비스 영역 둘 다 같은 로직에 대해서 하는 게 맞는지예를들어 회원 상태를 BANANA로 바꾸는 도메인 로직을도메인 테스트에서 성공 실패 테스트를 하고응용 서비스에서도 순차로직 중에 또 BANANA 성공 실패 여부 테스트를 또하고 있습니다.이게 아니면 도메인 객체 내부에서만 하는 게 맞는지 질문드립니다.
-
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이해가 안되는데 그냥 다 들어도 될까요..
스프링에 대해서는 2년전에 학습하고 지금은 거의 백지상태입니다.입문부터 강의는 모두 구입하긴 했는데.. 내용이 사실 다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입문부터도 막히는데 이걸 그냥 아무것도 모른상태로 계속 듣고 따라해도 될까요..다른 입문 수업을 먼저 들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당연하게 진행하시면서 말씀하시는 내용인데 못알아들은 상태로 진행하니 답답하네요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