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강의 25% 할인 중 🤍

2024년 상반기를 돌아보고 하반기에도 함께 성장해요!
인프런이 준비한 25% 할인 받으러 가기 >>

  •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데브옵스 · 인프라

  • 해결 여부

    미해결

데이터베이스 질문입니다!

24.05.24 22:01 작성 24.05.24 22:02 수정 조회수 87

1

안녕하세요 데브위키님
강의 수강 중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제가 지식이 얕아 틀릴 확률이 매우 큰데
저의 생각이 맞았는지 틀렸다면 지적도 부탁드립니다!

 

클라우트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서의 MSA는 수평 확장이 용이하다고 PART5에서 이해했습니다.

 

만약 DB 서버를 늘려야 한다고 했을 때
현재 강의에서처럼 Postgre를 도커 볼륨을 사용하여 이중화 DB를 사용한다면
AWS에서 새로운 인스턴스를 만들어서 도커를 설치하고 컨테이너를 만들게 되면
기존 서버의 도커 볼륨에 있는 데이터를 알 수 없어 서버를 늘리기가 힘들다고 생각합니다.


당연히 방법이 있을 것 같은데
확장을 하게 된다면 어떤 방식으로 확장을 하게 되는 건지 질문드립니다!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0

SHYU님 안녕하세요. 데브위키입니다.

네 말씀해주신대로, 새로운 컨테이너가 다른 서버에 있는 경우 기존 도커 볼륨을 읽을 수 없습니다!

보통 컨테이너를 활용할 때는 쿠버네티스를 활용합니다.

쿠버네티스에서는 컨테이너가 사용할 수 있는 볼륨의 종류를 여러 가지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그 중 온라인 스토리지를 볼륨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하고 있어서, 서버가 다른 환경에서 컨테이너를 배포할 경우에도 온라인으로 연결된 볼륨을 참조해서 수평 확장을 할 수 있습니다.

 

다만 클라우드 환경에서 DB운영의 경우 경험 상 Aurora DB와 같이 관리형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케이스가 더 많은 것 같습니다.

 

강의 들으시면서 더 궁금하신 부분이 있으면 편하게 질문해주세요!

 

SHYU님의 프로필

SHYU

질문자

2024.05.27

그러면 AWS를 사용하면서 도커를 사용하면 필수적으로 쿠버네티스라는 기술을 사용해야하는 것인가요??

쿠버네티스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AWS 서버(인스턴스) 확장(추가) 시 데이터베이스를 확장하는 방법은 잘 사용하지 않거나 불가능 한 부분일까요?

네 말씀하시는 형태로 AWS서버에 도커만 설치해서 데이터베이스를 컨테이너로 운영하는 형태는 한 대로만 운영하는것이 일반적입니다. 보통은 개발/테스트 환경의 서버에서 많이 사용합니다.

 

말씀하시는 여러 서버에서 컨테이너를 운영해서 가용성을 높이시려는 것이 목적이시리면, 쿠버네티스를 사용하시는 것이 맞습니다!

SHYU님의 프로필

SHYU

질문자

2024.06.13

너무 늦었지만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