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rnetes] 실무에서 느껴본 쿠버네티스가 정말 편한 이유 #5

[kubernetes] 실무에서 느껴본 쿠버네티스가 정말 편한 이유 #5

해당 블로그는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 강의에 일부 내용입니다. 많은 관심 부탁 드려요!


 

저는 개발자로써 SI 프로젝트를 많이 했습니다. 그리고 제가 겪은 SI에 대해서 얘기 드리면..

일단 개발에만 몰두할 수 있는 시간은 별로 없어요. 제안서 쓰고, 업무 프로세스 분석하고, 단계별 문서를 만들고 상황에 따라 인프라 구축도 하고, DB부터 Web Front까지.. 프로젝트 오픈에 필요한 많은 걸 경험해 봤어요.

물론 이것도 하다 보면 익숙해지는 부분도 있지만 그래도 매번 SI프로젝트를 힘들게 만드는 요인이 뭐냐면

하나는 매번 다른 업무 프로세스에요. 고객사마다 업무 프로세스가 다르니까 매번 새 업무를 분석하느라 고생을 하게 되고요. 그리고 변화가 빠른 웹 기술이에요. 웹 분야는 발전 속도가 빠르고 신 기술이 많아서 프로젝트를 할 때마다 같은 기술로 웹 페이지를 만들어 본 적이 별로 없었던 것 같아요. 그래서 매번 새로운 기술을 공부해야 됐고. 마지막으로 다양한 기술 솔루션 적용인데, 모니터링이나 로깅, 암호와 같은 솔루션이 고객사마다 쓰는 제품들이 다르고요. 비용 절약 때문에 개발자가 직접 해야 되는 경우도 비일비재해요. 그래서 이것도 매번 새 솔루션을 적용하는 법을 익혀야 됐습니다.

더 많지만 이렇게 이번 프로젝트에서 고생을 해서 기술을 익혀도 다음 프로젝트는 또 고생을 하게 되더군요.

하지만, 개발자가 아닌 쿠버네티스 엔지니어로서 SI프로젝트는 할만 했습니다.

무엇보다 프로젝트가 반복될 수록 일은 더욱 쉬워졌는데, 이번 강의에서 [쿠버네티스 표준 생태계로 편해진 IT인프라 구축], [쿠버네티스 기능으로 편해진 서비스 안정화], [인프라 환경 관리의 코드화]를 주제로 그 이유를 자세히 설명 드려요.


쿠버네티스 표준 생태계로 편해진 IT인프라 구축


image

쿠버네티스가 나온 지 10 년도 안 됐는데, 현재 이렇게 많은 제품들이 쿠버네티스 생태계 위에서 돌아가요.

IT에 관련된 모든 회사가 쿠버네티스와 컨테이너에 진입을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인데, 이미 많은 회사들은 컨테이너가 미래에 인프라가 될 거라는 걸 예상했고 너도나도 이 시장의 넘버원이 되려고 뛰어 들었어요. 그 결과 정말 짧은 시간만에 쿠버네티스 기반의 IT 생태계가 이렇게 폭발적으로 커졌습니다.

여러분 지금 기업에서 대부분 자바로 개발을 하잖아요. 자바가 95년도에 처음 만들어졌고 10년 뒤에 이걸로 스프링이 나왔어요. 그리고 또 5년이 지나서야 확산이 되기 시작한 건데, 그에 비해 쿠버네티스는 정말 이례적이라고 할 수가 있죠.

근데 이 그림을 보면, 아 이제 늦었나? 쿠버네티스를 하려면 이렇게 많이 알아야 돼? 라고 오해를 할 수가 있을 것 같아요. 뭔가 많아 보일 순 있는데 점점 제가 단순화를 시킬 거니까 걱정 마시고요.


image

CNCF에서 이 클라우드 생태계를 영역별로 카테고리화 시켰는데,

[개발]은 기존부터 해왔던 App 개발에서 배포까지 써야되는 기술들 이고요. [오케스트레이션 / 매니징]은 이 App을 마이크로 서비스로 만들 때 쓰면 좋은 기술들이에요. 그리고 [플랫폼과 런타임]은 이 App을 클라우드로 올릴 때 주로 사용되는 기술들이 많고요. 그리고 [프로비저닝이랑 분석]은 실제 프로젝트에서 써야 되는 기술들이 있어요.

만약에 프로젝트에서 App을 마이크로 서비스로 개발하고 클라우드까지 올린다면 여기 있는 카테고리를 다 알아야 되고 근데 요즘은 이런 프로젝트가 대부분이죠 :)

그나마 불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은 그리고 밑에 [스페셜]은 쿠버네티스 관련 업체들이랑 교육 파트너고요. [서비스]랑 분석 쪽에 [카오스 엔지니어링]이랑 [최적화]부분은 메인 영역은 아니라서 과감히 빼버리겠습니다.

 

그리고 전체 그림을 다시 보면..

image

아까보단 좀 나아진 거 같나요?

이미지들이 살짝 눈에 보이는 거 같기도 하고요. 그래도 아직 쿠버네티스를 하기 싫어지는 그림이에요. 여기서 이제 디테일하게 줄여나가 보겠습니다.

 

image

CNCF에 기여된 프로젝트는 성숙도에 따라서 이렇게 4가지 종류가 있는데, Sandbox는 아직 실험 단계라서 우리가 안 쓰게 될 확률이 커요. 그리고 그 밑에 Archived는 프로젝트가 비활성화 된 거에요. 그래서 더 이상 기술 지원이 없는 프로젝트니까 이 두 가지를 빼고요.

CNCF에서 성숙도가 높다고 우리가 많이 쓰고 있는 건 아니거든요. 그래서 Graduated지만  Github에 Stars 수가 낮은 건 제외를 하고 Incubating 이지만 Stars 수가 높은 건 포함해서 보면..


image

이정도가 있네요.

 

그리고 CNCF에 기여된 프로젝트 외에 CNCF 멤버비멤버 제품들도 있어요.

 

image

멤버와 비멤버의 차이는 CNCF에 회비를 내면서 제품 홍보나 등급별로 혜택을 받을 수 있나없나의 차이일뿐이고, 그래서 비멤버라도 표준 생태계에 영향력 있는 제품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CNCF 멤버/비멤버 제품들 중 Github에 Stars 수가 높은 걸 골라보면..

 

image

이 정도로 정리가 돼요.

 

image

이제 이렇게 추린 내용을 다시 이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참고로 제가 짬으로 몇 개 추가/삭제한 것도 있어요.

image

  • CNCF landscape 중 선별 기준

    CNCF 프로젝트 : Graduated Projects (Github Stars 낮음 제외), Incubating Projects (Github Stars 높음 추가), Sandbox Projects (X), Archived Projects (X)

    CNCF 멤버/비멤버 제품 : 깃허브 Stars 높음 추가, 일프로 임의 추가

  • 참고 링크 : CNCF (link), CNCF landscape (link)

     

이제 좀 그림이 보이기도 하고, 안구 정화가 되죠?

눈에 잡히는 IT생태계를 보여 드리려고 이렇게 정리를 해 봤는데, 사실 CNCF를 졸업했고 멤버가 어떻고는 중요하지 않아요. 그리고 제가 이 정리된 그림을 먼저 보여 드려도 되는데 이런 선별 과정까지 보여 드린 이유가 있습니다.

이 오픈 소스들을 공부하게 될 때 이것만 잘 깊이 있게 보면 좋은데 갑자기 누가 요즘 뭐가 좋다더라 이런 얘기를 하면 자기가 모르는 게 있으면 괜히 그게 커보이고 해야될 것 같은 기분이 들죠? 그래서 지금 공부에 집중력이 떨어질 수가 있어요. 그렇기 때문에 여기 이 제품들은 정말 많은 오픈 소스들 중에 대표이고 일단 처음엔 여기에만 집중해도 충분하다는 것을 보여 드리려고 이렇게 선별과정을 보여 드린거에요.

물론 이것도 적지않죠?

그리고 강의 영상 마지막에 쿠버네티스 엔지니어가 되려면 이 많은 내용들을 어떻게 공부해야 되는지 이 그림으로 설명드릴께요.

  

 

쿠버네티스 기능으로 편해진 서비스 안정화


 image

강의에서는 쿠버네티스가 편한 이유 중 두 번째로 기존 VM 환경과 쿠버네티스 환경의 차이를 얘기드려요. 기존 환경에서 여러 담당자들이 수동으로 설정해야 했던 일들을 쿠버네티스 환경에서는 쿠버네티스 엔지니어 한명이 한번에 할 수 있게 되거든요.

 

 

모니터링 설치


image

이젠 모니터링 설치하는 방법도 너무 쉽죠?

  • 카페 설치 링크 (link)

  • 참고 링크 : grafana docs (link) / dashboard (link), prometheus install (link) / docs (link), loki-stack install (link) / docs (link)

기능 실습


image

그리고 강의영상에서 쿠버네티스 대표 기능들을 실습해 봅니다.

  • 카페 실습 링크 (link)

인프라 환경 관리의 코드화


image

마지막으로 쿠버네티스 관리 환경의 코드화인데, 인프라 설정을 수동으로 하는 거랑 파드에 인프라 설정이 코드로 들어가서 자동으로 되는 건 엄청난 차이고요. 이 차이가 인프라 환경 관리를 정말 편하게 해줍니다.

  • 쿠버네티스, 인프라 환경 관리의 장점

  1. 인프라에 대한 History 관리가 편해짐

  2. 인프라 작업 추적 가능

  3. 인프라 환경별 파일 생성 (시간 있을 때 미리 구성 가능, 작업은 Copy & Paste)

  4. 인프라 반복 작업 x, 퀄리티 향상에 집중

  5. 새 인프라 작업시 이전 경험을 녹인 코드 활용

블로그는 여기까지고 강의가 오픈 되면 링크 걸어 놓을게요^^

굿나잇!

 


ps. 매너가 좋아요를 만든다 :)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