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평 164,807개, 만족도 96.8%

🔥실시간으로 올라오는 진짜 수강평!🔥


Part1과 Part2를 함께 구매했습니다. 실무자로써 현재 회사에 도입할 기술력을 모색 중 nest와 next 프레임워크를 사용한 기술이 필요하여 도입하려 합니다. 강의를 통하여 여러 기술들을 알게되고 접목시키고 있습니다. 흐름도 좋고,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들이나 어떻게든 되는 프로젝트가 아니라, 효율적으로 개발/관리/운영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구성 이라고 생각하여 강의는 만점 중 백만점 입니다. 좋은 강의에 감사드립니다. 근데 선생님... 선생님이 알고 계시는 것을 저희 수강생들은 모르기 때문에 배우고싶기에 강의를 듣고 있지요... 이 강의는 초급이 아니옵니다... 수강하시는 대부분은 아마 공식문서를 보아도 "도대체 내가 뭘 봐야 하나?" 라는 생각을 해요.. 잘 모르니까요...ㅎ 갑자기 "이 부분이 이 부분을 대체하니까 지우겠습니다." 라는 말씀을 하시면 수강생 대부분은 이 부분과 이 부분이 도대체 뭔지를 한참 생각해야 하고, 찾아내는 것에 굉장히 힘듬을 느끼게 되는 거 같아요.. 선생님의 강의가 좋습니다. 제가 필요로 하는 것, 제가 원하는 것들을 전부 구성해주고 계세요. 조.. 조금만, 아주 조금만요. 아직 혼자 숨쉬는 것도 잘 못하는 "못난 감자"들이 수강하고 있다고 생각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강의 정말 잘 들었습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다른분들도 참고하셨으면 좋을법한 부분을 한번 정리해 보면 이런 부분에서 저는 도움이 되었습니다. 장점 1. 진짜 현실적입니다. 실제로 다루시는 형태도 잘 사용안한다면 사용 안한다고 직접 언급하시지만, 알아두면 좋지 않을까 해서 다룬다는 말을 많이 하십니다. 그래서 정말 잘하는 개발자가 현실적인 부분과 비현실적인 부분을 나누어서 모두 알려주려고 노력하신게 보인다고 생각합니다. 2. 내용 자체가 정말 유익하다고 생각합니다. 일반적이고 단순한 CRUD부터 MySQL을 통해 할 수 있는 다양한 아키텍처 관점에 대한 설명까지 그냥 단순하게 DB에 국한된 내용이 아니라 개발 자체에 대한 풍부한 내용이 담겨 있다고 생각합니다. 3. 어디서도 들어보지 못한 주제들인거 같습니다. MySQL이나 DB에 대한 강의가 대부분이 그냥 쿼리 어떻게 작성하는지 함수 뭐가 있는지에 국한이 되어 있는데, 이 강의는 프로시저도 사용해보시고 어떻게 DB를 사용해야 하는지 그 본질적인 주제에 대해서 잘 설명해주시는거 같습니다. 근데 장점만큼 솔직히 단점도 어느정도 느껴지는 강의라고 생각합니다. 1. 난이도가 쉬운 편은 아닌거 같습니다. 아마 개발을 처음하시는 분들이 들으시면 기본적인 지식이 부족하여 듣기 어려우실수도 있을꺼 같습니다. 2. 설명이 그렇게까지 풍부하고 친절하지는 않습니다. 정말 다양한 주제에 대해서 설명해주시지만, 그만큼 설명이 풍부하지는 않습니다. 쉽게 설명드리자면 사수가 개발을 정말 잘하는데 사수 입장에서는 이건 당연한거라서 그냥 넘어가는 느낌이 어느정도 있습니다. 결론 : 근데 이런것들을 전부 제외하고도 정말 좋은 강의인거 같습니다. 실제로 자신이 공부할 의지가 있다고 많은 부분을 배우고 싶다면 이 강의가 적합할꺼 같네요. 반대로 기본적인 것만 배워도 상관없도 떠먹여주기를 원한다면 이 강의가 큰 도움이 되지는 않을꺼 같습니다. 제 입장에서는 MySQL 뿐만 아니라 그 활용처에 대해서도 고민해야 하는지, 아키텍처 관점에서 학습도 할 수 있다는 부분에서 정말 만족스러운 가의이였습니다. 너무 인상깊게 보아서 처음으로 이렇게 글 남겨보네요.

면접을 앞두고 선택한 강의인데, 최고의 선택이었습니다 🌟 실제 면접 해설까지 제공해주셔서 어떻게 답변하면 좋을지.. 감이 오는 것 같아요! 몇번이고 다시 돌려보면서 제 포트폴리오에서 어떻게 적용하면 좋을지 생각해보겠습니다 ✅ 이런 강의 만들어주셔서 정말 감사드려요!!

1과목은 강의내용이 구조화되면 좋을 것 같아요. 분석 프로세스와 분석절차는 한글이냐 영어냐의 차이같은데 설명이 다르고 그런 부분들이 여러곳이어서 수강생으로서는 좀 헷갈리네요. 그래도 뒤에 정리해주시는 강사님들 덕분에 이해가 좀 되었구요, 2과목 강사님 설명 좋습니다.

처음에 환경설정 세팅이 조금 어려웠는데, 구글링으로 찾아내서 해결하었고, 근래에 Docker를 이용한 기업이 많아졌다고 했는데 좋은 것 같습니다. 하나하나 직접 해보고 실험도 해보면서 SQLD 취득했습니다. 감사합니다.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