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BHPT - 호스트 기반 모의해킹 기초
네트워킹 프로젝트 관련해서 따라할 수 있게 만들어 두신 강의가 있을까요?
모든 질문은 레드라쿤 디스코드 서버의 BHPT 질문게시판에 해주세요 실습 관련 내용이 아니여서 디스코드에 질문을 드려야하는지를 모르겠어서 일단 여기에 올립니다. 추가 필수 개념과 관련해서 네트워킹 프로젝트내용 중에 따라할 수 있게 만들어 두신 강의가 있을까요?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실전문제풀이 Q-18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18번 문제에서 주어진 IP가 10.100.100.0/0,10.100.100.0/1,10.100.100.0/2,10.100.100.0/3,10.100.100.0/255로 주어지는 경우에는 AWS에서 예약한 IP주소이기 때문에 종료가 불가능하다는 것이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 
      
        
    해결됨[게임 프로그래머 입문 올인원] C++ & 자료구조/알고리즘 & STL & 게임 수학 & Windows API & 게임 서버
22강에서 구조체와 포인터로 설명해주셨는데 패딩의 경우는 어떻게 되나요?
StatInfo 라는 구조체를 활용해서 포인터 연산을 설명해주셨는데, 만약 구조체 생성부분에서 바이트 패딩을 주는 경우엔 포인터 연산 처리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웹 개발의 핵심, HTTP 완벽 마스터하기!
실무에서 웹개발자가 명시적으로 선언하는 보안 정책의 범위 및 보안 정책 설정 위임 라이브러리
실무 환경에서는 웹 개발자들이 이런 브라우저 보안 정책들(CSP, CORS, SRI, 쿠키 속성, Referrer-Policy 등)을어느 정도 수준까지 직접 명시적으로 선언하고 관리하는지가 궁금합니다.예를 들어,어떤 정책들은 코드나 미들웨어에서 직접 작성하고,어떤 정책들은 서버나 CDN 레벨에서 일괄 설정되는지그 구분의 현실적 기준이 있다면 듣고 싶습니다.또한 이런 보안 헤더들을 설정할 때 자주 사용하는 라이브러리나 프레임워크 추천도 부탁드립니다.(예: Express helmet, Next.js next-safe, Nginx 보안 헤더 설정 등)
 - 
      
        
    미해결웹 개발의 핵심, HTTP 완벽 마스터하기!
브라우저 내부 보안 정책 스코프에 대한 질문
CSP, CORS, SRI, 쿠키 속성, Referrer-Policy 같은 HTTP 기반 보안정책들은서버가 응답 헤더로 내려주면 브라우저의 내부 policy layer에서 관리된다고 알고 있습니다.그런데 이때 브라우저가 이런 보안 정책들을 저장하고 적용하는 단위가Origin 단위(정확히 scheme + host + port)로 관리되는지,아니면 Site 단위(예: eTLD+1 기반, 쿠키 격리처럼 더 넓은 범위) 로 관리되는지도 궁금합니다.즉, 브라우저의 보안 정책(policy layer)은 어떤 기준 단위로 정책을 식별·적용하며,개발자가 설정한 CSP나 CORS 같은 정책들이 브라우저 내부에서어떤 스코프로 캐싱·격리되어 동작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강의 외 개발자 진로 관련 질문입니다!
AI 개발에 맞춰 LLM의 기초라도 학습하는 것이 좋을까요?아니면 서버 운영과 자동화 같은 백엔드 역량을 더 깊게 다지는 게 좋을까요?현재 강의는 DevOps에 대해 설명하셨는데 LLMOps와 같은 기술은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절대강좌 유니티6 - 네트워크 게임 개발 마스터클래스 (Part3) : Netcode로 개발하는 2D RPG
여기에 쓰인 기술이 적합할지 궁금하네요.
강사님의 다른 강좌들을 보니 네트워크 게임쪽에 상당한 경험이 있으신거 같아 조언을 구하고자 합니다. 현재 네트워크 대전 디펜스 게임을 만들고 있는데, 로비가 별도로 있고 여기서 대전신청을 하면 조건에 맞는 유저를 찾아서 1:1로 방 생성해서 대전을 하는 구조입니다.실제 인게임 내에서는 미니언들이 양쪽 모두 공평하게 생성되는 상황이고 내 크리처도 내보내고 타워도 지으면서 적의 미니언들을 막아내고 적의 본성을 부수면 이기는 게임을 작업 중에 있습니다. 한 화면으로 구성되며 한 화면에 최대한 등장하는 적들은 양쪽 합쳐서 30~60마리정도가 있을 수도 있을거 같습니다. 평균 10마리 내외일거 같구요.사실 기존에 순수 C#서버에 gRPC 프로토콜로만 작동하던 게임이 있었는데 좀 옛날거라 요즘 기술로 다시 만들고 있습니다. 서론이 좀 길었는데 질문은 이것입니다. 위 상황으로 짐작해 봤을 때 Netcode for GameObjects 방식으로 작업이 가능할까요? 아니면 다른 솔루션을 이용해야 할까요? (포톤, Netfish, Netcode for Entitiese등) 솔직히 로비나 로그인 처리등은 기술적으로 크게 부담은 없는데 인게임내에서 다량의 적이 싸울때 싱크로 문제가 있을거 같아 걱정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자원 정리시 에러가 발생 했을 때 메모리 상황 및 실무에서 로그 확인 방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자원정리에 대한 강의를 듣던 와중에 OS단의 메모리 상황과 실무에서 처리 방법이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질문 내용]강의 내용 자원 정리를 하다가 나는 에러 (CloseException) 등에 대해선 try-catch로 잡은 뒤, log만 남긴 뒤 무시하고 있음 궁금한 점 자원 정리를 하다가 에러가 나면 자원이 정리가 안된 채로 메모리에 남아있을 것 같습니다. 이를 추후 로그를 확인하고 일괄 수동 정리 처리를 하는지, 아니면 보통 자원마다 동작 타임 같은 게 설정되어 있어서 자동으로 정리되기 때문에 신경쓰지 않고 넘어가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첫번째 질문에서 추후 로그를 확인하고 일괄 수동 정리 처리를 하는게 맞다면, 자원정리 도중 뜬 에러 관련한 것만 로그에서 추출해서 확인한다던지 어떤 방식으로 로그에서 필요한 내용만을 효율적으로 확인해서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참고로 이전에 김영한님 강의에서 Logger를 AOP를 이용해 남겨 양식을 통일화 시키고 레벨을 통해 효율적으로 확인하는 방법은 확인하였습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컬렉션의 개념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HTTP 메서드 활용 파트에서 URI 설계 개념을 알려주셨는데 컬렉션의 경우서버가 리소스의 URI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리소스 디렉터리로 나와 있는데 구체적인 예시가 어떻게 될까요?데이터베이스 안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내용들을 말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단편화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강의 14: 05 쯤에 "단편화를 하지 않기 위해 송신 측에서 MTU 를 하향 평준화하여 packet 전송" 이라는 강의 내용이 이해가 안돼서 질문 남깁니다.송신측에서 router 중간에 MTU 가 가장 작은 값이 무엇일지 어떻게 알고 1500 -> 1400 으로 줄일 수 있는 걸까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네트워크 공부에 추천하실만한 책이 있으신가요?
안녕하세요. 선생님비전공자 출신으로서 이보다 더 핵심만 잡아서 쉽게 정리해주는 강의는 없다고 생각해서, 시간 가는줄 모르고 들었습니다. 혹시 운영체제 강의하실 때는 한빛미디어의 소위 말하는 '곰책'을 추천해주셨고, 그래도 4년정도 경력이 되어서인진 몰라도 주워들은게 있어서인지, 시스템 작동 방식이나 패턴 등이 다른 공부하면서 봤던거랑 비슷한 면이 있어서 거의 다 읽었습니다. 그래도 공룡이보다는 쉬워서 참 유익하더라고요. 그래서 네트워크 쪽 관련해서도 곰책처럼 추천해주실만한 좋은 책이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PS. 혹시 후반의 웹서비스 관련 강의는 '모든 웹 개발자가 봐야 할 단 한 장의 지도' 이거랑 아예 같은 구성에 같은 내용인가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예전에 있었던 수동 IP 할당 경험에 대한 질문
이전에 다니던 학교에서 디바이스를 나눠주면서 동시에 ip 주소도 기기마다 수동으로 설정하게 하면서 표로 이름과 IP주소, 게이트워이, dns, 서브넷마스크를 나눠줬던 기억이 있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이그때 학교에는 DHCP 서버가 없어서 학생들에게 ip 주소를 나눠줬던 걸까요? 실제로 인터넷이 그때 불안정해서 직접 설정을 하지 않으면 인터넷이 안됐었습니다 (몇 달 후에 자동으로 다시 해보니 그때는 잘 됐었습니다) 아니면 여러 명의 사람들이 DHCP 요청을 날리면 네트워크가 다운될 수 있어서 그랬던 걸까요?그때 학교는 왜 그랬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실전 문제풀이 10-9
강사님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10-9 문제가 이해가 안되서 질문드립니다... 해당 문제에서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보관해야 한다'에 대한 요구사항은 없는걸로 보이는데, A가 좀더 정답에 가깝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ttl 관련 질문
제가 보내는 Packet의 목적지가 적어도 설정했던 ttl보다 많은 수의 라우터를 지나야 도착할 수 있다고 하면, 도착지에 있는 Pc와는 절대 통신이 불가능 한건가요?아니면 pc가 ttl 값을 알아서 높여서 재전송을 해주나요?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실전문제7-29
https://docs.aws.amazon.com/fsx/latest/LustreGuide/mounting-ecs.html "Mounting FSx for Lustre on an AWS Fargate launch type isn't supported." 라고 나와있는데, 기술적으로 불가능 하다면 그나마 나은 C의 EFS를 선택하는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CloudNet@ - Amazon EKS 기본 강의
fluentbit 관련 node 의 기본 로그 질문
for log in dmesg secure messages; \do \echo ">>>>> Node1: /var/log/$log <<<<<"; \ssh ec2-user@$N1 sudo tail /var/log/$log; \echo; done노드 1에 dmesg, secure, messages 로그 확인하는명령어가 이렇게 나와서 확인해보니 로 되어있네요 즉 노드 로그가 있는 경로 중에/var/log/dmesg 만 있고/var/log/secure,messages 가 존재 하지 않는 상황인데 심지어 그나마 있는 경로인/var/log/dmesg 안에도 로그가 없기에 fluentbit 도 클라우드 와치로 로그를 안보내는 모습입니다실제로도 확인해보니 역시나 로그그룹도 host 태그는 만들어 지지 않는 모습입니다 . ...........결론적으로 fluentbit는 여전히 기본값으로 해당 경로에서 로그 가져와서 보내는걸 처리하고있는데정작 ec2는 버전 문제인지 더 이상 지원 하지 않는지는 모르겠는데 해당 경로를 기본값으로 사용하지않네요 원할한 실습을 위해 확인 부탁드립니다 .
 - 
      
        
    미해결웹 개발의 핵심, HTTP 완벽 마스터하기!
ETag 사용시 서버의 성능 향상
서버에서는 캐싱의 유무와 상관없이 매번 리소스에 대해 digest 를 하게 되는것 같은데요.그러면, 브라우저가 리소스를 캐싱한다고 해서 '서버성능에 도움이 되기보다는 네트워크 대역폭을 아낄수 있다' 정도의 이점이 있다고 보면 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인텔리제이에서 네모(스탑버튼) 누르는 것의 의미
.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네트워크
SSH 인증방식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SSH 강의 내용을 정리해보면Private Key는 복호화에 사용Public Key는 암호화에 사용1. Client가 서버에 SSH접속 시도2.서버에서 랜덤한 문자열을 Public Key를 이용해 암호화, Client에게 전송3.Client가 Private Key를 이용하여 전달 받은 암호화 메시지를 복호화, 복호화된 문자열을 서버로 전송4.서버에서 암호화하기 전 문자열과 전달 받은 복호화 된 문자열이 일치하면 인증 완료제가 알고 있기로는1.클라이언트가 서버에 접속 시도2.서버에서 랜덤 문자열(평문)을 클라이언트에게 보냄.3.클라이언트에서 서버로부터 전달 받은 랜덤 문자열을 Private Key를 이용하여 특수한 수학적 연산을 적용(Private Key로 서명, 암호화) 후 서버에 전송4.서버에서 클라이언트에게 전달 받은 전자 서명을 Public Key를 이용하여 검증(복호화)검증 내용이 자신이 최초에 보낸 랜덤 문자열과 일치하면 접속허용이렇게 알고 있는데.. 두 방식이 다른 방식인가요?
 - 
      
        
    미해결AWS Certified Cloud Practitioner 자격증 준비하기
[문의] 수강 기간 연장 문의
안녕하세요. 혹시 수강 기간 연장 가능할까요?연장해주시면 이번에는 꼭 기한 내 완강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