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Dasom Yi님의 프로필 이미지
Dasom Yi

작성한 질문수

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3 (#실무핵심 #Docker #Nginx #Minio #Longhorn)

worker node에 대해서

작성

·

28

·

수정됨

1

안녕하세요 강사님.

저는 sprint 1,2를 수강했고 3을 수강 중에 쿠버네티스 관련 서적을 발견해 읽어보며 공부하고 있습니다.

  1. worker-node 는 중요하지 않나요 ?

    1. kubelet는 pod spec을 받아서 cri로 컨테이너 실행을 담당한다, 스케줄링 관리한다, 로 이해했는데 아직까진 워커 노드에 대한 개념이 없어서, 실무에서는 깊게 파고 들어야 사용하는 것이다 (굳이 안써도 되지만 쓰면 더 효율적이다?) 인 것일까요??

    2. sprint 4나 대세는 쿠버네티스를 봐야 이해가 될까요? 블로그에 https://cafe.naver.com/kubeops/496 이부분이 있길래 문의드립니다 !

  2. gke관련

    1. 저는 클라우드 경험 없는, 온프레미스 경력만 있는 웹 개발자입니다. 그러다 보니 이해를 못했는 이슈인 것 같은데, 구인 사이트를 보면 종종 devops를 클라우드 + 온프레미스를 같이 진행하는 공고를 많이 봤습니다. 그런 경우에는 데이터를 어떻게 관리를 할까요? 온프레미스같은 경우에는 pv로 진행을 하면 되지만, 클라우드는 자체 pvc가 있어서 같은 폴더에서 관리하면 수기로 작성한 pvc파일이 먹혀서 작동하지 않더라고요 . (같은 곳에서 관리를 하니, 온프레미스에서 셋팅한 pvc를 자꾸 무시합니다.) 그리고 volum을 공유하지 못한다고 알고 있는데 데이터는 어떻게 관리할까요 ?? (업무적인 것이 아니라 개인 공부중입니다 ..)

       

 

[👍좋은 질문을 했을 때 좋은 답변이 돌아 옵니다]

1. 실습 중 본인의 환경이 가이드와 다른 부분이 있었다면 말씀해주세요.

2. 해당 문제의 발생 빈도(재설치 여부)와 문제 해결을 위해 시도해본 케이스를 말씀해 주시면 원인 파악에 큰 도움이 됩니다.

3. 에러 메시지만 봐서는 저도 모르는 경우가 많아요. 그전에 했던 작업이 포함된 캡쳐 화면도 부탁 드려요.

4. 영상 내용에 대한 질문 시 해당 시간을 같이 올려 주시면 답변을 드리는 시간이 더 빨라집니다.

5. 긴 로그는 제 메일로 보내주세요. (k8s.1pro@gmail.com)

6. 카페 [강의 자료실]에도 많은 질문과 답변들이 있어요!

답변 2

0

일프로님의 프로필 이미지
일프로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1. worker-node 는 중요하지 않나요 ?


    - > Sprint1에서 [Component 동작으로 이해하기] 수업을 다시 한번 들어보시기 권해 드릴께요. 워커노드는 실제 Application Pod들을 띄우기 위한 중요한 노드고요. 제 강의에서는 자원 사용량을 줄이기 위해서 Master 노드에 모두 때려 넣은 겁니다. Master Node에는 쿠버네티스 주요 컴포넌트들을 띄우는 노드이고, Worker 노드는 사용자 Application을 띄우는 노드예요. Sprint4부터 워커노드를 사용하긴 하지만, 워커노드의 개념은 Sprint1/2의 내용으로도 충분하긴 합니다.

  2. gke관련
    -> Volume에 대한 부분은 Sprint3 [Volume의 개념만 잘 이해하면 쉬운 PV, PVC 기능들]에서 집중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해당 섹션의 수업들을 들어보시면 질문한 내용들이 어느정도 이해될 수 있어요. 이후 추가적인 질문이 있으면 또 올려주시고요.

Dasom Yi님의 프로필 이미지
Dasom Yi
질문자

넵 ! 감사합니다 ! 책과 병행하며 회독하니 더 이해가 잘되네요 !!!

혹시 정말 실례가 되지 않는다면, docker pull openjdk:17 이렇게 되시나요 ?

며칠 전까지 제가 intellij에서 강의를 들으며 docker pull 했었는데, 오늘은

error response from daemon: manifest for openjdk:17 not found: 

이런 에러 메시지를 확인했습니다. 그래서 공식홈페이지(https://hub.docker.com/_/openjdk?uuid=777D2533-2098-4078-80E4-85491E820A3A)도 찾아봤지만 찾지 못했습니다.

저는 https://hub.docker.com/_/openjdk/tags?page=399 여기에서 copy 해서 진행하고 있었고, 이 후 정상적으로 작동 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제 os 는 m1 입니다. 왜 저렇게 했을 때 작동하지 않을까요?)

일프로님의 프로필 이미지
일프로
지식공유자

저도 이제 알았네요. docker pull openjdk:17가 Deprecated 됐습니다 ㅠ

docker pull openjdk:17.0.2를 사용하시면 되고요. 좀 전에 테스트도 완료했어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Dasom Yi님.

질문해 주신 워커 노드와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데이터 관리에 대한 부분에 대해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워커 노드의 중요성:

    • 워크 노드의 역할: 워커 노드는 실제로 컨테이너가 실행되는 공간이며, 쿠버네티스 클러스터의 운영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쿠버네티스의 구조에서 마스터 노드는 클러스터를 제어하는 역할을 하고, 워커 노드는 그 지시를 받아 실제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곳이 됩니다.
    • kubelet: 쿠버네티스에서 각 워커 노드는 kubelet이라는 에이전트를 통해 마스터 노드에서 받은 Pod 사양에 따라 컨테이너를 실행합니다. kubelet은 컨테이너의 라이프사이클을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2. 클라우드와 온프레미스 데이터 관리:

    • 데이터 관리의 차이점: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 환경에서는 데이터 관리를 위한 접근 방식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클라우드 서비스는 PVC(영구 볼륨 클레임)와 같은 메커니즘을 제공하여 스토리지 리소스를 관리합니다.
    • VPC 사용: 클라우드 환경에서 PVC를 사용할 때, 같은 리소스를 공유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나 자원에 맞춰 별도로 생성되고 관리되어야 합니다. 클라우드 플랫폼의 특성상 온프레미스와 동일한 구조를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클라우드 특정 서비스를 활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전에 유사한 질문이 이미 답변된 내용이 있어 관련 도움을 드릴 수 있는 링크를 추천드립니다:

위 정보를 통해 워커 노드의 역할과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데이터 관리에 대한 이해를 도움 받으실 수 있기를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Dasom Yi님의 프로필 이미지
Dasom Yi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