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업데이트] UX/UI 시작하기 : Figma 입문 (Inflearn Original)강의 썸네일](https://cdn.inflearn.com/public/courses/332714/cover/325726bf-0b00-4e09-8b39-519824910a9d/332714.jpg?w=420)
[2024 업데이트] UX/UI 시작하기 : Figma 입문 (Inflearn Original)
인프런
전세계 가장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는 협업 툴 피그마를 배워보세요! UI 디자인 스케치, 프로토타이핑 및 협업을 위한 디자인 도구 Figma(피그마)의 기본적인 사용법과 실무 활용법에 대해 학습해 봅니다.
입문
Figma, UX 기획, 프로토타이핑
You can watch the opening and presentation sessions of Infecon 2024, a festival for growing IT professionals, again in video.
Sharing the vision, achievements, and future plans of the Inflearn service
Advice and experience sharing on growth challenges faced by developers, PM/PO, and product designers
Sharing examples of AI applied in practice
Who is this course right for?
If you are curious about the cases where various developers, PM/POs, and product designers work
Those who want to develop both technical capabilities and business understanding
Those interested in project management and team collaboration
Those interested in self-branding and content creation
700,160
Learners
5,913
Reviews
118
Answers
4.7
Rating
130
Courses
배움의 기회는 경제적, 물리적 한계에서 자유로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성장기회의 평등을 추구합니다.
All
49 lectures ∙ (29hr 13min)
Course Materials:
All
40 reviews
4.9
40 reviews
Reviews 2
∙
Average Rating 5.0
5
우선 토비님의 세션 정말 잘 들었습니다. 강의를 보면서 클린코드 뿐만 아니라, 제 인생에 대해서도 한번 살펴본 거 같습니다. 우선 19년도 때 클린코드 라는 책이 유행했고, 채용 공고에도 클린코드에 대한 내용이 적혀있었던 걸로 기억합니다. 저도 그때 클린코드를 읽었고. 맹목적으로 추종을 했었습니다. 주석을 적는 행위는 내 코드가 클린한 게 아니다! 라는 생각까지 했었습니다. 하지만 지금 생각해 보면 한 번에 완벽한(클린한) 코드를 작성하는 거는 현재의 나로서도 되게 어려운 것 같습니다. 그리고 클린코드에 나온 내용을 맹목적으로 100% 추종하는 것이 맞을까? 라는 생각도 들게 된 것 같습니다. 클린코드 책을 읽어서 그것을 다 외우는 것. 그것이 정말 클린코드 일까? 그러면 그 책에서 나오지 않는 예제. 그러한 케이스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이런 생각이 드는 거 같습니다. 결국 지금 다시 드는 생각은 유지 보수하기 좋은. 누구나(팀원들) 읽기 좋은. 그런 게 클린코드가 아닐까? 라는 생각까지 하는 거 같습니다. 어떻게 보면 나에게는 완벽하지는 않지만, 팀 수준에 맞게 잘 읽히는 코드도 클린코드 아닐까? 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또 어떻게 클린한 코드를 지속적으로 가지고 갈 수 있을지 고민인 거 같아요. 유지보수를 하면서 새로운 코드가 들어오게 되고, 그러면 그 들어온 코드가 클린코드라는 것을 망치게 되는 것일 텐데. 그 망가진 클린코드를 다시 클린코드로 바꾸려면 리팩터링의 시간을 갖게 될 것이고, 테스트코드가 필요로 하게 되는 것을 한 번 더 느꼈습니다. 그리고 강의 내용 중 "함께 코드를 작성하고, 읽고, 변경할 동료 개발자들에게 친절한 코드" 라는 내용을 보고선. 클린코드 또한 팀의 문화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 마지막으로, 토비님이 말씀하신것 처럼 혼자서 너무 많은 짐을 떠안고 고민하고. 나는 부족해서 이런 말을 나는 달고 살지 않았는가? 하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같이 팀원들과 고민하고 이야기하면 혼자 고통받는 시간이 사라질뿐더러 팀원들도 다 같이 성장하지 않았을까? 라는 회고를 했습니다. 그리고 나는 정말 다른 사람들에게 친절했는가?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나를 이해 못 해준다고 너무 불친절하지 않았는가? 하면서 스스로를 다시 돌아보게 된 시간이었습니다.
Reviews 46
∙
Average Rating 5.0
Reviews 8
∙
Average Rating 5.0
Reviews 22
∙
Average Rating 5.0
Reviews 1
∙
Average Rating 5.0
Free
Check out other courses by the instructor!
Explore other courses in the same fie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