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커리큘럼 관련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커리큘럼 관련 질문은 어디에 남겨야 좋을지 모르겠어서 여기에 남기게 됐씁니다 ㅠㅠ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평소에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 강의가 다양해서 좋지만 ! 순서가 고민돼서 질문드립니다. 저는 신입 또는 저년차 개발자로 입사하고 싶습니다! 기본적인 SQL 쿼리는 작성할 수 있습니다. 현재 자바, 스프링 핵심원리 기본, 스프링 MVC1 강의 들었습니다. 1. 데이터베이스 강의 순서 추천: 김영한의 실전 데이터베이스/ 스프링 DB/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등 다양한 데이터베이스 강의 중 어떤 순서로 학습하면 좋을까요? 2. 스프링 관련 강의 추천: 위에서 추천해주실 데이터베이스 강의와 함께 스프링 MVC2/ 스프링부트/ 스프링부트와 JPA 활용 강의 중 어떤 강의 수강하는 것이 좋을지도 추천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서비서 계층 스프링 프레임워크 사용
이번 강의 코드에서 서비스 계층 코드인 MemberServiceV3_1 에서 PlatformTransactionManager 같은 스프링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고 있는데요,이전 강의에서 프레젠테이션 계층, 서비스 계층, 데이터 접근 계층에 대해 설명하실 때서비스 계층에서는 순수 자바 코드로 작성해야한다고 하셨는데요.MemberServiceV3_1 에서 몇몇 코드가 스프링 프레임워크인데 이런 것은 정말 필요에 의해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어쩔 수 없는 부분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validation(toMember)의 위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중 질문이 생겨 여쭤봅니다. MemberServiceV1에서 memberRes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s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해당 코드가 있습니다. 트랜잭션을 사용하지 않아서 테스트 코드에서 예외가 발생하며 memberA는 8000원, memberEx는 10000원이 된다고 말씀하셨는데, 근본적인 원인은 validation(toMember); 의 위치 문제가 아닐까 생각이 드네요 ..! validation(toMember); memberRes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memberRes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이렇게 순서를 바꾸면 검증을 먼저 수행하고 이체를 하니 테스트 코드에서 둘 다 1만원으로 변동이 되지 않던데, 단순히 트랜잭션 이해를 위한 설명으로 생각하면 될지 싶어 여쭤봅니다 !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데이터 계층에서 서비스 로직의 datasource를 인식하는 방법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1. MemberServiceV3_1 서비스 로직에서 트랜잭션만 가져오고 TCL만 하는 상태에서 MemberRepositoryV3 데이터 계층에서 getConnection() 할 때 서비스 로직의 트랜잭션과 동일한 커넥션인지 어떻게 판단하는지?커넥션 풀 생성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에서 확인하고 가져오는건 알겠는데 어떻게 비즈니스 로직이의 트랜잭션의 커넥션인지?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member 상수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17: 58초에 나오는 MEMBER_A,B,EX 상수들질문입니다.영상처럼 상수에 값을 넣고 @AfterEach에 넣어주셨는데 @AfterEach void after() throws SQLException { memberRepository.delete("memberA"); memberRepository.delete("memberB"); memberRepository.delete("ex"); }이것처럼 직접 값을 넣어주게 되도 동작을 동일하게 진행되는데 상수 지정을 하지 않고 이런 식으로 값을 넣어주게 되면 문제가 생길 수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ctrl + F6 이후로 con 인식이 안 됩니다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제목 그대로 ctrl + F6 이후로 con 인식이 안됩니다.그래서 새로 다시 코딩을 해봐도 안되고 강의 PDF에 있는걸로 복사해서 바꿔봐도 안 됩니다. 복사 이후로는 다른 memberRepository 나 fromId 등 인식이 다 안되서 여쭤봅니다. 프로젝트 압축 파일 링크입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WsWLpkTaAFSYKr7sL7V1mzXDqmoR6bhL/view?usp=drive_link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DrivenManager 와 Connection 반환에 대한 질문입니다!
커넥션을 요청하고 반환받는건 서버와 DB 사이의 작용이라고 생각해서 커넥션 구현체를 클라이어트에 반환한다는 부분이 이해가 잘 안 갑니다! 클라이언트라는 단어가 단순히 웹 클라이언트로 쓰이는 것뿐만 아니라 요청하는 쪽을 지칭할 때 쓰는거라고 보면 될까요? 여기선 애플리케이션 로직 즉, Connection 객체를 사용하는 저의 애플리케이션 코드를 의미하는 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섹션5 트랜잭션 템플릿관련 질문(이기종 DB)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트랜잭션 템플릿은 하나의 DBMS 에서의 계좌이체 트랜잭션에서만 사용할 수 있을것 같은데요 맞을까요?만일 2개의 DBMS 에서 원자성을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될까요?시나리오는 ㅇ db 1 : 데이터 갱신ㅇ db 2 : 데이터 갱신ㅇ db 1 : 데이터 갱신 이고 3번째 스텝에서 exception 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나요?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세션1 테이블 조회결과 그림은 Redo 로그에 속하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강의에 [섹션4] 에서 나오는 강의 자료에서 그림부분에 [세션1 테이블 조회결과]라는 그림이 있는 부분이 있는데 이 부분이Redo 로그에 속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트랜잭션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 DB 대신 파일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더 효율적인가?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매번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강의에서 db 를 사용하는 가장 대표적인 이유가 트랜잭션 사용이라 언급을 해주셨는데 그럼 트랜잭션이 필요하지 않는 상황이라면 다른 구조를 사용하는게 더 효과적일까요? 만약 파일로 저장을 하게 된다면 더 빠른가요? db 는 트랜잭션을 보장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작업이 더 들어가기 때문에 insert update 가 파일에 비해 무거울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강의 14분쯤 Exception 질문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 14분쯤에,@Test 부분에서 .isInstanceOf(SQLException.class)를 했을 때, 테스트가 성공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저는 ConnectException과 SQLException이 서로 관련이 없는 Exception이기 때문에 테스트가 실패해야 한다고 생각했습니다.혹시 Service의 logic()에서 repository.call()이 호출 될 때 SQLException이 터지고, 그로 인해서 networkClient.call()은 실행되지 않고 끝나기 때문에 테스트가 성공하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memberId 맴버변수를 String 으로 잡은 이유
도메인의 Member 클래스 의 memberId 맴벼변수 타입이 String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jbdc에 대표 id 등록은 숫자형 타입이 아닌 문자형으로 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섹션7. 자동구성 정보파일분리 강의 질문(@MyAutoConfiguration 붙힌 이유)
안녕하세요 선생님.섹션7 자동구성 정보파일 분리 수업 듣던와중에 문득 강의 이해하는 도중 질문이 있어서요.질문 1). @MyAuto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만드신 후,DispatcherServletConfig 과 TomcatWebServerConfig 클래스에다가 이걸 붙혀주셨어요. 그리고 그 목적은 @MyAutoConfiguration 에 @Configuration 이 작성되어있기때문에 @MyAutoConfiguration을 어떤 클래스에 붙히면 @Configuration 클래스를 선언한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는다는걸 보여주기 위함이라고 말씀하셨고 그렇게 이해를 했는데요.@MyAutoConfiguration 를 붙힌 다른 목적과 이유도 있을까요 ? 질문2) 그리고 그 이후에 Test 파일중 ConfigurationTest.java 안에 있는 클래스에 @Configuration 와 proxyBeanMethods = false 속성값을 적용해서 예시로든 생성자가 다르다고 출력되는걸 구현해주셨는데,저 속성값을 Test 파일이 아닌 일반 java 패키지에 있는 DispatcherServletConfig 나 TomcatWebServerConfig 에 @Configuration 이 붙어있다면, 여기다가도 프록시빈메서드 속성값을 적용시키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을까요 ? 질문3). 스프링을 실무에서 사용하지 않아서 학습하고 있는데, 점점 후반부로 갈 수록 구조에 대한 이해보다는 구조 자체를 암기를 해야 그나마 강의를 따라가는 느낌이 드는데,반복 수강만이 답일까요 ??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close() 에 실패한 자원의 처리
finally { if ( rs != null ) try{rs.close();}catch(Exception e){} if ( pstmt != null ) try{pstmt.close();}catch(Exception e){} if ( conn != null ) try{conn.close();}catch(Exception e){} }자원을 해제하는 도중 예외가 발생하면 나머지 자원이 해제되지 않을 수 있기에 다음과 같은 try 문으로 감싸주어야 한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러면 예외가 발생해 해제에 실패한 자원에 대해서는 다시 close()를 하거나 다른 조치를 취하지 않아도 메모리 누수나 다른 문제가 없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sql-error-codes.xml에 없는 DB 종류를 사용할 경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해당 파일을 커스터마이징 해야 하나요 ? 예를 들어 티베로 + 스프링 조합으로 개발을 하게 되면 예외 처리를 개발자가 직접 해줘야 한다고 생각하면 될까요 ?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WebApplicationContext를 DispatcherServlet에 this로 넘기는 것
안녕하세요.스프링 강의 먼저 듣고 부트 강의를 듣고 있습니다.이번 강의에서 초반에는 this가 아니라 applicationContext 변수를 넘겼기 때문에 변수의 타입에 Web을 추가해서 넘겨줬었는데요.후반에는 this로 GenericWebApplicationContext를 넘겨주니까 applicationContext 변수의 타입은 다시 GenericApplicationContext로 하는 것도 괜찮은 방법일까요? 확인해보니까 registerBean 메서드는 GenericApplicationContext의 메서드여서 질문드려봅니다.해당 클래스는 인터페이스 클래스가 아니어서 뭘 써도 상관이 없는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Transactional 질문 있씁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현재 재직중인 직장 소스를 보면 트랜잭션을 걸어야하는 서비스단 메서드에 @Transactional의 격리 수준이 READ UNCOMMITTED 로 모두 되어있습니다. 하나도 빠짐없이.. 상사분의 말로는 테이블 락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이렇게 한다는데... 영한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 제가 생각했을때 이는 적합하지 않은 방법같거든요. 정합성이 깨질뿐더러 테이블 락은 다른 방법으로 해결해야지 이건 아닌것 같더라구요..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try-with-resources 구문 사용 관련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해당 강의에서는 save(Member member)를 작성하면서 try-catch구문을 썼는데 아래처럼 try-with-resources구문을 사용하면 생길 수 있는 문제가 있어서 try-catch구문을 쓰는건가요?try (Connection con = getConnection(); PreparedStatement pstmt = con.prepareStatement(sql)) { pstmt.setString(1, member.getMemberId()); pstmt.setInt(2, member.getMoney()); pstmt.executeUpdate(); return member; } catch (SQLException e) { log.error("db error", e); throw e; }제가 혼자 생각해봤었을 때의 이때의 생길 수 있는 문제점은 try(...)안의 자원들의 close()가 호출될 때가 아닌 생성될 때의 오류가 생기면 그걸 catch로 잡거나 그러지 못할수도 있다는 것이었습니다.실제로 h2데이터베이스를 끄고 실행해봤었을 때,Connection con = getConnection(); 부분에서 예외가 발생했고, catch로 잡지 못하는 모습이었습니다. 이처럼 자원 생성에서부터 예외가 발생할 때 try-with-resources를 사용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생각하면 되는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try catch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현재 '데이터베이스와 연결' 3:57를 보고있는데요화면과 똑같이 작성한 후 알트+ 엔터로 선생님과 같이 Surround로 시작하는 try/catch를 적용하려는데 저는 위 화면처럼 try catch가 아닌 try with resource block이 나오는데저걸 누른 후에도이런식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제안이 생기고 catch가 없이 나오는데요어떤 연유로 이런식으로 되는건지 궁금합니다지금 이대로 가면 강의와 제가 쓴 코드가 다를 것 같아 직접 쳐보려고 하는데 뭐가 어떻게 바뀌어서 이렇게 되는지 알려주세요그리고 받아적는 와중에도이렇게 되는데 누르면강의처럼 cath(SQLException e) {e.printStackTrace();}이렇게가 아니라이렇게 되네요 도대체 뭐가 어떻게 바뀐거고 뭐가 맞는건지 모르겠습니다 ㅠ이부분에서 런타임익셉션으로 떤진다고 하셨는데 정작 적은 건 IllegalStateException(e);인데저는 런타임 익셉션으로 나옵니다 ㅠ
-
해결됨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인프라 빈 구성 정보의 분리에서 EnableMyAutoConfiguration 질문드립니다.
스캐닝을하는 어노테이션으로 하위 config정보를 갖고있는@EnableMyAutoConfiguration를 갖고있는걸 알고 있는데요.이 어노테이션에는 2개의 config를 갖고있습니다.각각의 config들은 동일한 어노테이션을 지니고 있습니다.@Configuration궁금한건 스캔 하는 부분인 MySpringBootApplication에서는 직접적으로 빈을 선언하지 않더라도 @configuration를 소스상에 추가되어 있는데요. 직접빈을 주입하지 않더라도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을 필수로 넣어줘야하나요? 사실 여기서 어노테이션을 빼고 실행해봤는데 정상적으로 실행되는 것을 확인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