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44
·
수정됨
0
이번 강의 코드에서 서비스 계층 코드인 MemberServiceV3_1
에서 PlatformTransactionManager
같은 스프링 프레임 워크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이전 강의에서 프레젠테이션 계층, 서비스 계층, 데이터 접근 계층에 대해 설명하실 때
서비스 계층에서는 순수 자바 코드로 작성해야한다고 하셨는데요.
MemberServiceV3_1
에서 몇몇 코드가 스프링 프레임워크인데 이런 것은 정말 필요에 의해서 사용하는 것이므로 어쩔 수 없는 부분인가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yoon6669님께서 질문하신 내용과 관련된 답변을 찾아보았습니다.
서비스 계층에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PlatformTransactionManager
를 사용하는 이유는 주로 트랜잭션 관리를 하기 위함입니다. 스프링은 트랜잭션의 시작, 커밋, 롤백을 쉽게 관리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일반적으로 서비스 계층은 비즈니스 로직을 담고 있어야 하며, 데이터 접근 계층과 통합되는 과정에서 트랜잭션 처리가 중요하게 됩니다.
서비스 계층에서 순수 자바 코드로 작성해야 한다는 것은 비즈니스 로직이 프레임워크에 종속적이지 않게 하여 테스트와 유지보수가 용이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트랜잭션 관리를 위해 PlatformTransactionManager
와 같은 필수적인 프레임워크 도구를 사용하는 것은 예외입니다. 이는 비즈니스 로직이 아니라 기술적인 관리(quota management)를 위한 것이므로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비슷한 질문과 답변이 아래 URL에 있습니다:
- 스프링 DB 1편 강의에서의 트랜잭션 처리와 서비스 계층 설계
서비스 계층에서 스프링의 기능을 사용하는 것은 이러한 이유에서 필요합니다. 트랜잭션은 데이터의 모순을 방지하고, 데이터베이스 작업이 일관성을 유지하도록 보장하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기술적인 이유에서 프레임워크의 의존성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