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67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
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
(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트랜잭션 템플릿은 하나의 DBMS 에서의 계좌이체 트랜잭션에서만 사용할 수 있을것 같은데요 맞을까요?
만일 2개의 DBMS 에서 원자성을 지키려면 어떻게 해야될까요?
시나리오는
ㅇ db 1 : 데이터 갱신
ㅇ db 2 : 데이터 갱신
ㅇ db 1 : 데이터 갱신
이고 3번째 스텝에서 exception 이 발생하면 어떻게 되나요?
감사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okputto님이 질문하신 트랜잭션 템플릿은 주로 하나의 DBMS 내에서 트랜잭션을 처리할 때 사용됩니다. 따라서 2개 이상의 이기종 DBMS에서 트랜잭션을 관리하고 원자성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분산 트랜잭션 관리가 필요합니다.
분산 트랜잭션을 관리하는 방법 중 하나는 Java Transaction API(JTA)와 같은 분산 트랜잭션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JTA를 통해 여러 DBMS에 걸친 트랜잭션을 관리하고 원자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시나리오에서 마지막 스텝에서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 분산 트랜잭션 관리자는 롤백을 수행하여 모든 관련 DBMS에서의 변경사항을 취소하여 일관성을 유지하게 됩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