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3
0
[1줄 질문]
after 메서드 로직을 테스트에 바로 적는 것도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일까요?
[설명]
테스트를 실행한 후, after 메서드로 memberA, memberB, ex 객체 값을 삭제하여 다음 테스트 실행할 때 데이터 충돌을 방지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after 메서드를 실행할 때마다 테스트에서 생성 자체가 되지 않은 객체 또한 삭제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에는 after 메서드 대신 테스트 후(then 로직 종료 후) 바로 삭제하는 로직을 추가하는 것이 좀 더 빠르지 않을까 생각해보았습니다.
물론 after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은 중복 로직을 줄이기 위함도 있겠지만, 지금과 같은 경우에는 테스트 내에서 삭제 로직까지 추가하는 것은 보편적인 방법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프로그래머님께서 질문하신 After 메서드의 사용에 대한 의문은, 테스트 작성을 할 때 AfterEach(혹은 After) 메서드를 통해 테스트 간의 데이터 격리를 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고려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이 방법은 특히 여러 테스트가 반복적으로 실행될 때, 테스트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는 데 많은 도움이 됩니다.
AfterEach 메서드는 각 테스트가 완료된 직후에 공통적으로 실행되기 때문에, 테스트 내에서 중복된 정리(cleanup) 로직을 포함하지 않아도 됩니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 및 유지보수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또한, AfterEach를 사용하면 테스트의 given-when-then 패턴이 깔끔하게 유지되며, ‘then’ 단계가 본래의 테스트 검증만 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다만, 각 테스트의 특성에 따라 필요한 경우 테스트 내에서 바로 정리 로직이 필요한 상황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특정 테스트가 이후의 테스트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보장하고자 할 때 적절하게 고려될 수 있습니다.
여기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활용하면, 각 테스트 메서드가 끝난 직후 롤백을 통해 데이터베이스의 상태를 일관되게 유지할 수도 있습니다. 이는 더 편리한 방식으로 데이터 정리를 도와줄 수 있으니 함께 고려해보시면 좋겠습니다.
관련해서 더 구체적인 예시나 설명이 필요하시다면, 아래의 유사 질문을 참조해보시기 바랍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