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txt파일 삭제 시 빌드 오류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마지막 32:13 쓸모 없는 파일을 삭제하는 부분에서 수업 자료에서 받은 파일 중 txt파일만 삭제하면 빌드 오류가 떠서 어떻게 없애야할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위 사진처럼 삼인칭템플릿추가필요.txt 파일을 삭제하고 빌드를 하면 아래와 같이 빌드 오류가 뜨네요.Saved, Intermediate, DerivedDataCache, sin 파일을 지우고 txt파일도 지운 다음 Generate Visiual Studio를 실행했는데도 계속 똑같은 빌드 오류가 뜨네요.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객체지향 설계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9강 델리게이트 까지 들은 현재,제가 객체지향 설계에 대해 잘 이해를 한 것인지 잘 모르겠고 궁금한 것이 생겨서 질문 남깁니다. 9강에서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느슨한 결합으로 구현하는 것을 설명해주셨었습니다.강의에서 인터페이스를 구현할 때, 인터페이스를 사용해서 함수를 호출하기 위해서는 특정 클래스를 Cast하여 확인하고 호출했었습니다.그러면 예를 들어 캐릭터에서 아이템 사용 인터페이스를 사용한다고 해도 아이템 클래스 헤더를 include를 해야하는 상황이 발생하는데이 경우에는 인터페이스를 사용했음에도 결합? 의존이 발생한 것이라고 봐야할까요? 그리고 델리게이트 강의에서 중간에서 연결과 활동을 관리하는 주체 클래스가 필요하다고 하셨는데 이 클래스의 경우에는 모든 클래스를 include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강한결합을 따지지 않나요? 그리고 강의를 따라가며 이해한 걸로 예시를 들어보았는데 제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것인지 궁금합니다...좀 길지만 혹시 한번 봐주신다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6강 리플렉션 2>게임에서 다양한 아이템이 있습니다.아이템이라는 클래스를 만들어서 상속시켜 구현을 합니다.아이템 클래스에는 Use라는 가상 함수를 두고 이를 오버라이드 해서 각 아이템의 사용 시 효과를 구현합니다. <7강 인터페이스>사용가능한 아이템이 있고 패시브 효과를 가진 아이템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Use라는 함수를 UsableItemInterface 등의 인터페이스로 구현하여 상속시켜 구현합니다. <8강 컴포지션>포함관계를 사용하여 복잡한 기능을 클래스를 쉽게 구현합니다.캐릭터 클래스에 아이템 클래스를 include하여 생성하여 아이템의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9강 델리게이트>include 된다면 강한 결합이기 때문에 안좋은 설계 방법이며 인터페이스를 활용하여 구현하여 느슨한 결합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예를 들어 아이템 자체를 include하기 보다는 아이템 사용 함수를 구현한 인터페이스에 의존하게 하여 해당 인터페이스를 구현한다면 다양한 종류의 아이템을 직접 캐릭터에 include하여 변경할 필요없이 사용이 가능하게 됩니다.하지만 매번 인터페이스를 만드는 것이 불편할 수 있으므로 델리게이트를 쓰면 편하고 안정적으로 관리가 가능합니다.캐릭터와 아이템의 의존을 없애기 위해 연결과 활동 주체 클래스를 만듭니다.주체 클래스에서 캐릭터와 아이템을 include하고 캐릭터에 onUse라는 델리게이트를 만들고 이게 호출되면 아이템의 Use가 호출되도록 bind합니다.그러면 캐릭터와 아이템이 의존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3 - 네트웍 멀티플레이 프레임웍의 이해
데디케이티드 서버 개발 문의
현재는 리슨 서버로 개발하고 있어서 서버 클라 코드가 동시에 들어가지만데디케이티드 서버 개발은 서버 코드만 있으면 되기 때문에 더 편리하다 라고 하셨는데이게 머릿속에 잘 그려 지지가 않습니다 ㅠ 데디케이티드 서버 개발 방식이라는게아예 프로젝트를 분리해서 서버와 클라를 구분해서 개발 하는 것으로 생각 해야 할까요?(예를 들어 캐릭터 액터의 경우를 보면 같은 이름의 ABCharacter.h & cpp 파일이 있지만 안의 내용은 다르게 (어떤건 같은 내용) 되어 있다고 생각해야 할까요?)아니면 프로퍼티 리플리케이션의 경우는 콜백으로 OnRep_ 함수가 클라이언트 측에서만 실행 할 수 있는 걸로 나오는데, 이렇게 되면 애초에 서버 클라가 분리된 형태로 볼 수 있고, 이를 기반으로 프로퍼티를 바꾸는건 서버 코드, OnRep_ 콜백 함수는 클라이언트 코드 로 해서 각 파트가 개발 하는 방식이 데디케이티드 서버 개발 방식일까요?
-
미해결[입문자를 위한 UE5] Part2. 언리얼 엔진 2D 게임 개발 입문
State 패턴듣고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루키스님저는 비전공자로서, 강의 너무 잘듣고있습니다.이해가 아주 쏙쏙됩니다.이때까지 제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아뭐 안되는거있으면 구글링이나 chatgpt한테 물어봐가면서 아득바득해결했는데이건 도저히 이해가 안되네요... 제가 공격을 구현하는 코드에서 실수로 UpdateAnimation 부분을 빼고 연결해버렸습니다.나머지는 강의랑 동일한 코드로 작성하였습니다근데 요상하게도 나머지 기능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 공격시, 2회연속공격을 하더라구요??아니 공격키가 먹히는 것도 요상한데 2회연속공격도 요상합니다. 공격키가 먹히는 이유는 Event Tick에 걸어준 코드 때문에Update Input 함수에서 노란선방향으로 쭉 나가서 UpateAnimation쪽으로 가주면서공격키를 눌러주긴했으니까 EState가 Skill값으로 받아줘서 결과적으로 공격 모션을 취한것으로 예상을하고있는데근데 왜 2회연속공격으로 실행될까요??예전에 말씀하시길 Tick이 frame단위로 굉장히 짧은시간이니깐공격키가 눌린 찰나의 시간동안 저 과정이 2번 반복되서 그런걸까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3강에서 시점 변경 부분이요
시점 변경 전까지 정상 적으로 작동 되었는데 변경 후부터 움직임도 먹통이고 해서 이것저것 수정하다가 ACharacterPlayer::ACharacterPlayer() { // 카메라 붐 생성 (충돌이 있으면 플레이어 쪽으로 당겨짐) CameraBoom = CreateDefaultSubobject<USpringArmComponent>(TEXT("CameraBoom")); CameraBoom->SetupAttachment(RootComponent); CameraBoom->TargetArmLength = 400.0f; // 카메라가 캐릭터 뒤에서 이 거리만큼 따라갑니다 CameraBoom->bUsePawnControlRotation = true; // 컨트롤러를 기반으로 암을 회전시킵니다 // 팔로우 카메라 생성 FollowCamera = CreateDefaultSubobject<UCameraComponent>(TEXT("FollowCamera")); FollowCamera->SetupAttachment(CameraBoom, USpringArmComponent::SocketName); // 카메라를 붐 끝에 부착하고 붐이 컨트롤러 방향에 맞춰 조정되도록 합니다 FollowCamera->bUsePawnControlRotation = false; // 카메라는 암과 상대적으로 회전하지 않습니다 //Jump Input Action을 찾습니다. static ConstructorHelpers::FObjectFinder<UInputAction> InputActionJumpRef(TEXT("/Script/EnhancedInput.InputAction'/Game/KoreaSoul/Input/Actions/IA_Jump.IA_Jump'")); if (nullptr != InputActionJumpRef.Object) { JumpAction = InputActionJumpRef.Object; } static ConstructorHelpers::FObjectFinder<UInputAction> InputChangeActionControlRef(TEXT("/Script/EnhancedInput.InputAction'/Game/KoreaSoul/Input/Actions/IA_ChangeControl.IA_ChangeControl'")); if (nullptr != InputChangeActionControlRef.Object) { ChangeControlAction = InputChangeActionControlRef.Object; } // ShoulderMove Input Action static ConstructorHelpers::FObjectFinder<UInputAction> ShoulderMoveActionRef(TEXT("/Script/EnhancedInput.InputAction'/Game/KoreaSoul/Input/Actions/IA_ShoulderMove.IA_ShoulderMove'")); if (nullptr != ShoulderMoveActionRef.Object) { ShoulderMoveAction = ShoulderMoveActionRef.Object; } // ShoulderMoveLook Input Action static ConstructorHelpers::FObjectFinder<UInputAction> ShoulderMoveActionLookRef(TEXT("/Script/EnhancedInput.InputAction'/Game/KoreaSoul/Input/Actions/IA_ShoulderLook.IA_ShoulderLook'")); if (nullptr != ShoulderMoveActionLookRef.Object) { ShoulderLookAction = ShoulderMoveActionLookRef.Object; } // QuaterMove Input Action static ConstructorHelpers::FObjectFinder<UInputAction> QuaterMoveActionRef(TEXT("/Script/EnhancedInput.InputAction'/Game/KoreaSoul/Input/Actions/IA_QuaterMove.IA_QuaterMove'")); if (nullptr != QuaterMoveActionRef.Object) { QuaterMoveAction = QuaterMoveActionRef.Object; } CurrentCharacterControlType = ECharacterControlType::Quater; } void ACharacterPlayer::BeginPlay() { // 부모 클래스의 BeginPlay 함수를 호출합니다. Super::BeginPlay(); SetCharacterControl(CurrentCharacterControlType); } void ACharacterPlayer::SetupPlayerInputComponent(UInputComponent* PlayerInputComponent) { Super::SetupPlayerInputComponent(PlayerInputComponent); // PlayerInputComponent를 UEnhancedInputComponent로 캐스팅합니다. UEnhancedInputComponent* EnhancedInputComponent = CastChecked<UEnhancedInputComponent>(PlayerInputComponent); // 점프 액션을 트리거 이벤트에 바인딩합니다. // JumpAction이 발생하면 ACharacter의 Jump 함수를 호출합니다. EnhancedInputComponent->BindAction(JumpAction, ETriggerEvent::Started, this, &ACharacter::Jump); EnhancedInputComponent->BindAction(JumpAction, ETriggerEvent::Triggered, this, &ACharacter::StopJumping); EnhancedInputComponent->BindAction(ChangeControlAction, ETriggerEvent::Triggered, this, &ACharacterPlayer::ChangeCharacterControl); // MoveAction이 발생하면 ACharacterPlayer의 Move 함수를 호출합니다. EnhancedInputComponent->BindAction(ShoulderMoveAction, ETriggerEvent::Triggered, this, &ACharacterPlayer::ShoulderMove); EnhancedInputComponent->BindAction(ShoulderLookAction, ETriggerEvent::Triggered, this, &ACharacterPlayer::ShoulderLook); EnhancedInputComponent->BindAction(QuaterMoveAction, ETriggerEvent::Triggered, this, &ACharacterPlayer::QuaterMove); Controller = GetController(); // 컨트롤러 초기화 // 바인딩 확인용 로그 추가 UE_LOG(LogTemp, Warning, TEXT("InputComponent bound successfully")); } void ACharacterPlayer::ChangeCharacterControl() { UE_LOG(LogTemp, Warning, TEXT("ChangeCharacterControl called")); if (CurrentCharacterControlType == ECharacterControlType::Quater) { SetCharacterControl(ECharacterControlType::Shoulder); } else if (CurrentCharacterControlType == ECharacterControlType::Shoulder) { SetCharacterControl(ECharacterControlType::Quater); } // SetupPlayerInputComponent를 다시 호출하여 새로운 입력 맵핑을 적용합니다. SetupPlayerInputComponent(InputComponent); // 상태 변경 로그 추가 UE_LOG(LogTemp, Warning, TEXT("Control type changed to %s"), CurrentCharacterControlType == ECharacterControlType::Quater ? TEXT("Quater") : TEXT("Shoulder")); } void ACharacterPlayer::SetCharacterControl(ECharacterControlType NewCharacterControlType) { // CharacterControlManager 맵에서 NewCharacterControlType 키에 해당하는 값을 검색합니다. UCharacterControlData* NewCharacterControl = CharacterControlManager[NewCharacterControlType]; // 검색된 NewCharacterControl이 유효한 값인지 확인합니다. check(NewCharacterControl); // 가져온 CharacterControlData를 적용합니다. SetCharacterControlData(NewCharacterControl); APlayerController* PlayerController = CastChecked<APlayerController>(GetController()); if (UEnhancedInputLocalPlayerSubsystem* Subsystem = ULocalPlayer::GetSubsystem<UEnhancedInputLocalPlayerSubsystem>(PlayerController->GetLocalPlayer())) { Subsystem->ClearAllMappings(); UInputMappingContext* NewMappingContext = NewCharacterControl->InputMappingContext; if (NewMappingContext) { Subsystem->AddMappingContext(NewMappingContext, 0); } } // 현재 캐릭터 컨트롤 타입을 새로운 타입으로 설정합니다. CurrentCharacterControlType = NewCharacterControlType; UE_LOG(LogTemp, Warning, TEXT("Character control changed to %s"), NewCharacterControlType == ECharacterControlType::Quater ? TEXT("Quater") : TEXT("Shoulder")); } void ACharacterPlayer::SetCharacterControlData(const UCharacterControlData* CharacterControlData) { // 각 프로퍼티를 CharacterControlData 값으로 설정합니다. Super::SetCharacterControlData(CharacterControlData); CameraBoom->TargetArmLength = CharacterControlData->TargetArmLength; // 대상의 팔 길이를 설정합니다. CameraBoom->SetRelativeRotation(CharacterControlData->RelativeRotator); // 상대 각도를 설정합니다. CameraBoom->bUsePawnControlRotation = CharacterControlData->bUsePawnControlRotation; // 폰의 제어 회전을 사용하는지 설정합니다. CameraBoom->bInheritPitch = CharacterControlData->bInheritPitch; // Pitch 상속을 사용하는지 설정합니다. CameraBoom->bInheritYaw = CharacterControlData->bInheritYaw; // Yaw 상속을 사용하는지 설정합니다. CameraBoom->bInheritRoll = CharacterControlData->bInheritRoll; // Roll 상속을 사용하는지 설정합니다. CameraBoom->bDoCollisionTest = CharacterControlData->bDoCollisionTest; // 충돌 검사를 수행하는지 설정합니다. UE_LOG(LogTemp, Warning, TEXT("Character control data set")); } void ACharacterPlayer::ShoulderMove(const FInputActionValue& Value) { // 입력 값에서 2D 이동 벡터를 가져옵니다. FVector2D MovementVector = Value.Get<FVector2D>(); // 컨트롤러가 유효한지 확인합니다. if (Controller) { // 컨트롤러의 현재 회전값을 가져옵니다. const FRotator Rotation = Controller->GetControlRotation(); // Yaw(좌우 회전)만 사용하여 회전 값을 만듭니다. const FRotator YawRotation(0, Rotation.Yaw, 0); // 회전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전방 방향 벡터를 구합니다. const FVector ForwardDirection = FRotationMatrix(YawRotation).GetUnitAxis(EAxis::X); // 회전 매트릭스를 사용하여 오른쪽 방향 벡터를 구합니다. const FVector RightDirection = FRotationMatrix(YawRotation).GetUnitAxis(EAxis::Y); // 입력 값에 따라 전방 방향으로 이동을 추가합니다. AddMovementInput(ForwardDirection, MovementVector.X); // 입력 값에 따라 오른쪽 방향으로 이동을 추가합니다. AddMovementInput(RightDirection, MovementVector.Y); } UE_LOG(LogTemp, Warning, TEXT("ShoulderMove called")); } void ACharacterPlayer::ShoulderLook(const FInputActionValue& Value) { // 입력 값에서 2D 회전 벡터를 가져옵니다. FVector2D LookVector = Value.Get<FVector2D>(); // 컨트롤러가 유효한지 확인합니다. if (Controller) { // 입력 값에 따라 컨트롤러의 회전 값을 변경합니다. AddControllerYawInput(LookVector.Y); AddControllerPitchInput(LookVector.X); } UE_LOG(LogTemp, Warning, TEXT("ShoulderLook called: Yaw=%f, Pitch=%f"), LookVector.X, LookVector.Y); } void ACharacterPlayer::QuaterMove(const FInputActionValue& Value) { // 이동 벡터를 생성합니다. 입력 값으로부터 FVector2D 타입을 가져옵니다. FVector2D MovementVector = Value.Get<FVector2D>(); // 입력 값의 제곱의 크기입니다. float InputSizeSquared = MovementVector.SquaredLength(); // 이동 벡터의 크기를 기본값 1로 설정합니다. float MovementVectorSize = 1.f; // 이동 벡터의 제곱 크기입니다. float MovementVectorSizeSquared = MovementVector.SquaredLength(); // 이동 벡터의 제곱 크기가 1을 초과하는 경우 if (MovementVectorSizeSquared > 1.0f) { // 이동 벡터를 정규화합니다. MovementVector.Normalize(); // 이동 벡터의 제곱 크기를 1로 설정합니다. MovementVectorSizeSquared = 1.f; } else { // 이동 벡터의 크기를 이동 벡터의 제곱 크기의 제곱근으로 설정합니다. MovementVectorSize = FMath::Sqrt(MovementVectorSizeSquared); } // 이동 방향을 설정합니다. 입력 벡터의 x, y를 사용하고 z를 0으로 설정합니다. FVector MoveDirection = FVector(MovementVector.X, MovementVector.Y, 0.0f); // 캐릭터 생성자의 컨트롤러에 이동 방향의 로테이터를 설정합니다. GetController()->SetControlRotation(FRotationMatrix::MakeFromX(MoveDirection).Rotator()); // 이동 입력을 추가합니다. 이동 방향과 이동 벡터의 크기를 인자로 사용합니다. AddMovementInput(MoveDirection, MovementVectorSize); UE_LOG(LogTemp, Warning, TEXT("QuaterMove called: X=%f, Y=%f"), MovementVector.X, MovementVector.Y); }일단 여기까지 고쳤는데 마우스 동작도 안되고 방향키는 전부 반대로 되어있고 v키를 눌러도 숄더로 돌아가서 다시 안돌아옵니다3시간동안 헤맸는데 도저히 모르겠어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LogTemp 가 로그창에서 안보입니다 ㅠ
검색창에 LogTemp로 쳐봐도 안보이고 카테고리에도 없는데 따로 설정해야 할것이 있었나요?
-
미해결[입문자를 위한 UE5] Part4. 언리얼 엔진 C++
블루프린트 클래스 옮기는 과정 오류
평소 비주얼 스튜디오 코드 사용하고 있어서 환경바꾸기 귀찮아 그냥 그대로 쓰고 있었습니다.MainActor.cpp 에서 BP_R1Actor 찾는데는 성공했지만, ActorClass 에 대입이 안 되서 속 썩이다가 혹시나 하는 마음에 비주얼 스튜디오 2022로 옮기니 잘 되네요.비주얼 코드에서는 자꾸 타입 불일치로 Null 로 나려버리던데 이유는 아직도 찾지 못했습니다.저 같은 분 계실가봐 적어봅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4 - 게임플레이 어빌리티 시스템
59:34 게임플레이 이펙트 cost 기능
cost로 지정된 값이 소모값보다 작으면 자동으로 GA를 실행시키지 않는것이 추가가 되있는건가요? 남아있는 에너지가 30보다 작으면 실행 할 수 없게 설계가 되어있는 걸까요?
-
미해결언리얼 엔진4 입문 (C++ 기반)
크래쉬
분명 컴파일 할때는 아무 오류도 없는데 정작 동적으로 하니 해당 오류가 생깁니다. 몽타지 재생하는 코드에서 몽타지 주소 오류인지 알았는데 몽타지 재생코드를 다 지우고 ue_log 코드를 띄어서 확인해보니 똑같은 현상이 발생했습니다. 도움 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4 - 게임플레이 어빌리티 시스템
게임플레이 태그 컨테이너, GAS와 기존 액터컴포넌트 차이
안녕하세요. 두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게임플레이 태그도 FName으로 구현되었다면 해시테이블 자료구조로 저장되어 있을 것이라 예측했는데 계층구조를 지원하는 검색기능을 제공한다면 게임플레이태그 컨테이너는 Trie같은 자료구조로 만들어져 있는 건가요?GAS를 사용해서 구현하는 방식이 액터로부터 기능을 분리하는 것인데 기존에 언리얼에서 제공하는 액터컴포넌트와 차이가 있을까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Anim 그래프, 특정 노드 진입시 재생위치 초기화 질문
안녕하세요. 매번 양질의 강의 영상 감사드립니다.플레이어의 점프력을 조금 낮춰보고 점프를 했을때(JumpZVelocity 700->400 , Mass 200)첫번째 점프는 애니메이션 처음부터 재생하지만,착지 후 즉시 점프를 했을때,이전에 점프가 끝났던 프레임에서 재생하여, 바로 Falling 노드로 진입하는듯한 문제가 있었습니다. 혹시, 현재 노드를 벗어나거나, 진입하면, 무조건 첫 프레임부터 재생하겠다라는 옵션을 설정해줄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3 - 네트웍 멀티플레이 프레임웍의 이해
움직임 리플리케이션
안녕하세요, 그러면 Listen Server로 저희 예제를 작동시킬 때 CharacterMovementComponent에서 자동으로 캐릭터 네트워크 움직임들을 앞서 살펴본 소스코드의 과정을 통해 보완 및 이동 시켜주고 있다고 보면 되는거겠죠? 그런 것 같지만 확인차 질문드려봅니다.
-
미해결[입문자를 위한 UE5] Part4. 언리얼 엔진 C++
모듈 삭제 후 프로젝트 구성 속성(...Editor)이 사라지는 문제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감사히 보고 있는 학생입니다.이번 강의를 수강하면서 내용을 진행중에 있었습니다. 샘플로 실습해본 Editor 모듈을 삭제하는 과정에서 이해가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Pawn 강의에서 이전 실습 내용을 삭제하고 정리하는 부분) 문제 상황모듈 파일을 적절히 제거하고 Generate Visual Studio project files를 실행을 하고 빌드를 하고 실행을 해봤더니 Game files required to initialize the global shader library are missing from:위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구글링을 해봤더니 프로젝트 구성 속성이 DebugGame Editor 같은 에디터가 아니어서 발생하는 문제라고 해서 확인해봤더니 Editor 구성 속성이 전부 사라져있었습니다.-DebugGame-Development-Shipping세 속성만 남아있었습니다. Intermediate 파일이나 Cache, 솔루션 파일 등을 제거하고 다시 Generate Visual Studio project files을 실행해도 문제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질문강의를 다시 확인해보니 R1Editor.Target.cs 파일을 제거하지 않은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저 또한 R1Editor.Target.cs 파일만 다시 복구해보니 정상적으로 Editor 구성 속성이 생겼습니다..uproject에서 모듈을 제거하고 종속성도 제거했는데 왜 이런일이 발생할까요?R1Editor.Target.cs 파일을 깔끔하게 삭제하고 모듈의 흔적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나요?
-
미해결[왕기초] 후디니 게임 이펙트 만들기
flip시뮬에서 파티클의 방향을 확실하게 잡는법이 궁금합니다.
강의 많은 도움되고 있어요 감사합니다!flip 파티클을 노이즈 값이랑 윈드값으로 VECTOR 값을{1, 0, 0} 이런식으로 주면 x방향으로 나아가긴 하는데 x보다 조금 더 대각선 위쪽으로 으로 날라가는데정확하게 제가 원하는 방향으로 날라가게 하려면 어떤 방식으로 하는게 좋은가요?
-
미해결[입문자를 위한 UE5] Part4. 언리얼 엔진 C++
안녕하세요! rider로 작성 후 R1Actor를 월드에 놓고 실행 시켜도 Obj안에 데이터가 안보입니다.
uproperty까지 rider로 작성 후 R1Actor를 월드에 놓고 실행 시켜도 Obj안에 데이터가 안보입니다. 중단점 사용해서 마우스 데도 안에 있는 데이터가 안보입니다. 생성자에서 초기화 되지 않았다고만 뜨는데...해결방법이 있을까요ㅠㅠ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클래스로 매크로만들기 되나요?
안녕하세요.질문1. uproject로 regenrate되는게 계속 안보여서,(윈11이지만,며칠전까진 보였거든요) 매크로를 못만들어서 수업을 중단했습니다 ㅠㅠvs다시깔고,언리얼5.3(현재사용버전)다시깔려면,,시간이2시간은 날아갈거라(헤매면서 깔거든요) 아까워서,하지만,그방법밖엔 없는거같은데, 매크로를 못만들면,진행이 안되서...에디터에서 클래스만들듯이 만들진 못하나요? vs , ue5.3 다 새로 설치했는데, 메뉴만 안뜹니다.질문2. 작업할게있어서,커스텀엔진을 쓰고있는데,빌드된 에디터라 간혹 재빌드할거냐고 팝업이 뜰때가 있었는데(물론 소스코드없이 에디터만 있는거라 빌드하진않았습니다),그때 비주얼스튜디오를 켜놓은적이 있습니다. 혹시 그거때문에 프로그램이 바뀔수도 있나요?혹시나 지워봤는데, 상관이 없는거같습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2강 11:20 전방 선언 불가인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2강 11:20 부분에서 CreateDefaultSubobject<> 안에 UStaticMeshComponent를 전방 선언할 수가 없고 헤더에 포함시키는 이유가 궁금합니다!이유를 찾기가 힘들어서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13강 헤드업 디스플레이 강의중 질문입니다
플레이어 컨트롤러의 코드 부분에서 TEXT 안에 부분을 레퍼런스를 복사한뒤_C 붙여서 넣어도 보고 지웠던 앞의 부분을 남겨두어도 보고 했는데 지속적으로 CDO Constructor Failed to Find 에러가 뜹니다. 게임 데이터 연동을 하기 전에는 잘 작동되었었는데 데이터 연동을 하니 이런 오류가 뜨는데 혹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static ConstructorHelpers::FClassFinder<UABHUDWidget> ABHUDWidgetRef(TEXT("")); if (ABHUDWidgetRef.Class) { ABHUDWidgetClass = ABHUDWidgetRef.Class; }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Cast함수 문법
Owner = Cast<ACharacter>(GetOwningActor()); if (Owner) { Movement = Owner->GetCharacterMovement(); }블프에서 캐스트를 당연한게 늘썼는데,코드에서 보니 반가워서 생략된건가싶어,Owner =ACharacter* Cast<ACharacter>(GetOwningActor());라고 쓰니까 에러가 납니다. F12눌럿 보니, FORCEINLINE To* Cast(From* Src)로 되있는데, 왜 지금은 자료형을 표시안하는게 맞나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GenerateVisualStudio메뉴와 폴더관리,개별강의공부문의
안녕하세요.제너레이트와 스위치메뉴가 있었는데,어느순간부터 메뉴가 안보이는거같습니다. 이경우는 언리얼을 다시 설치하나요? 비주얼스튜디오를 다시 설치하나요? 폴더위치를 잘못 넣은경우는 비주얼스튜디오에서 폴더만들어 이동하면되나요? Saved,DDC,Intermediate 는 지워도 되는폴더들이라고 알고있는데, 꼬여서 지우는경우에,언리얼에서 재빌드하라고 뜨고 uproject는 안열리고,비주얼스튜디오는 코드파일들이 안읽히는 경우는 어떻게 하면될까요? 위의 과정들로 프로젝을 몇번을 다시 만들어서 깃에 멀쩡할때 소스코드를 올려백업하고싶은데,로드맵강좌중에 관련강좌가있을까요? 매회차 강의내용이 많은편이라, 강의가 한번 넘어갈때마다 코드내용이 두배이상 늘고,바뀌는거같아, 꼬이면,다시 처음부터 만듭니다ㅠ 5강까지 공부했다가,필요한 부분이 있어서 다시 첫강부터 하고있는데, 이젠 공부롤백때문에 다음강으로 넘어가기가 약간 두려워집니다. 만약 필요한 회차의 강의만 독립적으로 복습하고싶다면,가능할까요? 누적되는 내용들이 연결되있어서 지금은 불가능해보이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