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수업질문] line-height 값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line-height 부분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수업에서는 PX의 값을 사용하였는데 혹시 %로 작업할 수 있는 방법은 없는것일까요? 피그마에서는 원래 어쩔 수 없는 사항일까요?폰트 종류마다 leading 값이 제각각이라 어떤건 같은 사이즈인 24 이더라도 line-height 값을 26을 주면 다른 결과물이 나오더라고요 퍼블리셔 분께서 line-height: 1.5; 와 같은 값으로 하면 폰트에 상관없이 균등하다고 하시는데 저 값을 입력하면 PX로 인식을 해서 안되던데 방법이 없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AI 시대의 혁신적인 게임 개발 입문 with Unity6
30강, circlecollider의 radius 크기 설정 원리가 궁금합니다
30강에서 과일의 Collider2D radius 설정과 관련하여 아래와 같이 질문합니다. 과일들의 크기가 다른 데 같은 radius를 적용해서 모든 과일이 서로 접하도록 설정하는 원리현재 radisu 값을 3.4로 설정하였는데, 이 값을 디자인 단계에서 어떻게 산출하는 방법
-
미해결일본 사업 핵심만 쏙쏙, 주요 일본 사업 Q&A 해설
일본 사업 강의를 들으며 궁금하신 점 없으셨나요?
과제를 하거나 강의를 보면서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면, 커뮤니티에 문의 해 주세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2에서 분류모델을 쓰는 이유
보통 분류를 쓸지 회귀를 쓸지 정할때 문제를 보고 평가지표를 통해서 판단을 했는데, 주어진 평가지표가 없기도 하고 타겟이 확률이라 연속형이라 생각해 회귀로 진행했는데 분류모델로 진행하는 문제였네요 평가지표를 안준다면 분류와 회귀중 어떤것을, 그리고 평가지표 하나를 어떻게 선택하는게 맞을까요?
-
미해결
전자책 출판 문의
안녕하세요 선생님전자책 출판 관련해서는 어떻게 도와주시는지 절차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아날로그 회로설계 실무 : Analog IP 설계와 성능 개선하기
LDO 버퍼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현재 LDO 설계 과정에서 버퍼로 사용하는 소스팔로워 부분에 대해서 깊게 공부를 진행중입니다.현재 제가 첨부한 사진은 push-pull 동작을 이용한 버퍼입니다. 버퍼는 두개의 독립적인 피드백 회로를 통해 출력 전압을 조절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당 버퍼를 분석하는 도중 Vin인 VEA가 변함에 따라서 Vout인 VG가 따라가는 형태를 보이지 않는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예를 들어 PU 루프의 경우 VEA가 증가할 경우 ID1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M3의 소스 전류가 감소하게 되어 공통 게이트인 M3의 드레인 전류도 같이 감소하게 됩니다.이후 M3의 드레인 전류가 감소함에 따라 M4의 게이트 전압이 상승하여 M4의 드레인 전류가 줄어들게 되고 이에 따라 VG가 감소하게 되는 결과를 초래하게 됩니다.PD 루프의 경우에는 VEA가 증가함에 따라 ID1이 감소하게 되고 이에 따라 M2의 게이트 전압이 감소하게 되고 M2의 드레인 전류가 감소하면서 오히려 VG를 상승시키는 쪽으로 동작하게 됩니다. 이렇게 해석한 것이 정확한 것인지 궁금하고 정확하다면 소스팔로워로서 잘 동작하는지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
-
해결됨제미니의 개발실무 - 커머스 백엔드 기본편
찜 기능에서 의문점
찜한 목록 조회나 찜하기 등에서 궁금한 점이 생겼는데요. 찜한 목록 자체가 찜한 상품 목록일텐데 그렇다면 찜 목록 조회 시 찜한 "상품" 데이터 목록을 응답해주어야 하는게 아닌가요? 상품의 아이디만 반환해주고 클라이언트에서는 해당 상품 id 목록으로 상품 목록을 재 조회하는 등의 방식으로 설계하신건지... 궁금합니다. 또 찜하기에서는 상품이 실제 존재하는 상품인지에 대한 검증이 없는 것 같은데 이 내용은 상품의 개념이기에 표현되지 않은 것일까요? 실제 존재하는 상품에 대해서만 찜하기가 가능하다. 라는 내용또한 개념으로 작용할 수 있는 것일까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취업 전략 가이드
신입 문이 서버가 높나요? 지금도 유효하다고 생각하시나요?
지금 (25년 11월) 기준으로 클라 공고는 거의 없고 서버 신입 공고가 오히려 더 보이는 것 같은데요, 취직하신 분들 포트폴리오나 실력적인 측면에서도 클라 취업하신 분들이 더 높다고 느껴집니다. 취준생 입장인 제 착각인가요?아니면 시대가 변해서 클라가 이전만큼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추세가 변한 것인가요?
-
미해결수익형 AI Agent n8n 전문가 강의, 블로그·쇼츠 자동화
4강 Portainer 설치후 관리자 페이지 들어가서 클릭하면 down되네요
설치후에 Portainer 설치하고 들어가서 위 local부분 클릭하면 up으로 되있는게 바로 down으로 바뀌면서 아래와 같이 에러가 발생하면서 들어가질 못합니다. 서버자체를 다시 인스톨하고 새로설치해도 같은 문제가 발생합니다. 머가 문제일까요..ㅜ,ㅜ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2 강의 질문
y_train = train.pop("income") 선생님 따라서 이렇게 했는데 저는 밑처럼 오류가 나오더라구요ㅠ 원인이 무엇일까요 --------------------------------------------------------------------------- Key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usr/local/lib/python3.12/dist-packages/pandas/core/indexes/base.py in get_loc(self, key) 3804 try: -> 3805 return self._engine.get_loc(casted_key) 3806 except KeyError as err: index.pyx in pandas._libs.index.IndexEngine.get_loc() index.pyx in pandas._libs.index.IndexEngine.get_loc() pandas/_libs/hashtable_class_helper.pxi in pandas._libs.hashtable.PyObjectHashTable.get_item() pandas/_libs/hashtable_class_helper.pxi in pandas._libs.hashtable.PyObjectHashTable.get_item() KeyError: 'income' The above exception was the direct cause of the following exception: Key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4 frames /usr/local/lib/python3.12/dist-packages/pandas/core/indexes/base.py in get_loc(self, key) 3810 ): 3811 raise InvalidIndexError(key) -> 3812 raise KeyError(key) from err 3813 except TypeError: 3814 # If we have a listlike key, _check_indexing_error will raise KeyError: 'income'
-
해결됨원클릭으로 AI가 생성해주는 Youtube 쇼츠 만들기 자동화(with n8n)
Basic LLM chain 실행시 오류발생
5:34초에 나온것과 같이 Execute step을 눌렀을때 해당 오류가 발생합니다. 진행이 안되는데 어떻게 하죠?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수업할때 레퍼런스로 사용하는 도서는 어떤 도서인가요??
수업도중에 책을 넘기는 소리가 나는데 혹시 보고 계신 책은 어떤책인지 알수있을까요???
-
미해결[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판다스 질문
안녕하세요강의 듣고 있는데 왕초보라 그런지.. 많이 생소하네요..ㅠ일단 한번 쭉~~~ 듣는 것이 나은 걸까요?판다스 강의 관련 질문드립니다1. 판다스에서 시리즈 만들 때 예를 들어 비빔밥, 김치찌개, 된장찌개 했으을 때, 저는맨 위에 열부분에 0이 안나오는데 상관 없나요?2. 데이터프레임 만들 때 딕셔너리값 넣을 때 들여쓰기랑 마지막줄에 })할때는 들여쓰기없이 바로 적던데 이런것들,,, 즉 들여쓰기하고 안하고 이런것도 맞춰야하는 건가요?3. 판다스에서 시리즈 데이터프레임만들고마지막 줄에 menu, price, df 도출할때print(menu), print(price)~ 처럼 print 안적어도되나요?시험장에서도 그냥 df만 적어도 실행되나요?4. df ['메뉴']랑 df[['메뉴']]가 보기에는 같은데 뭐가 다른가요?5. 항목종류, 항목별 개수 ~.value_counts할때는 print를 꼭 써야하나요?6. 인덱싱 행(가로)을 하면,, 열의 형식(세로)로 나오는건가요?7. 컬럼 추가할 때는 df['할인가'] = df['가격'] * (1-discount) 이렇게 했던 것 같은데...행 추가할때는 df.loc~~ 를 사용하는건가요? 행 추가할때 딕셔너리, loc말고 그냥 리스트 추가할때 loc안쓰고 df['~~~']= ['라떼,'아메리카노','쥬스'] 해도되나요?8. # 이벤트가 전체 1000으로 변경df.loc[1:2, '이벤트가'] = 1000df.head()여기서 1:2가 인덱스1, 인덱스2가 선택되던데,, 1:3 이렇게 적는건 아닌가요?맨 마지막은 포함안되는 것 같아서요 두서없이 질문드려 죄송합니다..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1 강의 질문
1. 작업형1모의문제 3에서print(df['f3'].sum()) 이렇게 했더니133말고 뒤에 나오는 문장은 무슨 뜻인가요?133/tmp/ipython-input-831591789.py:13: FutureWarning: Downcasting behavior in replace is deprecated and will be removed in a future version. To retain the old behavior, explicitly call result.infer_objects(copy=False). To opt-in to the future behavior, set pd.set_option('future.no_silent_downcasting', True)df['f3'] = df['f3'].replace('vip',3) 2. df.head() 와 diplay(df.head())는 다른건가요? 3. 작업형 1 모의3 9번 문제에서df = df.groupby('month').count()df.sort_values('subscribed').index[0]하니까 저는np.int32(11) 이렇게 나오는데11앞에 이건 왜 나오는거죠? 4. 빅분기 시험 환경에서시프트 엔터 누르니까 밑에 한줄이 생성되던데.. 실행버튼을 마우스로 누르는 방법 뿐인가요? 5. 작업형1모의고사 3번 문제에서(복사가 안되네요ㅠ)실행결과값에서>smoothness error밑에 행이랑 컬럼이 쭉~~ 더 나오는데 저는 왜 이런것들이 나오는거죠?ㅠ 감사합니다
-
해결됨제미니의 개발실무 - 커머스 백엔드 기본편
주문 - 개념 격벽 의존 방향과 실제 코드의 의존 방향 불일치 질문
안녕하세요!~! 이건 주문 뿐 아니라 다양한 개념에서도 할 수 있는 질문인 것 같은데요~! OrderController 에서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cartService 를 알고 의존하고 있는데 (개념격벽에서는 차단), 개념간 격벽의 관점에서 OrderController는 order 에 관한 개념이 아닌 것인지 궁금합니다.Controller 단계에서 여러 Service를 조합하는 코드 스타일로 작성하셨다고 했는데, 만약 Controller 에서는 깔끔한 하나의 OrderFacade(?) 의 메서드만 호출하고 Facade 안에서 여러 서비스를 조합해 기능을 수행한다고 했을 때, 이 OrderFacade 는 Order 개념으로 치지 않는 것인지도 궁금해용.NewOrder 는 Cart 에서 cart.toNewOrder() 로 바로 만들고 있잖아요?결론적으로 Cart 가 Order 를 의존하는 방향이 되어 버리는데 혹시 Cart 가 Order 를 의존하는 것을 의도하신 것인지 궁금합니다.개념 정리 강의에서 그려주신 그림을 보면Product <-- OrderProduct <-- Cart이렇게 Product 에 Order 와 Cart 가 의존하고 있는 모습인데, 위에 제가 말씀드린 로직에서는Order <-- Cart의존 화살표도 추가해야 맞을 것 같은데 혹시 제가 잘못 이해한 것인지 궁금합니다..!추가로, Product <-- OrderProduct <-- Cart이 의존 방향을 그대로 지키려면,,cart.toProductWithQuantitys() 로 카트를 프로덕트로 변환 후에NewOrder.fromProductWithQuantitys() 로 프로덕트를 오더로 생성하는 것이 의존 방향이 깔끔하게 맞지 않나 생각이 들어용, 혹시 이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제 생각에는,, 이렇게 복잡해질 바에야 Order 에서 Product 와 함께 Cart도 같이 알고 있는 것이 좀 더 간단해지지 않을까 하네용.. (지금 코드 처럼) 현업에서 기존 짜파게티 코드 위에서 개발하다 보니,, 의존 방향에 크게 신경쓰지 않고 직관으로만 개발해왔는데요,, (from~~() , to~~() 남발..ㅎㅎ)제미니님 강의를 들으면서 안일하게 생각하고 있던 부분을 다시 한 번 생각해보게 된 것 같습니다.항상 감사해요~~
-
해결됨고도 엔진(Godot Engine)을 통한 게임 개발 박치기!! - 기본 개념부터 실전 게임 제작까지 한방에!
66강. INPUT 관리
INPUT 관련 메서드 사용 부분에서 Player.gd 스크립트에서 Player 이동는 매번 상태체크 해야하기때문에 그대로 변경없이, 하신건지? 부스터 , 유도탄 발사는 가끔씩 이벤트 발생해서 _Input () 를 _unhandle_Input () 으로 변경했는지 궁금하네요..실제 사용예시를 알려주실려고 변경하셨는지 궁금하네요..
-
해결됨우리 엄마도 할 수 있는 머신러닝 (기초이론)
안녕하세요. 강의 교안 요청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따로 강의교안 다운로드 버튼이 안보여서강의 교안 요청드립니다smathj@naver.com 입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빅분기 실기 시험환경에 대한 질문입니다.
체험 사이트에서 문제풀이를 하고 답변제출로 넘어갈때 답안을 재확인 하려고 문제풀이로 다시가면 코드가 지워져있는데 실제 시험환경도 이런가요?
-
해결됨제미니의 개발실무 - 커머스 백엔드 기본편
컬렉션 조회에서의 데이터 조립
상품 목록 조회하는 부분이 지금은 응답과 테이블까지 필드가 모두 같은 형태라 간단한 것 같은데, 함께 보여줘야 할 데이터가 더 많은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하시나요?예를 들어 상품 카드위에 세일 정보가 있을 수도 있고, 해당 상품이 현재까지 팔린 갯수를 카드 위에 표시해야 할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아래는 제가 생각해본 방안입니다.서비스 컬렉션 조회 함수에서 함께 조립단점: 단일 객체가 아닌 컬렉션이기에 데이터 매핑과 조립을 위한 로직이 굉장히 길어질 수 있다. (비즈니스 로직이 아닌 느낌), 또한 개념객체를 반환하는 것이 아닌 조립된 객체를 반환하기에 화면에 표시되어야 할 부가 데이터가 변할때마다 매번 다른 객체를 만들고 반환해주어야 한다.컨트롤러에서 각각 조회 후 조립단점: 컨트롤러에서 조회 후 조립을 한다면 ~ Service 등 부가 데이터를 조회하기 위한 함수가 있을 것이고, 이 함수 또한 반환하는 객체가 있을 것인데 그럼 이때 부가 데이터를 담고 반환하는 객체 또한 개념 객체로 생각해야 할까? (화면 구성에 따라 달라지는 데이터인데 내부 개념으로 정의해도 맞는 것일까?), 개념 객체가 아니라면, Service 레이어에 위치해도 되는 것일까?적다보니 굉장히 길어진 느낌이네요... 강사님은 어떤 생각이신지 궁금합니다!긴 글 읽어주셔셔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멀티 모듈이 아닌 MSA 환경에서 common
지금은 멀티 모듈로 프로젝트를 설정해서 common이라는 공통 모듈로 분리해도 문제가 없을 것 같은데, 정말 개발 환경이 달라지면 어떻게 진행이 되나요?예를 들어, board는 java, comment는 python으로 개발이 된다고 하면, board와 comment에 사용될 common을 팀끼리 약속을 해두고 각각 서버에 구현을 해서 사용하게 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