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작업1 강의 질문
해결된 질문
작성
·
20
·
수정됨
0
1. 작업형1모의문제 3에서
print(df['f3'].sum()) 이렇게 했더니
133말고 뒤에 나오는 문장은 무슨 뜻인가요?
133
/tmp/ipython-input-831591789.py:13: FutureWarning: Downcasting behavior in replace is deprecated and will be removed in a future version. To retain the old behavior, explicitly call result.infer_objects(copy=False). To opt-in to the future behavior, set pd.set_option('future.no_silent_downcasting', True)
df['f3'] = df['f3'].replace('vip',3)
2. df.head() 와 diplay(df.head())는 다른건가요?
3. 작업형 1 모의3 9번 문제에서
df = df.groupby('month').count()
df.sort_values('subscribed').index[0]
하니까 저는
np.int32(11) 이렇게 나오는데
11앞에 이건 왜 나오는거죠?
4. 빅분기 시험 환경에서
시프트 엔터 누르니까 밑에 한줄이 생성되던데.. 실행버튼을 마우스로 누르는 방법 뿐인가요?
5. 작업형1모의고사 3번 문제에서
(복사가 안되네요ㅠ)
실행결과값에서
>smoothness error
밑에 행이랑 컬럼이 쭉~~ 더 나오는데 저는 왜 이런것들이 나오는거죠?ㅠ
감사합니다
답변 2
0
궁금한점이 많이 생겼네요!! 열심히 하고 계신 것 같습니다.
응원합니다:)
1. FutureWarning 은 무시해도 됩니다. 미래 버전업이 되면 문제가 될 수 있다라는 것인데 신경쓰지 마세요! (시험환경 FutureWarning도 무시해도 됨)
2. diplay() 는 코랩에서만 동작하고 시험환경에서는 사용할 수 없네요
3. 파이썬, 판다스 버전이 달라지면서 print()를 붙이지 않으면 자료형이 출력되고 있습니다.
이것도 무시해도 됩니다.
4. 네 단축키 없어요. ㅠㅠ 실행은 마우스로!
5. 어떤 상황인지 정확히 모르겠는데 캡쳐 한번 해주시겠어요?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합격님이 제기한 여러 질문들에 대해 하나씩 답변드리겠습니다.
- FutureWarning에 대한 이해
질문에서 발생한 “FutureWarning”은 pandas에서 특정 기능이 향후 버전에서 변경될 수 있음을 알려주는 경고 메시지입니다. replace 메서드를 사용할 때, 데이터의 타입을 변환하면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경고로, 현재 코드 실행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무시하셔도 괜찮습니다. 하지만, 향후 버전에서 동작이 변경될 수 있으니 신경 쓰시는 것이 좋습니다.
- df.head()와 display(df.head())의 차이
두 방식 모두 데이터프레임의 앞부분을 출력하지만, display() 함수는 IPython에서 시각적으로 더 보기 좋게 출력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특별히 시각적으로 다르게 보이기를 원하지 않으면 큰 차이가 없습니다.
- np.int32와 출력 형태
np.int32(11) 과 같은 출력은 numpy의 자료형을 사용했기 때문에 나타나는 것입니다. 이는 정수 자료형이 numpy의 32비트 정수로 표현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결과적으로 계산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 시험 환경에서 Shift + Enter로 줄 생성
일반적으로 Jupyter Notebook을 사용할 때, Shift + Enter를 누르면 셀이 실행되고 다음 셀로 이동합니다. 하지만 만약 Enter 키 뿐이라면, Enter는 줄바꿈의 역활만 하게 됩니다. 실행은 마우스로도 가능합니다.
- 실행결과에서 불필요한 행과 열 출력 문제
실행 결과에 많은 열이나 행이 나타나는 것은 출력의 범위를 설정하지 않아서일 수 있습니다. 보통 pd.set_option('display.max_columns', None) 과 같은 옵션을 설정해 필요에 맞게 보이는 열의 수를 조절 할 수 있습니다.
각 항목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아래 링크를 참조하세요:
- Python에서 FutureWarning에 대한 Handling 방법
- display()와 print() 함수의 차이점
- numpy의 자료형에 대한 설명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