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마지막 관문에 대한 궁금증
마지막 관문의 요구사항을 한번에 다 수행하면 좋겠지만 시간 관계상 하루에 다 못하거나 이것저것 헤매다보면 시간을 하루만에 다 못 끝낼수도 있을 거 같은데 그럴 경우ec2,rds,https,s3,cloudFront등 서비스의 요금이 어떻게 부과될까요?? 각 서비스 생성 후 사용을해야 부과가 되는건지 아니면 그냥 시간만 지나도 부과가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다른 질문 답변에서 보았던 내용중 cloudFront를 사용하면 ELB를 안써도 된다는 답변을 보았는데 이유가 무엇일까요? cloudFront는 cdn의 기능을 하는 서비스이고ELB는 로드밸런서의 기능을 하는 서비스인데단순 정적 웹사이트만 배포하는게 아닌 백엔드까지 배포하게되면 ELB도 연결을 해야되는게 아닌가요?
-
미해결카카오,구글 SNS 로그인(springboot3, vue3)
github 주소 어디서 확인가능한가요?
소스코드 올라온 github 주소 어디서 확인이 가능할까요?
-
해결됨Spring Boot TDD - 입문부터 실전까지 정확하게
assertThat 상태 코드 비교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구체적으로 적을수록 좋아요!마크다운과 단축키를 활용하면 글을 더 편하게 작성할 수 있어요.커뮤니티 질문 & 답변에 비슷한 내용이 있었는지 먼저 검색해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분위기를 함께 만들어가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 주세요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실무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강의 내용과는 조금 거리가 있는 질문일수도 있겠으나 궁금해져서 여쭤봅니다. assertThat으로 응답코드 검증 시 getStatusCode().value() 와 200으로 직접 코드값을 검증하시는 이유가 있을까요? getStatusCode() 와 HttpStatus.OK 로 enum 타입 검사가 의도가 명확하지 않나? 라는 의문이 들어서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 건지 궁금해서 질문 남겨봅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자바관련 5:02에서 질문입니다.
0~4까지 5번 돈다고 하셨는데요. tempArr 배열 삽입과정에서 왜 0~3까지만 이 과정을 반복하고 4는 왜 빠졌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AI 에이전트로 구현하는 RAG 시스템(w. LangGraph)
similarity_search 후 왜 다시 LLM을 통해 grade를 측정 하나요?
안녕하세요.Self RAG 에이전트 구현하기 강좌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중간 중간에 결과 평가하는 것 중 검색된 문서와 질문에 대한 관련성을 평가하는 부분이 있는데요, 검색 자체를 embedding된 vector에서 similarity search를 하여 뽑아 낸 것들이고, 이 방식 자체가 질문과 유사한 문서를 뽑아 내는 기술인데 굳이 LLM으로 하여 다시 평가를 하게 하는 이유는 뭘까요? 벡터 embedding 과 유사도 검색에 대한 기술이 LLM에 맏기는 것 보다 유사도 검색에 있어 더 정확해야 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어서요. LLM이 하는 유사도 평가가 더 정확하다면 굳이 벡터 embedding 같은 기술을 쓸 필요가 있을까 싶어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강의에서 사용하는 pdf or ppt자료는 따로 없는 건가요?
강의에서 사용하는 pdf or ppt자료는 따로 없는 건가요?
-
해결됨[입문] 인디해커를 위한 루비온레일즈 8 입문 강의
rbenv 는 윈도우용은 없나요?
rbenv 설치는 mac용만 설명하시고 윈도우는 따로 설명을 안하셨는데 윈도우에서 설치도 가능한가요?
-
미해결코틀린 고급편
val 키워드도 setValue가 있나요?
by lazy 위임 프로퍼티 강의에서 by 키워드를 사용하려면 getValue 함수와 setValue 함수가 필요하다고 하셨는데 val 키워드로 변수 선언 시 setValue가 존재할수 없지 않나요? var 키워드 -> getValue(),setValue()val 키워드 -> getValue()로 by 키워드를 사용할 수 있는것같아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인프런 클론코딩 Part 1: Next.js와 NestJS로 시작하는 실전 프로젝트
[auth][error] JWTSessionError: Read more at...
강의25. [BE] 백엔드 Auth Guard 구현 시작. Auth Guard로 유저 아이디 가져오는 부분 작업타임라인 19:55여기까지는 정상적으로 진행됩니다.쿠키에서 "authjs.session-token" 확인이 가능합니다. import NextAuth from "next-auth"; import { PrismaAdapter } from "@auth/prisma-adapter"; import { prisma } from "@/prisma"; import CredentialsProvider from "next-auth/providers/credentials"; import { comparePassword } from "@/lib/password-utils"; import * as jwt from "jsonwebtoken"; import { JWT } from "next-auth/jwt"; export const { handlers, auth, signIn, signOut } = NextAuth({ useSecureCookies: process.env.NODE_ENV === "production", trustHost: true, adapter: PrismaAdapter(prisma), secret: process.env.AUTH_SECRET, providers: [ CredentialsProvider({ name: "credentials", credentials: { email: { label: "이메일", type: "email", placeholder: "이메일 입력", }, password: { label: "비밀번호", type: "password", }, }, async authorize(credentials) { // 1. 모든 값들이 정상적으로 들어왔는가? if (!credentials || !credentials.email || !credentials.password) { throw new Error("이메일과 비밀번호를 입력해주세요."); } // 2. DB에서 유저를 찾기 const user = await prisma.user.findUnique({ where: { email: credentials.email as string, }, }); if (!user) { throw new Error("존재하지 않는 이메일입니다."); } // 3. 비밀번호 일치 여부 확인 const passwordMatch = comparePassword( credentials.password as string, user.hashedPassword as string ); if (!passwordMatch) { throw new Error("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 return user; }, }), ], session: { strategy: "jwt", }, jwt: { encode: async ({ token, secret }) => { return jwt.sign(token as jwt.JwtPayload, secret as string); }, decode: async ({ token, secret }) => { return jwt.verify(token as string, secret as string) as JWT; }, }, pages: {}, callbacks: {}, }); FE 추가분/frontend/auth.ts// ... 중략 import * as jwt from "jsonwebtoken"; import { JWT } from "next-auth/jwt"; export const { handlers, auth, signIn, signOut } = NextAuth({ // ...중략 jwt: { encode: async ({ token, secret }) => { return jwt.sign(token as jwt.JwtPayload, secret as string); }, decode: async ({ token, secret }) => { return jwt.verify(token as string, secret as string) as JWT; }, }, // ... 중략 }) pnpm add jsonwebtoken pnpm add -D @types/jsonwebtoken GET /api/auth/csrf 200 in 47ms POST /api/auth/callback/credentials? 200 in 114ms[auth][error] JWTSessionError: Read more at https://errors.authjs.dev#jwtsessionerror[auth][cause]: Error: The edge runtime does not support Node.js 'crypto' module. Learn More: https://nextjs.org/docs/messages/node-module-in-edge-runtime at Object.get (C:\Users\svx32\OneDrive\바탕 화면\v5\frontend\.next\server\edge\chunks\_6e5868ec._.js:62:41) at C:\Users\svx32\OneDrive\바탕 화면\v5\frontend\.next\server\edge\chunks\node_modules__pnpm_d2b00409._.js:8647:62 at getSecret (C:\Users\svx32\OneDrive\바탕 화면\v5\frontend\.next\server\edge\chunks\node_modules__pnpm_d2b00409._.js:8630:20) at push.[project]/node_modules/.pnpm/jsonwebtoken@9.0.2/node_modules/jsonwebtoken/verify.js [middleware-edge] (ecmascript).module.exports (C:\Users\svx32\OneDrive\바 탕 화면\v5\frontend\.next\server\edge\chunks\node_modules__pnpm_d2b00409._.js:8633:12) at Object.decode (C:\Users\svx32\OneDrive\바탕 화면\v5\frontend\.next\server\edge\chunks\[root-of-the-server]__273b5c62._.js:137:233) at session (C:\Users\svx32\OneDrive\바탕 화면\v5\frontend\.next\server\edge\chunks\fdcd2_@auth_core_ec592ae5._.js:4516:39) at AuthInternal (C:\Users\svx32\OneDrive\바탕 화면\v5\frontend\.next\server\edge\chunks\fdcd2_@auth_core_ec592ae5._.js:5123:269) at async Auth (C:\Users\svx32\OneDrive\바탕 화면\v5\frontend\.next\server\edge\chunks\fdcd2_@auth_core_ec592ae5._.js:5379:34) at async handleAuth (C:\Users\svx32\OneDrive\바탕 화면\v5\frontend\.next\server\edge\chunks\node_modules__pnpm_d2b00409._.js:3913:29) at async C:\Users\svx32\OneDrive\바탕 화면\v5\frontend\.next\server\edge\chunks\_6e5868ec._.js:12505:20[auth][details]: {} GET / 200 in 62ms--- 이 오류 메시지는 애플리케이션이 Edge Runtime 환경에서 Node.js의 crypto 모듈을 사용하려고 시도할 때 발생하는 JWTSessionError 입니다. 오류 상세 설명 JWTSessionError: 이는 JWT(JSON Web Token) 세션 관리 중에 문제가 발생했음을 나타냅니다. JWT는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사용자 세션을 처리하는 일반적인 방법입니다.The edge runtime does not support Node.js 'crypto' module.: 이 부분이 핵심 문제입니다. Edge Runtime (예: Next.js Edge Functions 또는 Middleware)은 빠르고 가볍게 설계된 환경입니다. 따라서 모든 Node.js API를 지원하지 않으며, 특히 암호화, 해싱, 디지털 서명 등에 사용되는 crypto 모듈을 포함하지 않습니다. JWT 작업은 이 crypto 모듈에 크게 의존합니다.스택 트레이스 분석: 오류 스택 트레이스를 보면 jsonwebtoken 패키지(특히 verify 작업 중)에서 crypto 모듈에 접근하려고 시도하며, 이 과정이 @auth/core(일반적으로 Auth.js 라이브러리)에서 호출됩니다. 이는 JWT 유효성 검사 프로세스가 crypto 모듈의 부재로 인해 실패하고 있음을 명확히 보여줍니다.간단히 말해, 애플리케이션이 Edge Runtime이라는 제한된 서버리스 환경에서 JWT 유효성 검사(보안 관련 작업)를 수행하려고 하지만, 이 환경에는 해당 작업을 위한 필수 도구(crypto 모듈)가 없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해결 방법 (일반적인 접근)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주로 다음 방법들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JWT 관련 작업을 Edge Runtime 외부로 이동: JWT 유효성 검사와 같이 crypto 모듈이 필요한 작업은 Edge Runtime이 아닌 일반적인 Node.js 서버 환경(예: Next.js의 표준 API 라우트)에서 수행하도록 변경해야 합니다.인증 라이브러리 설정 변경: 사용하고 있는 인증 라이브러리(Auth.js)의 세션 전략을 변경하여 Edge Runtime 컨텍스트에서 crypto 모듈에 의존하지 않도록 구성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JWT 기반 세션 대신 데이터베이스 세션과 같은 다른 세션 관리 방식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AUTH_SECRET 확인: 직접적인 원인은 아니지만, AUTH_SECRET 환경 변수가 올바르게 설정되어 있고, 사용 중인 환경에 맞게 JWT를 안전하게 처리하는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어떻게 해결해야하나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과제를 위한 초기세팅
안녕하세요 과제를 하나씩 만들고있는데 4일차 과제인 api만들기를 하려고합니다! 그전까지는위처럼 기존 강의 초기세팅 된곳에 hw폴더를 만들어서 하고있는데 이렇게 말고 강의초반에 배운대로 spring.io에서 초기세팅을 새로해서 과제를 위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새로 만들고싶은데요..! 혹시 현재 강의 초기세팅과 같이 하려면 어떻게해야될지 알려주실 수 있으신가요? 1~2강 초기세팅 강의에서 spring.io로 처음부터 만드는걸 배울때 자바나 스프링부트 버전설정이런건 설명이 있었는데 그다음 의존성 이런건 나중에 설명이 나온다했던거같아서 정확히 모르겠습니다.강의에 혹시 있다면 어디를 참고하면 될지만이라도 알려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해결됨빅데이터분석기사 필기 올인원: 3주에 끝내는 완벽 대비
데이터곤련 직무 기출변형문제 질문
데이터 관련 직무 문제에서관계형 데이터베이스 구조를 하둡 플랫폼으로 바꾸고, 그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 --> 데이터엔지니어가 정답인 듯 한데, 데이터 아키텍트의 경우도 유사한 업무를 수행 가능한게 아닌지요?
-
해결됨전동킥보드로 배우는 임베디드 실전 프로젝트
전류 제어 방식 vs 전압 제어 방식
안녕하세요, 제어 쟁이님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벅 컨버터 피드백 제어 방식에 전류 제어 방식과 전압 제어 방식이 있는데, 전류 제어 방식이 더 좋다고 설명해주셨습니다. 전류 제어 방식이 왜 전압 제어 방식보다 더 좋은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안녕하세요. 토비님! 도메인의 다양한 업데이트 요구사항을 Web API 계층에서 어떻게 다뤄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토비님. 강의를 들으며 많은 인사이트를 얻고 있습니다.강의를 완강한 후에도 내면적으로 정리되지 않은 부분이 있어 조심스럽게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생성과 관련된 설계는 강의에서 잘 이해가 되었지만, 업데이트(update)와 관련된 내용은 직접적으로 다뤄지지 않아 고민이 생겼습니다. 특히, 제 고민은 다음과 같습니다."도메인의 비즈니스 규칙이 Web API 설계에 어느 정도까지 직접적으로 드러나야 하는가?"현재 도메인 로직에서는 사용자의 여러 정보를 변경할 수 있는 비즈니스 규칙이 존재합니다. 예를 들어:비밀번호 변경 기타 세부정보 변경비즈니스적으로는 각각의 규칙이 잘 정의되어 있고, 각각의 변경 로직도 Member 객체 내에 명확히 메서드로 존재합니다.여기서, 이러한 비즈니스에 대해서 API에 어떻게 노출시켜야 하는가에 대해서 두 가지 선택지가 고려됩니다.1. 비즈니스 정의를 역할 별로 구성한다.POST /api/v1/members/{id}/change-password POST /api/v1/members/{id}/change-nickname생각이 나는 장단점은 다음과 같습니다.장점: 비즈니스에 따라 API를 관리하여 클라이언트가 이해하기 용이합니다.단점: 수정 가능한 필드가 많아질수록 API의 개수가 증가하며, 유지보수가 어려워질 수 있고, Restful 규칙에 위배됩니다.2. 하나의 update API로 통합한다.PATCH /api/v1/members/{id} { "password": "originalPassword123!", // nullable "detailRequest": { // nullable "email": "user@example.com", "nickname": "nickname123", "password": "newPassword456!" } }장점: API가 간결하여 확장이 용이하며, 클라이언트는 필요한 값만 상황에 따라 요청하면 됩니다.단점: API가 비즈니스 책임에 명확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결론적인 질문은 다음과 같이 정리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비즈니스 로직이 도메인 레이어에 잘 분리되어 있는 경우, API 계층에서도 분리하여 표현하는 것이 좋은가요?도메인의 역할만 명확하다면 API는 통합해서 update 형식으로 만들어도 괜찮은가요?만약, 후자로 처리를 한다면 어디서 처리를 하는게 좋아보이시나요?서비스 계층도메인 계층// MemberModifyService public void update(Long memberId, MemberUpdateRequest request) { Member member = memberFinder.find(memberId); if (request.password() != null) { member.changePassword(request.password()); } if (request.detailRequest() != null) { member.updateInfo(); } } -------- // MemberModifyService public void update(Long memberId, MemberUpdateRequest request) { Member member = memberFinder.find(memberId); member.update(request); } // Member public void update(MemberUpdateRequest request) { if (request.password() != null) { changePassword(request.password()); } if (request.detailRequest() != null) { updateInfo(); } }뭔가, 이런 고민이 계속 드는 이유가 외부 계층에 종속적이지 않고 도메인에 의존하여 개발을 하더라도 실제로 저희가 처한 상황은 대부분 WebAPI 계층에서의 요청이 많다보니 외부의 행위 또한 도메인에 종속되어야 하는가 하는 고민이 생긴 것 같습니다. 양질의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8:20 static 기출 질문드립니다.
문제에서 get()메소드가 static 메소드인데 static이 아닌 멤머 name값을 리턴해서 오류가 발생한다고 하셨습니다. 근데 main함수나 다른데서 get() 메소드를 실행하는 부분이 없는데도 오류가 발생하는건가요? 추가로 name 변수가 private static String name; 으로 선언된다면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건지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pdf
강의자료 pdf다운받아서 사용하려는데, 소유자 암호를 입력하지 않으면 이 문서를 저장할 권한이 없다는데 메모하면서 사용하고싶어서요. 비밀번호를 찾을수없는데 알수있을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try catch 출력질문
publicclassArithmeticExceptionExample { publicstaticvoidmain(String[] args) {try {intresult = 10 / 0; // 여기서 ArithmeticException 발생} catch(AritheticException e) {System.out.println("에러: 0으로 나눌 수 없습니다!");}catch (Exception e) { System.out.println("에러 발생"); }finally { System.out.println("이 블록은 항상 실행됩니다!");}질문25년 1회시험에 이런방식의 문제가 출체되었는데,, "에러발생" 출력이되어야 하나요? 아니면 생략되어야 하나요?
-
미해결Azure 기초 (AZ-900)
Azure Compute 실습 하는데 화면에 보이는 링크 전부 다른 페이지가 나옵니다.
강의와 다른 페이지가 나타납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검증 대기중
강의중에 도메인의 주인인지 확인하는 절차를 설명해 주시는 부분이 있는데그게 Route53에서 레코드 생성 버튼을 누르고 레코드를 생성하면 그 절차가 내부적으로 이루어지는건가요?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BBAsset 과 UseBlackboard(BBAsset, BlackBoardPtr) 를 작성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BBAsset 은 BTAsset 을 통해서 가져올 수 있는데, BBAsset 을 변수로 선언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또한 RunAI 함수에서 UseBlackboard 를 사용하셨는데, RunBehaviorTree 함수 내부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RunBehaviorTree 를 사용하기에 앞서 UseBlackboard 를 사용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질문있습니다.
저는 스프링 부트로 제 프로젝트를 인스턴스에 배포해 공부중입니다. 선생님 health check api는 app.js로 자바스크립트로 된것같은데 저는 제 스프링부트 프로젝트에 @RestController public class Health { @GetMapping("/health") public ResponseEntity health() {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OK).body("Success health check"); } } 이런식으로 추가하려고합니다. 이렇게 진행해도 똑같은건가요? 그리고 elb가 로드벨런서 역할도한다고하는데 실습중에 대상그룹을 설정할때 인스턴스가 2개있어야 로드벨런싱을 할수있는거아닌가요?실습에선 ec2 인스턴스가 하나만있으면 로드밸런싱을 못하고 그 하나의 인스턴스에만 트래픽이가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