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Cola님의 프로필 이미지
Cola

작성한 질문수

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최종 미션] 마지막 관문!

마지막 관문에 대한 궁금증

작성

·

43

0

  1. 마지막 관문의 요구사항을 한번에 다 수행하면 좋겠지만 시간 관계상 하루에 다 못하거나 이것저것 헤매다보면 시간을 하루만에 다 못 끝낼수도 있을 거 같은데 그럴 경우

ec2,rds,https,s3,cloudFront등 서비스의 요금이 어떻게 부과될까요?? 각 서비스 생성 후 사용을해야 부과가 되는건지 아니면 그냥 시간만 지나도 부과가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1. 다른 질문 답변에서 보았던 내용중 cloudFront를 사용하면 ELB를 안써도 된다는 답변을 보았는데 이유가 무엇일까요?
    cloudFront는 cdn의 기능을 하는 서비스이고
    ELB는 로드밸런서의 기능을 하는 서비스인데
    단순 정적 웹사이트만 배포하는게 아닌 백엔드까지 배포하게되면 ELB도 연결을 해야되는게 아닌가요?

     

답변 2

0

JSCODE 박재성님의 프로필 이미지
JSCODE 박재성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Cola님 ! 질문 너무 잘해 주셨구 완강 하신 것 축하드려요 ~~ 😄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 하나씩 답변드려 볼게요 ~

 

"ec2,rds,https,s3,cloudFront등 서비스의 요금이 어떻게 부과될까요?? 각 서비스 생성 후 사용을해야 부과가 되는건지 아니면 그냥 시간만 지나도 부과가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좋습니다! 정말 실무에서 꼭 짚고 넘어가야 할 현실적인 질문이에요 !!

AWS의 과금 기준은 "사용 여부와 관계없이 '생성된 자원'이 있는 시간" 기준이에요 ~

즉, "안 써도 살아있기만 하면 요금 발생" 해요!

EC2와 RDS의 경우, 인스턴스가 실행 중(running) 상태일 때 시간당 과금 발생이 발생하며,

중지(stopped)일 때 역시 소규모의 과금이 발생해요 !

ELB의 경우에는 생성되어 있기만해도 시간당 과금이 발생해요 !!

S3와 CloudFront의 경우 저장된 파일 용량 및 데이터 전송량에 따라 과금이 발생합니다 !

해당 실습의 S3와 CloudFront의 경우 큰 문제가 없다면 500원 이하의 과금이 나올거라 예상되네요 :)

아래 링크는 과금 관련 AWS 공식문서 링크인데 참고하시면 좋을것 같아 같이 첨부드려요 ~~

https://aws.amazon.com/ko/ec2/pricing/on-demand/

https://docs.aws.amazon.com/ko_kr/whitepapers/latest/how-aws-pricing-works/amazon-rds.html

https://docs.aws.amazon.com/ko_kr/AmazonCloudFront/latest/DeveloperGuide/billing-and-usage-interpreting.html

https://aws.amazon.com/ko/s3/pricing/

https://aws.amazon.com/ko/elasticloadbalancing/pricing/

 

" cloudFront를 사용하면 ELB를 안써도 된다는 답변을 보았는데 이유가 무엇일까요?"

-> 우선 해당 강의에서 ELB는 SSL(TLS) 처리 즉 https를 위해 사용했었어요 ~

그래서 https를 적용을 위해 ELB를 사용해서 "클라이언트 -> ELB -> EC2 " 구조를 만들었죠 !

하지만 cloudFront 역시 https를 적용할수 있으며, ELB대신 cloudFront를 사용해서

"클라이언트 -> cloudFront -> EC2"구조를 만들수 있어서

cloudFront를 사용하면 ELB를 안써도 되는 거에요 :)

 

"cloudFront는 cdn의 기능을 하는 서비스이고 ELB는 로드밸런서의 기능을 하는 서비스인데 단순 정적 웹사이트만 배포하는게 아닌 백엔드까지 배포하게되면 ELB도 연결을 해야되는게 아닌가요? "

-> 네 맞습니다 !! 단순 정적 웹사이트만 배포하는게 아닌

백엔드까지 배포하기 위해서는 ELB도 연결을 해야합니다 ~

이해하기 쉽게 말씀드리자면,

html 혹은 리액트와 같은 프론트엔드 서버의 경우 CloudFront가 사용되고,

백엔드 API 서버의 경우 ELB가 사용된다고 이해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혹시라도 추가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로 남겨주세요~~~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Cola님.

AWS 요금에 대한 이해와 CloudFront 및 ELB 사용에 관해 궁금해하시는 점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1. AWS 서비스 요금 부과 조건:
    • EC2와 RDS: 이들 서비스는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실행할 때 시간당 요금이 부과됩니다. 일시적으로라도 인스턴스를 실행하셨다면 그 시간에 대한 비용이 청구됩니다.
    • S3와 CloudFront: S3는 저장 용량 사용량, 요청 수, 데이터를 전송할 때의 트래픽으로 요금이 부과됩니다. CloudFront는 데이터 요청, 전송된 데이터의 양에 따라 비용이 청구됩니다. 하루 종일 사용하지 않아도 데이터가 저장되거나 전송되는 동안에는 비용이 발생합니다.

각 서비스 요금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AWS Pricing Calculator를 사용하여 예상 비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CloudFront 사용 시 ELB 생략 가능 여부:
    • CloudFront는 주로 CDN 기능을 제공하며, 정적 콘텐츠를 전송할 때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ELB는 여러 서버에 부하를 균등하게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지만, 모든 요청을 다 핸들링할 필요가 없는 정적 콘텐츠라면 CloudFront를 통해 직접 전송할 수 있기 때문에 ELB가 없어도 됩니다.
    • 백엔드까지 배포할 경우, ELB를 통해 여러 인스턴스에 로드 밸런싱을 설정하여 가용성과 확장성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하므로, CloudFront만으로는 이러한 기능을 대체하기 어렵습니다.

관련된 AWS 요금 및 기능 차이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하시려면, 관련 자료나 강의의 추가 세션에서 다루어지는 내용을 참고하시길 권장드립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Cola님의 프로필 이미지
Cola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