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56
·
수정됨
0
BBAsset 은 BTAsset 을 통해서 가져올 수 있는데, BBAsset 을 변수로 선언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또한
RunAI 함수에서 UseBlackboard 를 사용하셨는데, RunBehaviorTree 함수 내부에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RunBehaviorTree 를 사용하기에 앞서 UseBlackboard 를 사용하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답변 2
1
안녕하세요.
학습을 위해서 두 개가 필요함을 설명하기 위해서 선언한 것도 있는데, 가장 큰 것은 블랙보드의 값 초기화를 한 후 실행함을 명시적으로 지정하기 위해 미리 설정했다고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1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Bori님.
질문해 주신 내용에 대해 기존 Q&A 포럼에서 유사한 답변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언리얼 엔진에서 Behavior Tree와 Blackboard를 사용하는 원리에 대해 궁금하신 것 같습니다. 아래는 관련 게시물입니다.
언리얼 엔진의 Behavior Tree와 블랙보드 사용 원리
블랙보드(Blackboard)는 주로 AI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는 Behavior Tree와 연관됩니다. 블랙보드를 명시적으로 설정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며, 사용 맥락에 따라 적절히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BBAsset
를 변수로 선언하는 이유는 재사용성을 증가시키기 위함입니다. 직접 BTAsset에서 가져올 수 있지만, 명시적 선언을 통해 코드를 읽기도 이해하기도 더 쉽게 만들고, 별도로 관리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UseBlackboard(BBAsset, BlackBoardPtr)
을 명시적으로 호출하는 것은, 블랙보드가 꼭 필요한 시점에 미리 준비되도록 하고, 이후의 행동(Behavior)들이 의존하는 상태가 일관되게 유지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기본적으로 RunAI 함수에서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아도 될 경우가 있지만, 코드를 좀 더 명시적으로 표현하고, 에러를 사전에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